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grain crop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하대두 재배방법의 차이가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al Methods on Seed Production in Summer Type Soybeen)

  • 김두열;김광호;홍정기;이성렬;이한범;허범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1
    • /
    • 1990
  • 하대두 채종시 문제가 되는 발아율 저하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1987년 천안재래를 공시하여 평야지인 춘천(해발 74m)과 고랭지인 진부(해발 600m)에서 4월 25일부터 20일 간격으로 4회 파종하였고, 개화후 35일부터 5일 간격으로 5회의 수확시기를 두어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생장기간은 조기 파종의 경우와 고랭지인 진부에서 길었고 경장도 같은 경향이었다. 2. 본당협수 및 백립중은 고랭지인 진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한파할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큰 값을 보였다. 3. 종실수량도 진부가 춘천보다 많았고 한파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는데 진부에서 파종기간 수량차이가 뚜렷하였으며 등숙기간이 길수록 수량도 많았다. 4. 한기파종하여 수확시기를 빨리하면 미숙립의 발생이 많았고 늦게 수확하면 미이라병의 발생립율이 높았다. 5. 미이라병의 발생은 기온이 높은 춘천의 경우 항수량과 항수일수가 많은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기온이 낮은 진부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6. 파종기에 관계없이 한기 수확하여 수분이 많은 종자는 건조과정에서 부패립이 많이 발생하였다. 7. 하대두 종자 생산을 위한 재배는 평야지인 춘천보다는 고랭지인 진부가 유리하였고 진부에서 5월15일부터 6월 5일 사이에 파종하여 개화후 45-50일에 수확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고 종자 생산량도 많았다.

  • PDF

여름메밀의 춘파재배법 연구 (Study on Cultural Method of Summer Buckwheat Planted in Spring)

  • 최병한;박근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9-154
    • /
    • 1992
  • 여름메밀 춘파재배기간의 기상조건과 재배방법이 종실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9~91년 4월중하순에 수원 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서 여름메밀 품종 신농001를 공시하여 파종기, 파종량, 파종방법, 피복방법, 제초방법 등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얻었다. 1. 1989~91년 4월~7월의 순별 초상 최저온도에서 특히 1990년 4월하순 -0.3$^{\circ}C$로 예년 7$^{\circ}C$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출아하는 메밀 식물체에 큰 피해를 주었다. 5월하순 초상최저온도도 7.3$^{\circ}C$로 예전 8.8$^{\circ}C$에 비하여 $1.5^{\circ}C$ 낮아 개아, 수정, 착립에 냉해를 주었다. 항수량과 상대습도에서는 특히 1990년 6월중하순에 374.5mm의 폭우가 쏟아져서 익어가는 메밀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었다. 상대습도에 예년에 비하여 약 10% 높았으므로 등숙불량과 수발아를 유도하여 종실수량이 낮아졌다. 2. 1989년에는 파종량 8kg /10a 세조파 비닐피복재배구에서 종실수량 268~292kg /10a으로 가장 다수확되었으며 전시험구 평균 238kg /10a이었으나 1990년에는 수원 64.3kg /10a, 무안 40.2kg /10a이었다. 1991년 4월 15일 파종 비닐피복재배구의 종실수량 277kg /10a으로 가장 다수확되었으며 무피복재배에서는 4월 25일 파종구에서 255kg /10a이 생산되어 가장 다수확되었다. 3. 잡초를 방제하지 않은 방임구와 손제초구의 종실수량은 라쏘 살포구에 비하여 높았으므로 춘파재배 메밀재배에서는 제초제 사용에 의한 잡초방제는 필요하지 않았다. 4. 경운기 부착 세조파기를 사용하여 조파, 세조파하였을 때에 3.4~3.6시간 /ha이 소요되어 관행 인력산파 21.6시간 /ha에 비하여 83~84%의 파종소요시간을 단축할수 있었다. 종실수량도 2기작재배 364kg /10a으로 관행 인력산파에 비하여 9% 증수되었다.

