• 제목/요약/키워드: supply ripple cancell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높은 PSRR을 갖는 Low-Dropout(LDO) 레귤레이터 (High PSRR Low-Dropout(LDO) Regulator)

  • 김인혜;노정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18-321
    • /
    • 2016
  • IoT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전원 관리 집적회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플 Subtractor, 피드 포워드 커패시터, OTA를 이용한 LDO 구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10MHz가 넘는 고주파 영역에서도 -40dB 이상 높은 전원 전압 제거비(PSRR)를 얻었다. 설계된 Low-Dropout(LDO) 레귤레이터는 $0.18{\mu}m$ CMOS 공정에서 설계되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PSRR은 부하 전류 40mA, 500kHz에서 -73.4dB다. 최대 구동 가능 전류는 40mA이다.

직접 보상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고주파 PSR 개선 LDO 레귤레이터 (High-Frequency PSR-Enhanced LDO regulator Using Direct Compensation Transistor)

  • 윤영호;김대정;모현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22-72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영역에서의 전원잡음제거 (PSR) 특성이 개선된 low drop-out (LDO) 레귤레이터를 제안한다. 특히, PMOS 전력 스위치의 유한한 출력저항을 관통하는 고주파 전원잡음을 상쇄하기 위해 출력저항이 큰 NMOS 트랜지스터를 보상 회로로 추가하였다. 보상 트랜지스터에 의한 전원잡음제거는 해석적으로 설명하여 개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0.35{\mu}m$ 표준 CMOS 공정으로 회로를 제작하고 Spectre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10MHz에서 기존의 LDO 레귤레이터 대비 26dB의 PSR 개선을 확인하였다.

빠른 응답을 갖는 멀티페이스 벅 변환기 (Multi-Phase Buck Converter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 이윤재;노정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14-317
    • /
    • 2016
  • 최근 휴대용 기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사용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과도 응답을 갖는 멀티페이스 벅 변환기를 제안한다. 멀티페이스 벅 변환기는 리플 상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출력 캐패시터를 사용할 수 있고, 더 적은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휴대용 기기가 대기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빠르게 변할 수 있도록 4-페이스 구조로 설계하여 빠른 과도 응답을 갖게 하였다. 사용된 공정은 Hynix 0.18um CMOS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고 공급전압 범위는 2.7~3.3V 이며, 최대 부하 전류는 500mA, settling time은 14us이다.

인터리브드 RPWM Buck 컨버터의 전도성 노이즈 감소에 대한 연구 (Reduction of Conducted Emission in Interleaved RPWM Buck Converter)

  • 이승현;이근봉;나완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298-30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DC-DC Converter에서의 고조파로 인한 전자기적 잡음을 줄이기 위해 Random PWM을 적용한 Interleaved Buck Converter(IBC) 시스템을 제안한다. PWM 직류전원장치에서 스위칭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스위칭 손실 및 EMI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고조파를 포함하고 있어 선간 전압의 왜곡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PRBS를 이용한 IBC를 최초로 제안한다. 이 방식의 회로 구조는 2개의 능동형 스위치를 가지며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2개의 PWM 신호를 이용하여 회로를 제어한다. IBC는 1세트의 스위치를 추가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 등에서는 불리 할 수 있으나 전력분배, 출력전류 리플 감소, 빠른 회로 반응속도, 수동소자크기 감소의 이점을 가진다. 본연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SIM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고 Random PWM을 적용한 IBC 회로를 설계하여 기존의 PWM과 RPWM 방식만을 사용하는 Buck-converter 회로를 PSIM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