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fertilizer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STUDIES ON NATIVE AND IMPROVED NATIVE PASTURES IN SOUTH SULAWESI, INDONESIA-EFFECTS OF SULFUR FERTILIZER AND STOCKING RATE ON ANIMAL PRODUCTION

  • Hunt, M.;Till, A.R.;Blair, G.J.;Bulo, D.;Orchard,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3호
    • /
    • pp.255-262
    • /
    • 1991
  • The effects of S fertilization and stocking rate on cattle production from native and sown pastures were studied in South Sulawesi, Indonesia. On the native pasture there was no effect of S application over the three years of the experiment. The per head production was lower at the higher stocking rate (1.0 hd/ha), but the overall production increased by an average of 49%. There was no response to S applied to the clean seedbed pastures in the first year, but significant responses developed in the second and third years. There was an overall higher production from the higher stocked pastures (3.0 hd/ha), but the per head production was lower. There was a mean of about a two-fold increase in animal production from the highest native to the lowest improved pasture and a 3.4 times increase from the low stocking rate native to the high stocking rate sown pasture.

Acidification and Changes of Mineral Nutrient Availability in Soils Amended with Elemental Sulfur

  • Kim, Byoung-Ho;Chung, Jong-B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28
    • /
    • 2011
  • With the increasing cultivation of acid-loving plants such as blueberries, the artificial acidification of soils is frequently requir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rates of elemental sulfur (S) required in the soil acidification for blueberry cultivation. Laboratory incub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cidify three arable soils (pH 6-7) of different texture to pH 4.5-5.0 by the addition of varying amounts of elemental S. All rates of elemental S addition reduced soil pH, although the efficacy of acidification was related to the application rate and soil characteristics. pH reduction was slow in sandy loam soil, and the final equilibrium pH was obtained after 60, 43, and 30 days of incubation in sandy loam, loam, and silty clay, respectively. Although the final pHs obtained after 93 days of incub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oils, the equilibrium pH was relatively higher in soil of higher clay content in the application rates of 1.5-2.0 g S $kg^{-1}$ soil. The estimated amounts of elemental S required in lowering pH to 4.5-5.0 were 0.59-1.01, 0.67-1.03, and 0.53-0.88 g S $kg^{-1}$ for sandy loam, loam, and silty clay, respectively. The lowest estimated amount of elemental S in the acidification of silty clay soil was attributable to the low organic matter content. For clay soils containing optimum level of organic matter, the application rates of elemental S should be much higher than those values estimated in this research. Soil acidif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available concentrations of Ca, Mg and K. Extractable Cu and Zn was not greatly affected by the acidification, but extractable Fe, Mn, and Al in the acidified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found in non-acidified soils. Such increases in solubility are attributable to the dissolution of oxides and hydroxides of the elements.

Effects of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 by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 Ahn, In;Kim, Sam-Hyun;Maeng, Woon-Young;Lee, In-Eae;Chang, Ki-Woon;Lee, Jong-J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56-562
    • /
    • 2013
  • The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requires the soil condition of pH 4.2 ~ 5.2 and high in organic matters for stable growth. Most of soil types of blueberry-growing land in Korea, however, belongs to alkaline soils with low organic matter conte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blueberry growers use peat moss and sulfur powder heavily to improve the soil condition, but the guideline on the effective use of organic materials was not established yet. Therefore, this stur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ing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s by using organic materials. Among 5 organic materials, the pH of soil was lowest in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pH 4.1) and followed by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pH 4.5), OrganicAcid +vinegar (pH 4.7), Sulfur powder (pH 4.8),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pH 5.2).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er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 (8.4%) >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7.8%) > Organic Acid + vinegar (7.2%) > Sulfur powder ${\fallingdotseq}$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6.3%). Although different in the degree, all organic materials treated was recognized a good material for improving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of blueberry were no clear difference among 5 organic materials. Another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mending soils with organic matter by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organic cultiva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il pH by pine needle mulching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was recognized in four test fields. Pine needle mulching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appeared several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of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refore, pineneedle mulching in blueberry organic farming is considered as the most efficient means of mulching cultivation for amending soil pH, weed suppression and moisture conservation among mulching materials.

