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containing volatil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캐러웨이 Sulfhydryl Oxidase를 이용한 십자화과 채소의 함황 불쾌취 억압 (Suppression of Undesirable Sulfurous Aromas of Cruciferous Vegetables with Caraway Sulfhydryl Oxidase)

  • 심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55-561
    • /
    • 1990
  • 십자화과의 양배추와 브로콜리에서 함황 휘발성분 함량과 캐러웨이 종자의 sulfhydryl oxidase를 이용한 십자화과 채소의 함황 불쾌취 억압을 FID와 FPD가 동시에 연결된 개스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조사하였다. 양배추와 브로콜리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유황화합물은 캐러웨이 종자의 첨가량과 항온처리 시간에 따라 함량 및 생성률에 차이가 있었는데, 양배추와 브로콜리에 캐러웨이 종자를 첨가한 것이 대조구보다 methanethiol과 dimethyl disulfide 생성량이 훨씬 적었다. 또한 thiol oxidase 활성을 가진 캐러웨이 종자의 액상 슬러리를 이용하여 methanethiol과 dimethyl disulfide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이들의 제거율은 캐러웨이 종자의 첨가량에 비례하였고, 특히 2.5% 캐러웨이 종자를 함유한 액상슬러리에서 효과적이었다.

  • PDF

석탄의 고온열분해시 황화합물의 거동 연구 (Behavior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in High Temperature Pyrolysis of Coals)

  • 정봉진
    • 에너지공학
    • /
    • 제11권3호
    • /
    • pp.269-275
    • /
    • 2002
  • 철광석 용융환원 공정에서 석탄의 고온열분해시 석탄중에 함유된 황화합물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시료는 역청탄인 호주산 Hunter및 Mt. Thorley와 남아프리카의 Ensham 석탄이며, 반응온도 800~110$0^{\circ}C$ 사이에서 황화합물의 종류와 발생량을 분석하였다. 황함유 가스화할물은 주로 H$_2$S의 형태로 배출되며, COS및 CS$_2$가 미량 배출되었다. 또한 석탄중의 황화합물이 가스 및 타르의 휘발성물질과 석탄촤로 약 50%:50% 정도로 분배되었다.

생양파와 부패된 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from Fresh and Decayed Onions)

  • 박은령;고춘남;김성호;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11-1020
    • /
    • 2001
  • SDE 추출방법 과 GC-FID와 GC/MS 분석에 의하여 서로 다른 저장조건에서 부패된 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생양파, 비가열부패양파, 반부패양파, 완전부패양파에서 각각 115, 143, 123, 137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ester류, aldehyde류, ketone류, alcohol류, 황함유 화합물류들이었다. Dimethyl trisulfide, dimethyl disulfide, diprnpyl tr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는 생양파와 비가열부패양파에서 다량 확인되었으며, 양파가 부패도에 따라 휘발성 유기성분들 중 황함유 화합물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황함유 화합물류를 제외한, 가열 후 반부패와 완전부패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은 주로 ester류, ketone류, alcohol류들이었으며, 특히 ketone류는 가열 후 완전부패 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의 구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각각의 시료에는 170.3 mg/kg, 155.4 mg/kg, 121.2 mg/kg, 187.0 mg/kg 휘발성 유기 성분이 각각 함유되어 있었으며, 효소 불활성화에 의해 가열 후 반부패된 양파에서 휘발성 유기성분의 생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이를 계속하여 부패시킨 완전부패양파에서는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던 휘발성 유기성분이 다시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in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 정연정;정은정;전선영;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118
    • /
    • 2010
  •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저장 유통과정 중 품질유지를 위한 척도로서 관능적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저장기간($30^{\circ}C$, 150일) 동안 분석하였다. 총 23종의 휘발성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함황 화합물류 9종, 카르보닐 화합물류 5종, 퓨란류 4종, 방향족 화합물류 2종 및 기타 화합물류 3종이었다. 함황 화합물류는 전체함량의 80.3~62.6%로 중요한 향기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dimethyl trisulfide가 50.1~42.1% 범위로 함황 화합물류 중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총 함황 화합물류의 함량은 저장기간과 함께 증가하였는데, 특히 신선한 양파향의 dimethyl disulfide와 마늘향의 methyl propyl disulfid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가열반응에 의해 생성된 4종의 퓨란류(furfural, 2-acetylfuran, 5-methyl-2-furfural, furfurylalcohol)가 동정되었는데, 함량면에서 함황 화합물 다음으로 많았다(14.2~12.9%). 이 중 furfural이 전체 퓨란류의 61.9~49.4%를 차지하였고, 저장기간과 함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카르보닐 화합물에서는 알데히드류가 4종, 케톤 1종으로 총 5종이 검출되었다. 함량면에서는 6.2~4.8% 범위로 퓨란류 다음으로 많았으며, 가열에 의한 지방산화 분해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이들 가열반응에 의해 유도된 퓨란류나 알데히드류가 양파 특유의 함황 화합물과 함께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풍미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Impact of High Temperature on the Maillard Reaction between Ribose and Cystein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Xu, Honggao;He, Wenhao;Liu, Xuan;Gao, Yanxi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66-72
    • /
    • 2009
  • An aqueous ribose-cysteine model system (initial pH 5.6) was conventionally heated to the same browning at varying temperatures ($120-180^{\circ}C$),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20 MPa) was also applied on the same matrices for same periods at each temperature and about 20% reduction of the absorbance at 420 nm was observed as compared with sole thermal treatment. The headspace volatiles from Maillard reaction mixtures were analyzed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in combination with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GC-MS), and predominated with sulfur containing compounds, such as thienothiophenes, polysulfur alicyclics, thiols, and disulfides. Reaction temperature exhibited complex effects on volatiles formation and those effects became further complicated by the SC-$CO_2$ treatment. The formation of noncarbonyl polysulfur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ienothiophenes was generally favored at high temperatures. Most volatiles were inhibited in SC-$CO_2$ as compared with thermal treatment alone, however, the well-known meaty aromatic compounds, such as thiols and disulfides, were obviously enhanced.