  • PDF

헤어리베치와 부분경운에 의한 잡초발생과 수수의 생육 및 수량 (Weed Occurrences, Growth and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by Hairy Vetch and Partial-Width Tillage)

  • 황재복;정기열;윤을수;최영대;현종내;윤종탁;오인석;이병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18-322
    • /
    • 2014
  • 본 연구는 유기농업을 위한 중경제초기 개발로 제초날 형상 등 제초기 본체와 헤어리베치 파종시기 및 경운방법별 잡초발생 양상과 수량을 분석하였다. 헤어리베치의 건물량은 추파가 $6,730g\;ha^{-1}$로 춘파 $1,690g\;ha^{-1}$보다 3배 이상 높았다. 파종시기에 따른 헤어리베치의 식물체 분석을 보면, 전 질소는 추파가 5.4 kg으로 춘파 2.0 kg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관행 비닐멀칭구에 비해 헤어리베치 처리구가 초장, 경태, 그리고 엽수가 다소 작았고, 출수기도 추파구는 8일, 춘파구는 12일 지연되었다. 잡초방제가는 무피복 대비 각각 피복비닐구, 부분경운구가 각각 88%, 71% 순이었다. 수량은 단작 비닐멀칭구가 $2,310kg\;ha^{-1}$, 추파 부분 경운구가 $2,130kg\;ha^{-1}$이었다.

주요 고농서를 통한 조선시대의 도작기술 전개과정 연구 III. 조선시대의 벼 품종 분석 (Transition of Rice Cultural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III. Differentiation of Rice Varieties in the Dynasty)

  • 이숭겸;구자옥;이은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70-381
    • /
    • 1991
  • $\ulcorner$농사직설$\lrcorner$ 단계에서는 품종보다는 품종군 또는 도종류로서의 조만, 치갱유, 또는 몇몇 지방 품종명이 소개되는 정도였으나, 우리나라의 도작기상이 ‘조한만수의’ 특징을 보일 뿐만 아니라 만하의 풍우 때문에 이들 재해를 회피하여 안전수확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으므로 15세기 이후의 도종발달은 조파조수집에 적응하고 내재해성을 갖는 쪽으로 서서히 진전되어 왔다. 시대경과에 따라 조도, 유망종, 유수색종, 내탈립종, 내풍성종, 내비성종의 분화와 이들의 정유율증대가 이루어져 왔음으로 알 수 있다.

  • PDF

남부지역 논에서 봄감자와 하작물 이모작에 따른 생육기간 및 생산성 변화 (Changes in Growing Period and Productivity under Double Cropping of Spring Potato and Summer Cereals in Paddy Fields of Southern Korea)

  • 서종호;황정동;최원영;배현경;김상열;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459-468
    • /
    • 2019
  • 쌀 소비 감소 및 재고량 증가, 밭작물의 자급도 감소에 따라 남부지역 논을 활용하여 콩, 옥수수, 감자 등을 최대로 생산하는 작부체계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남부지역 논을 이용한 봄감자 - 중·만생종 벼/콩/옥수수 이모작의 작기 변화 및 생산성을 2015~2018년 4년간 밀양의 시험포장에서 조사하였다. 봄감자는 3월 초순에 파종하여 90일의 단기간에 수량성 2.1~2.3 ton/10a의 생산이 가능하였고 이모작의 중만생종 하계 곡실작물은 6월 중순 파종 시 벼는 130일 내외, 콩은 125일 내외, 옥수수는 115일 내외로 각각 616 kg/10a, 330 kg/10a 및 815 kg/10a의 높은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다. 감자는 봄에 파종을 최대한 빨리 하는 것이 수량성 증대뿐만 아니라 후작물의 생육기간 확보에 유리하였다. 봄감자-콩/옥수수 이모작 뿐만 아니라 봄감자-벼 이모작에서는 가을에 파종이 없고 안전출수 한계기 이전에 출수가 가능하여 중만생의 하계 품종의 도입이 가능하였다. 파종기에 따라 수량과 등숙일수가 크게 영향을 받는 옥수수는 맥류이모작에 비해 6월 중 파종이 빨라 유리하였다. 생육기간이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옥수수는 년도별 기온의 변화에 따라 생육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벼 대신에 콩, 옥수수 등 밭작물을 도입하면 토양의 이화학성이 단기간에 개선되어 봄감자 수량 증대에 기여하였지만 3년 이상의 연속재배 시 연작장해 발생의 위험도 보였다. 봄감자-옥수수가 전분 생산면에서 수량성이 높았고, 봄감자-콩이 소득성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도 벼 작황시험에서 관찰된 출수기 지연 현상 보고 (Unusual Delay of Heading Date in the 2022 Rice Growth and Yield Monitoring Experiment)