배 '신고'의 생육기에 나타나는 과피얼룩과의 발생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during Growing Period in 'Niitaka' Pear)

  • 문병우;남기웅;문영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8-204
    • /
    • 2014
  • '신고'배에서 나타나는 과피얼룩과 발생을 경감하기 위하여 생육기 동안 몇 가지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과피얼룩 증상은 유과기(5월 25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 시까지 나타났으며 과육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과피얼룩과 발생은 수세가 정상적인 나무, 지베렐린 과경 도포 처리에서 현저하게 낮았으나, 아미노산 수체살포는 큰 차이가 없었다. 봉지에서는 칼슘이 코팅된 봉지 및 석회유황합제가 코팅된 봉지에서 과피얼룩과 발생이 낮았다. 봉지 내지에 석회유황합제 및 콩기름 도포는 과피얼룩이 아닌 약해를 유발시켰다. 과피얼룩 발생과의 수피 및 과피는 K 농도가 높았으나 엽에서는 T-N 및 K 농도는 오히려 낮았다.

양액재배하(養液栽培下)에서 유황시비(硫黃施肥)가 옥수수(Zea mays L.)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 on Corn(Zea mays L.) Seedling Growth under Nutrient Solution Culture)

  • 김무성;김세영;오종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6-311
    • /
    • 1995
  • 다양필수원소(多量必須元素)중의 하나인 유황(硫黃)이 옥수수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5년(年) 5월(月) 22일(日) 부터 1995년(年) 7월(月) 10일(日)까지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수원(水原)캠퍼스 온실(溫室)에서 옥수수 광안옥 품종(品種)과 횡성옥 품종(品種)을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7주간 양액재배로 실시하였다. 유황 시비처리는 양액에 $MgSO_4{\cdot}7H_2O$를 첨가하여 조절하되 양액중 유황농도는 무류황구(無硫黃區)(-S)가 0ppm, 대조구(對照區)(C)가 68ppm, 2배시용구(倍施用區)(2S)가 136ppm, 3배시용구(倍施用區)(3S)가 204ppm이 되도록 하였다. 파종후(播種後) 매주(每週)마다 옥수수의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건물중(乾物重)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7주간(週間)의 생육(生育)에 있어서 광안옥 품종(品種)의 초장(草長)은 C>2S>3S>-S구(區), 엽면적(葉面積)은 2S구(區)>C구(區)>3S구(區)>-S구(區), 그리고 건물중(乾物重)은 2S구(區)>3S구(區)>C구(區)>-S구(區) 순(順)으로 신장하였고 횡성옥 품종(品種)에 있어서 초장(草長)은 C구(區)>-S구(區)>3S구(區)>2S구(區), 엽면적(葉面積)은 C구(區)>3S구(區)>2S구(區)>-S구(區), 건물중(乾物重)은 C구(區)>3S구(區)>-S구(區)>2S구(區) 순(順)으로 증가(增加)하였다. 전실험기간(全實驗期間)동안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건물중(乾物重)을 통합한 결과(結果)는 두 품종(品種) 공히 무류황시용구(無硫黃試用區)(-S)에서 가장 저조(低調) 하였고 횡성옥 품종(品種)에서는 C구(區)가 가장 증가(增加)하였다. 작물생장율(作物生長率)(CGR)은 두 품종(品種) 모두 파종후(播種後)부터 3주(週)까지는 완만(緩慢)한 증가(增加)를 보이다가 파종후(播種後) 4주(週)째부터는 증감(增減)이 크게 교차(交叉) 현상을 보였지만 횡성옥 품종(品種)의 C구(區)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 PDF

알칼리성 토양 pH 교정시 완충곡선법을 이용한 황 시용량 결정 (Determination of Sulfur Requirement to Adjust pH of Alkaline Soil by Buffer Curve Method)