취반된 흑미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lack Rice)

  • 송선주;이유석;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15-1021
    • /
    • 2000
  • 현재 재배되고 있는 흑미 중 수원 415호와 진도를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SDE방법으로, 취반된 흑미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 향기 추출물을 정제 농축하여 GC와 GC/MS로 분석한 후 GC 분석에 의한 RI 및 GC/MS 분석에 의한 mass spectrum을 표준물질의 분석 자료와 비교, 확인함으로써 휘발성 향기 성분을 동정하였고, 내부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이들 성분을 정량하였다. 수원415호와 진도에서 각각 91, 82종의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수원415호에서는 alcohol류 26종, ketone류 15종, ester류 11종, aldehyde류 10종, hydrocarbon류 9종, acid류 5종, 황화합물 9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동정된 물질 중에서 hexadecanoic acid, acetic acid, 1,2-ethanediol, guaiacol, ethyl acetate, 2,3-dihydrobenzofuran, ethanol, ethyl hexadecanoate, methyl 9,12- octadecadienoate, hexanol, ethyl formate, hexanal, 2-pentanone이 수원 415호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진도 흑미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으로는 alcohol류 28종, ketone류 14종, ester류 12종, aldehyde류 9종, hydrocarbon류 5종, acid류 4종, 황화합물 4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hexadecanoic acid, guaiacol, acetic acid, 2,3-dihydrobenzofuran, hydroperoxy pentane, ethyl acetate, methyl 9,12-octadecadienoate, 2-nonanone, ethyl hexadecanoiate, ethyl formate, ethyl 9-octadecenoate, hexanol, 2-pentanone, 3-methyl-1-butanol이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진도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미량이지만 향기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1-acetyl-2-pyrrolidone과 ${\alpha}-pyrrolidone$이 동정되었다.

  • PDF

지역별 생산 양파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분석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Harvested in Various Regions)

  • 이희영;정은정;전선영;조민숙;조우진;김희대;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09-1614
    • /
    • 2008
  • 국내 주요 생산지인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북 안동 및 경남 창녕의 3개 지역(유어, 장마, 성산)에서 수거된 양파 6종의 휘발성향기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D 로 분석하였다. 총 51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함황화합물류(20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5종), 에스테르류(11종), 방향족화합물류(4종), 함질소화합물류(2종) 및 기타화합물류(5종)로 구성되었다. 함황화합물류가 총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의 $62.6{\sim}80.3%$를 차지하였으며, 함량 면에서는 안동(4,828 ng/g), 부안(4,627 ng/g), 유어(4,149 ng/g), 장마(2,979 ng/g), 성산(2,758 ng/g) 및 무안(2,171 ng/g) 순으로 많았다(p<0.05). 항산화효과가 있는 5종의 함황화합물류 (2,4-, 2,5-dimetylthiophene, 2-vinyl-1,3-dithiane, 5-methoxy thiazole, 3,5-diethyl-1,2,4-trithiolane)는 안동, 유어, 장마, 부안, 성산 및 무안 순이었고, 항암효과가 있는 함황화합물류 5종((Z)-, (E)-methyl propenyl disulfide, (Z)-, (E)- propenyl propyl disulfide, di-2-propenyl disulfide)은 부안, 유어, 안동, 장마, 성산 및 무안 순으로 많았다.