  • 이현석;황운하;양서영;송영서;임우진;정회정;이충근;이형주;정종태;신종희;최명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0-33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상의 증대는 안정적인 벼 생산에 위협을 주고 있으며, 출수기의 변동은 기후 변화 적응에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2022년도에는 이앙부터 출수까지의 생육기간 동안 평균기온이 증가하였음에도 출수기가 5일 이상 지연되는 등의 특이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일반적인 생육단계별로 온도가 출수에 미치는 반응을 고려해 결과를 해석할 수 없었다. 이는 생육단계에 따른 온도의 반응이 다를 수 있어 벼의 출수기 변동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또한 일장조건별로 출수 반응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구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생육단계별로 일사량, 일조시간 등 일사 조건에 따른 생육 발달 변화가 출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전작물 품종 및 재배기술의 1962년 이후 변천 (Changes in Variety and Cultural Practices of Soybean, Sweet Potato and Corn Since 1962 in Korea)

  • 홍은희;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2-469
    • /
    • 1982
  • Since 1962, varieta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for summer upland crops have been actively initiated by the Crop Experiment Station, Office of Rural Development, Suweon, Korea. The major breeding objectives of soybeans have been to develop varieties which are early maturing, disease resistant, and adaptable to late planting for after-barley cropping. Development of eleven new soybean varieties including Hwangkeumkong, Jangyeobkong, Danyeobkong, and Kwangkyo has greatly increased the soybean yield throughout country. For com, after development of Hwangok #2, a synthetic, in early 1960's, nine corn hybrids-single crosses, double-crosses, and three-way crosses-such as Jecheon-ok, Hoengseong-ok, Kwangok, Suweon #19, etc., have been disseminated mainly to Kangweon province, a major corn producing area in Korea, and drew up the yield over 4 tons per hectare. The major breeding objectives of sweet potato have been to develop varieties which have high starch content and root yield. Hwangmi, Hongmi, and Shinmi are three sweet potato varieties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the Crop Experiment Station, Office of Rural Development and are grown most widely in Korea. Most of researches on cultural practices of upland crops have begun on a full scale from early 1960's. In soybeans, for example, no fertilizer but for barley was applied although the effects of phosphate and potassium fertilizers were great on soybeans in after-barley soybean croppings. The effects of heavy application of phosphate and calcium fertilizers on soybeans in newly reclaimed soils were recognized. Recently a mixed fertilizer for soybean (N; 40, P:70, K:60 kg/㏊) was developed and sold for soybean growers. The optimum planting densities of 220, 000 plants/ha in full-season cropping and 330, 000 pts/ha in after-barley cropping of soybeans were known from repeated experiments. For higher yield, a means of cultural practices such as transplanting-pinching, direct planting-pinching, and hilling-up, etc., were developed along with barley-stubble planting with no tillage and integrated herbicide application for labour savings. For sweet potato, cultural practices for planting date, harvesting date, fertilizer, and planting density were fully established. For early marketing, a technique of vinyl-mulching on sweet potato has also fully developed. For com, planting density of 37, 000 pts/ha in early 1960's has been changed to 55, 000 pts/ha for grain production and 67, 000 pts/ha for silage. The amounts of fertilizers have also been changed from 120-120-120kg/ha (N-P-K) in early 1960s to 180-150-150 kg/ha. These increases in number of plants per unit area and fertilizer levels have resulted in greater production for both grain and silage. At the same time,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F1 seeds have also improved.

  • PDF

완효성 비료를 시용한 논에서의 물관리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Effect of Water Management on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ice Paddies Using a Slow-release Fertilizer)

  • 장은빈;정현철;권효숙;이형석;박혜란;이종문;오택근;이선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2-120
    • /
    • 2023
  • Methane (CH4) and nitrous oxide (N2O) are significant contributors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rice fields. Mid-summer drainage is a commonly practiced water management technique that reduces CH4 emissions from rice fields. Slow-release fertilizers gradually release nutrients over an extended period and have been shown to reduce N2O emissions. However, the combined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and water management on GHG emissions remains unclear. This study compared GHG emissions from a rice paddy subjected to mid-summer drainage for 10 days (control) with that of a rice paddy subjected to prolonged mid-summer drainage for 20 days combined with slow-release fertilizer (W+S). Gas sampling was conducted weekly using a closed chamber method. During the rice cultivation period, cumulative CH4 and N2O emissions were reduced by 12.3% and 16.2%, respectively, in the W+S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the W+S treatment exhibited a 1.9% increase in grain yield compared to the control.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slow-release fertilizers, in combination with prolonged mid-summer drainage, proved to be the optimal approach for achieving high crop yield while reducing GHG emissions. This represents an effective strategy to mitigate GHG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s.