  • 이인복;임재현;임명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05-415
    • /
    • 2000
  • 본 연구는 황 원소를 이용하여 시설재배지의 일부 토양에서 나타나는 알칼리 반응을 교정하고자 실시하였다. 황 원소의 산화와 토양 pH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토양 pH 8.3을 6.3으로 낮추는데 소요되는 황 시용량을 완충곡선으로부터 계산하여 황 소요량의 1~10배 수준까지 첨가하고 50% water holding capacity에 해당하는 수분을 가한 다음, $30^{\circ}C$로 유지되는 항온실에서 정치하였다. Incubation 동안 1주 간격으로 토양 pH 및 sulfate-S의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토양 pH는 최초의 8.3에서 4~6주 사이에는 목표 pH인 6.3 부근으로 감소하였고, 이 때의 sulfat-S의 생성율은 100%를 상회하여 완충곡선법을 이용한 황 시용량 결정법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Pot 재배시험 결과, 중화량에 해당하는 황시용구의 토양 pH는 중성부근에 이르렀으나 상추수량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목표 pH로 낮추기 위한 황 소요량의 약 3배 이상 과량 첨가한 처리구의 토양 pH는 4.8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토양중 추출성 미량원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상추 수량은 현저히 감소하는 한편, 식물체중 N/S비율의 감소가 나타나 과다한 황 시용으로 토양 양분의 불균형화 및 작물의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토양 pH 조정을 목적으로 황 원소를 시용할 경우 정확한 시용량을 준수하고, 토양에 존재하는 기존의 sulfate-S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분시를 통하여 토양내 sulfate-S 농도가 일시적으로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liming의 경우 포장에서는 실내나 pot 조건과 다르게 포장의 석회인자(Liming factor)를 구하여 석회시용량을 조절하는 것과 같이 토양의 pH를 낮추는 경우도 포장의 acidifying factor에 관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완충곡선법을 이용한 황 시용량 결정법을 보다 단순화하기 위하여 0.1N-HCl을 이용한 완충곡선법을 고안하였으며, 이 방법은 토양산도를 목표 pH까지 저감시키는데 소요되는 0.1N-HCl의 량을 구하여 제안된 계산식에 적용하면 쉽게 황 소요량을 구할 수 있으므로 알칼리성 토양 상토 및 호산성 작물재배토양의 pH조정에 이용 가능할 것이다.

  • PDF

Radioactive Concentrations in Chemical Fertilizers

  • Gwang-Ho Kim;Jae-Hwan Ch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195-203
    • /
    • 2022
  • Backgrou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radioactive concentrations in fertilizers known to contain essential nutrient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monitor the impact of chemical fertilizers on the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Nitrogen fertilizers, calcium fertilizers, sulfur fertilizers, phosphate acid fertilizers, and potassium chloride fertilizers were used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Five chemical fertilizers were pulverized, placed in polyethylene containers, and weighed. The time to measure each specimen was set to be 3,600 seconds for a scintillator-based gamma-ray spectroscopy system. Concentration of gamma radionuclide was analyzed based on obtained spectra. At the end of the measurement, the spectrum file was stored and used to calculate radioactive concentrations using a gamma-ray spectrometer software. Results and Discussion: In the nitrogen fertilizer, 3.49 ± 5.71 Bq/kg of 137Cs, 34.43 ± 7.61 Bq/kg of 134Cs, and 569.16 ± 91.15 of 40K were detected whereas 131I was not detected. In the calcium fertilizer, 5.74 ± 4.40 Bq/kg of 137Cs (the highest concentration among all fertilizers), 22.37 ± 5.39 Bq/kg of 134Cs, and 433.67 ± 64.24 Bq/kg of 40K were detected whereas 131I was not detected. In the sulfur fertilizer, 347.31 ± 55.73 Bq/kg of 40K, 19.42 ± 4.53 Bq/kg of 134Cs, 2.21 ± 3.49 of 137Cs, and 0.04 ± 0.22 Bq/Kg of 131I were detected. In the phosphoric acid fertilizer, 70,007.34 ± 844.18 Bq/kg of 40K (the highest concentration among all fertilizers) and 46.07 ± 70.40 Bq/kg of 134Cs were detected whereas neither 137Cs nor 131I was detected. In the potassium chloride fertilizer, 12,827.92 ± 1542.19 Bq/kg of 40K was and 94.76 ± 128.79 Bq/kg of 134Cs were detected whereas neither 137Cs nor 131I was detect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inorganic fertilizers produced by a single manufacturer. There might be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country and area from which fertilizers are imported. Further studies about inorganic fertilizers in more detail are needed to create measures to reduce 40K. Conclusion: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to 40K contained in fertilizers including phosphoric acid and potassium chloride fertilizers.