국내산 양파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Allium cepa) during Storage)

  • 이희영;정은정;전선영;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12-1717
    • /
    • 2008
  • 국내 주요 양파 생산지인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북 안동 및 경남 창녕의 3개 지역(유어, 장마, 성산)에서 수거된 양파 6종을 $0.5^{\circ}C$에 저장하면서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동정된 총 45종의 화합물에서 함황화합물류(21종)이 가장 많았고, 양적으로도 $66.9{\sim}86.9%$를 차지하였다(저장 0일경). 함량면에서는 유어(7,582.4 ng/g)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성산(5,933.3 ng/g), 무안(4,043.5 ng/g), 장마(2,374.7 ng/g), 부안(2,233.3 ng/g) 및 안동( 1,516.7 ng/g) 순이었다. 저장 60일경에는 지역에 관계없이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무안(2,445.0 ng/g), 유어(2,401.7 ng/g), 성산(1,536.4 ng/g), 안동(1,306.5 ng/g), 장마(1,188.2 ng/g) 및 부안(1,183.5 ng/g) 순이었다 항산화효과가 있는 6종의 함황화합물류(2,4-,2,5-dimetylthiophene, 2-vinyl-1,3,-dithiane, 5-methoxy thiazole, 3,5-diethyl-1,2,4-trithiolane 및 isomer)는 저장 0일경에는 유어, 성산, 무안순으로 많았으나, 저장 60일경에는 유어, 무안, 성산, 안동, 장마, 부안의 순이었다. 항암효과가 있는 함황화합물류 5종((Z)-, (E)-methyl propenyl disulfide, (Z)-, (E)-propenyl propyl disulfide, di-2-propenyl disulfide)은 저장0일에는 유어, 성산 및 무안이 가장 높았으나, 저장 60일 경에는 무안, 유어, 성산, 부안 및 장마 순이었다.

Phytochemical and Biological Investigation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Growing in Egypt

  • El-Dien, Omnia Gamal;Shawky, Eman;Aly, Amal H.;Abdallah, Rokia M.;Abdel-Salam, Nabil 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152-159
    • /
    • 2014
  • A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growing in Egypt, has been carried out, which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seven compounds from the different extracts of the plant namely; ${\beta}$-sitosterol glucoside, tricin (1) dihydroferulic acid (2), vanillic acid (3), 4-hydroxybenzoic acid (4), uracil (5) and 8-hydroxy cuminoic acid (6) Structure elucidation of the isolated compounds was carried out using different spectroscopic techniques. This is the first report for the isolation of these compounds from genus Spergularia. Furthermore, 8-Hydroxy cuminoic acid and uracil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family Caryophyllacea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present in the petroleum ether extract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using combin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is reported here for the first time. Of the 97 components present, 59 were identified including three sulfur containing compounds which represented about 1.8% of the volatiles of the total petroleum ether extract. This prompted us to study and report its possible antimicrobial activity. In addition, th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screening of different extracts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as well as some isolates have been performed using agar diffusion method.

Volatile Flavor Components as a Funct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Chiller Aging for m. longissimus and biceps femoris of Hanwoo Beef

  • Yang, Jieun;Dashdorj, Dashmaa;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74-493
    • /
    • 2019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early post-mortem low voltage electrical stimulation (ES) to localized part of carcasses [m. longissimus lumborum (LL) and m. biceps femoris (BF)] and determined the tenderness and flavor compounds of Hanwoo steers (n=16). Carcasses were stimulated within 30 min post-mortem for 60s using 60 volts and muscles aged 2 and 14 d. Degradation of Troponin-T were accelerated by ES and degraded little faster in BF muscle than LL. Level of free amino acid content of stimulated and aged muscles was significantly (p<0.05) greater than control for both muscles. Totally 63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using SPME-GC. The ES treatment significantly (p<0.05) affected the level of 20 volatile compounds of LL as well 15 volatiles in BF muscle along with total amounts of ketones, sulfur containing, pyrazines and furans. Low voltage ES could be applied to reduce the aging time and improve volatile flavor development by increasing important desirable volatile compounds such as 2-methylpyrazine, 2,5-dimethylpyrazines and 2-acetylthiazole etc. due to released free amino acids from protein degra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