Evaluation and Comparison Yield and Feed Value of Pasture Species and Varieties by Spring Sowing in High-Latitude Regions

  • Dong-Geon Nam;Sun-Kyung Kim;Sun-Kyung Kim;Geon-Ho Lee;Tae-Young Hw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92
    • /
    • 2022
  • In preparation for the ever-changing climate and 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rain self-sufficiency rate by selecting crops with good utilization in high-altitude regions. The principle is to sow pastures at the end of August. However, sowing occurs in spring because the sowing period is missed when the weather is bad or when the workforce is insufficient. Sometimes when the grassland is completely devastated, it is frequently sowed in spring. In addition, North Korea consists of a high-altitude regions, and has been devastated in a general mountainous region. As a result, the landscape is not good and it i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Therefore, to prevent this, pasture must be sowed in the high-altitude region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yield and feed value of pasture species and varieties by spring sowing in high-latitude regions. The study was conducted in Pyeongchang, Gangwon-do, which is 700m height above sea level. The pasture species and varieties was sown on April 24, 2022. Each treatment was carried out by sowing 30 kg/ha, the experiment field size was 1 m2(1m×1m), and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ri-repeat. The total of 14 varieties was used in the study, 6 varieties of Orchardgrass (OG), 6 varieties of Tall fescue (TF) and 2 varieties of Perennial ryegrass (PRG). The grassland composition fertilization using (N:P2O5:K2O at 80:200:70 kg/ha) was conducted and management fertilizer was N:P2O5:K2O at 210:150:180 kg/ha. The first harvest was June 26,2022 and the second harvest was on August 16, 2022.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using the R3.6.3 software program, and all data was subjected to analysis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ignificance was set at the 5% level. The dry matter yield at the first harvest was the highest in PRG, and second harvest was the highest in TF (p < 0.05). Overall, PRG showed a trend of gradually decreasing growth, OG and TF showed a trend of gradually improving growth. This showed that PRG was considerably weaker to summer depression than other pasture species. Comparing the total dry matter yield, TF was the highest (4,565.45 kg/ha),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with PRG (4,487.24 kg/ha) (p < 0.05). In addition, comparing the total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TF was the highest (3147.33 kg/ha), second in PRG (2975.67 kg/ha) and third in OG (2052.33 kg/ha). Since this result is the data of the second harvests, if the result is derived by the end of next year, it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selection of pasture species and varieties suitable for spring seeding in high-altitude regions.

  • PDF

Agronomic Performance of G. max x G. soja Hybrid Progenies for Crop Improvement in Soybean

  • Kim, Yong-Ho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1-6
    • /
    • 2002
  • Genetic improvement of the cultivated soybean [Glycine max (L.) Merr] may be possible through hybridization with its wild progenitor, G. soja Sieb. & Zucc. Interspecific cross between G. max (Hwangkeumkong) and G. soja (IT.182932) was made in the summer of 1997. In F$_2$ the percentage of plant height, nodes per plant, and pods per plant were high but gradually reduced from F$_2$ to F$_4$. In contrast pod length, seeds per pod, and 100-seeds weight were increased gradually through generations advanced. Wild variation as evident in F$_2$ in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pods per plant, and 100-seeds weight. Twenty six percent of the F$_2$, 44 % of the F$_3$ and 60% of the F$_4$ segregants showed more G. max traits. The combination of useful traits from both species is possible through interspecific hybridization. The characters that could be transferred from wild species to cultivated species are more pod number, better capacity, and resistance to disease and insects. The interspecific derivatives offer scope for selection for high grain yield. Therefore, introducing genes from G. soja to G. max could be contribute to greater genetic diversity of future cultivars. And semicultivated soybean had some desired characteristics including tolerance to adverse environments and multi-seed characters. It means the infusing of semicultivated germplasm to the cultivated soybean could increase number of seeds and pods per plant significantly, and consequently could enhance selecting potential on yie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