유황성분(硫黃成分)이 마늘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f Sulfur Nutrition on the Flavour Compon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장기운;황준영;우인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3-193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유황시비(硫黃施肥)에 따른 마늘의 품질(品質)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시험(試驗)으로서 1986년산(年産) 서산한지형(寒地形) 마늘을 pot 및 포장(圃場)에서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 5개처리구(個處理區)(0, 10, 20, 30, 40kg/10a)를 3반복(反覆) 난괴법(亂塊法)으로 배치(配置)하여 재배(栽培)하였다. 재배기간중(栽培期間中) 주요(主要) 생육단계별(生育段階別)로 7회에 걸쳐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의 생육특성(生育特性) 및 수량조사(收量調査)와 마늘향기(香氣)의 주성분(主成分)인 diallyl disulfide를 비롯한 14종의 유기유황(有機硫黃) 화합물(化合物)을 GC 및 GC/MASS로 분리(分離), 확인(確認), 정량(定量)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地上部)의 생육조사(生育調査) 결과(結果)는 유황시비량(硫黃施肥量)에 따라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으나, 지하부(地下部) 수량(收量)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Pot 시험(試驗)에서는 10a당(當) 유황(硫黃) 10kg 시비해당구(施肥該當區)인 처리구(處理區)(S-10)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는 20kg 시비(施肥)한 처리구(處理區)(SF-20)에서 마늘구근(球根)의 수량(收量)이 가장 많았다. 3. 마늘 향기성분(香氣成分)의 주성분(主成分)으로서 휘발성(揮發性) 유기유황(有機硫黃) 화합물(化合物)인 diallyl sulfide, allyl methyl dithia cyclo pentene, methyl propyl disulfide(Z+E), diallyl disulfide, dipropenyl disulfide, dipropenyl disulfide(isomer), allyl methyl trisulfide, 3-vinyl-1, 2-dithia cyclo bexa-5-ene, 3-vinyl-1, 2-dithia cyclo hexa-4-ene, diallyl trisulfide, allyl propyl trisulfide 및 dipropenyl trisulfide의 함량(含量)은 pot 시험(試驗)에서는 SP-10,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는 SF-20구(區)에서 가장 높았다. 4. 상기(上記) 유기유황화합물(有機硫黃化合物)은 생육초기(生育初期)부터 지상부(地上部)에서 생합성후(生合成後) 지하부(地下部)로 이동(移動)되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5. 마늘의 수량(收量), 마늘중 총유황(總硫黃) 및 휘발성(揮發性) 유기유황(有機硫黃) 향기성분함량(香氣成分含量)의 측면(側面)에서 판단(判斷)할 때 본(本) 시험(試驗)에 사용된 공시품종(供試品種)과 토양조건(土壤條件)에서는 10a당(當) 20kg의 유황시비구(硫黃施肥區)에서 포장경작시(圃場耕作時)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이 가장 양호(良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황산가스에 의(依)한 작물별파해엽율(作物別破害葉率) 및 가스흡수량조사(吸收量調査) (Absorption of sulfur dioxide gas with various crops and it's relation to leaf injury)

  • 김복영;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1980
  • 대맥, 소맥, 대두(大豆), 감자, 고구마, 오이, 가지, 고추 토마토, 상치, 수박, 아주까리, 포도, 백합에 0.1, 0.25, 0.50, $1.0mg{\ell}/hr$의 아황산가스를 각각(各各) 접촉하여, 엽피해증상, 피해엽율(被害葉率), 체내유황함량, 가스흡수량(吸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아황산가스 농도증가에 따라 엽피해(葉被害)가 증가하였으며, 작물(作物)에 따라서 엽피해정도(葉被害程度)가 상이(相異)하여 가지는 $0.1mg/{\ell}/hr$에서 30%, 소맥, 감자, 아주까리, 수박, 백합은 $0.25mg/{\ell}/hr$에서 가시적(可視的) 피해(被害)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박은 $0.5mg/{\ell}/hr$에서 피해엽율(被害葉率)이 6.4%이였다. 2. 피해증상의 특징(特徵)은 대맥, 소맥은 엽맥(葉脈)사이를 따라 회백색(灰白色)내지 적갈색반점(赤葛色班点), 대두(大豆), 감자, 고구마, 아주까리, 가지, 고추, 토마토, 포도는 엽맥(葉脈)사이에 적갈색반점(赤葛色班点), 상치, 수박, 백합은 엽맥(葉脈)사이에 회백색반점(灰白色班点), 오이는 엽선단(葉先端)을 따라 백색(白色)으로 고사(枯死)되였다. 3. 오이, 가지, 고추, 아주까리는 $0.1mg/{\ell}/hr$의 아황산가스 흡수량(吸收量)이 $10{\ell}$ 이상(以上)인데, 상치, 수박, 포도, 보리, 밀은 $2{\ell}$ 미만이였다. 4. 아황산가스 농도(濃度)에 비례(比例)하여 각작물체내 유황함량(硫黃含量)이 증가하였으나, 흡수(吸收)된 가스량(量)은 감소(減少)하였고, 유황함량(硫黃含量) 및 흡수(吸收)된 가스량(量)은 작물(作物)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다. 5. 작물체내 유황함량(硫黃含量)이 증가함에 따라 피해엽율(被害葉率)이 증가하였으며, 전유황(全硫黃)과 수용성유황함량간(水溶性硫黃含量間)에는 $Y=0.79X-0.12({\gamma}=0.9522^{**})$의 정(正)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중질소(重窒素)를 이용(利用)한 수도품종(水稻品種) 및 시용시기(施用時期)에 따른 토양(土壤) 및 시비(施肥) 질소(窒素)의 효율(效率) -V 포장(圃場)에서 ^{15}N$의 국지시용(局地施用)- (Efficiency of Soil and Fertilizer Nitrogen in Relation to Rice Variety and Application Time, Using ^{15}N$ Labeled $Fertilizer_{1)}$ -V. ^{15}N$ Point application in fields-)

  • 박훈;목성균;석순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32-238
    • /
    • 1982
  • 농가포장(農家圃場)(13개소(個所))에서 중질소비시험결과(重窒素肥試驗結果) 80%의 포장(圃場)에서 이용율(利用率)은 감법(減法)의 경우가 표식법(標識法)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비료질소(肥料窒素)에 의(依)한 토양질소흡수(土壤窒素吸收)가 조장(助長)된 것을 나타낸다. 이 두 방법(方法)의 값은 포장간(圃場間)에에 류사(類似)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황피뇨소(黃皮尿素)와 국지시용(局地施用)은 시비효율(施肥效率)(시비질소(施肥窒素) 당증수량(當增收量), Fe)을 분시(分施)의 15에서 23으로 증대(增大)시켰는데 이는 이용율(利用率)(Ef)을 29에서 50으로 증대시킨 때문이며 흡수시비질소효율(吸收施肥窒素效率)(Ef)은 50에서 46으로 감소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통일계(統一系)의 다수확능(多收穫能)은 흡수시비질소효율(吸收施肥窒素效率), 전이율(轉移率) 및 토양질소선호지수(土壤窒素選好指數)(시비질소흡수증가량(施肥窒素吸收增加量)에 대(對)한 토양질소흡수증가량(土壤窒素吸收增加量)의 비(比) PI)가 큰데 기인한 것 같다. 일련의 본(本) 연구(硏究)는 시비체계하(施肥體系下)의 수량(收量)은 이용율(利用率)과 흡수시비질소효율(吸收施肥窒素效率)의 적(積)인 시비효율(施肥效率)에 의존(依存)하며 비료(肥料)의 형태(形態)나 시비시기(施肥時期) 및 방법(方法) 등(方法) 시비관리(施肥管理)는 주(主)로 이용율(利用率)을 증대(增大)시키고 이용율(利用率)의 한계(限界)는 품종(品種) 특성(特性)에 주(主)로 기인(基因)하는 흡수시비질소효율(吸收施肥窒素效率)에 의(依)하여 조정(調整)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