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fertilizer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6초

황함유 비료가 콩의 종실수량과 성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lfer Containing Fertilizers on Grain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 채재석;김영두;박태일;장영선;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3-188
    • /
    • 1993
  • 신개간 토양을 성토한 호남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서 석회시용 유무와 유신근비료 시용을 달리하여 콩의 생육, 수량 및 종실 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개간지 적황색 식량토 (pH 4.9)에서 토양산도를 중화량으로 교정하면 종실수량에서 32%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2. 토양산도 교정에 따른 유산근 비료의 수량증수효과는 과인산석회 31%, 유안 11%, 석고 3%의 순이었으며 교정치 않았을 경우에는 고토석회 47%, 과인산석회 22%, 석고 15%의 순이었다. 3.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석회무시용구보다 석회시용구에서 많았으며 함황비료의 시용효과도 인정되었으나, 지방함량은 큰 차이를 인정 할수 없었다. 4. 석회 시용구에서 유산근 비료의 효과가 큰 것은 과인산석회와 유안이었으며 개량제로는 석고가 좋았고, 석회무시용구에서는 고토석회와 과인산석회가 우수하였다.

  • PDF

황 시용 형태 및 시용량이 홍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 and Amounts of Sulfur Fertilizer on Growth and Seed Yield of Safflower)

  • 김민자;김인재;남상영;이철희;송범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03-506
    • /
    • 2004
  • 홍화 재배시 비효면에서 효과적인 황 시용방법을 구명하고자 황분말 20 kg/10a와 유안의 시용방법 및 시용량을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 유형 및 시용 정도에 따른 생육은 황 시용시 무시용에 비하여 초장이 큰 경향이었으며, 경태와 경엽중이 굵거나 무거웠고,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 보다는 유안 처리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2. 황을 시용함으로써 화두수 등 수량구성요소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종실 수량이 $4-10\%$ 증수되었다.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보다는 유안이 효과적이었으며, 유안 시비방법 간에는 엽면시비 8.3kg/10a과 토양시비 $33.0\~49.5kg/10a$ 시용구와 차이가 미미하였다.

대두종실(大豆種實)의 수량(收量)과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에 미치는 황(黃) 시용(施用)의 효과(效果) (Effects of Sulfur on Yield and Nutritive Qualities of Soybean)

  • 임선욱;엄주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6-362
    • /
    • 1984
  • 황(黃)이 대두(大豆)의 수량(收量)과 생육(生育) 및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광교(光敎) 품종(品種)에 대하여 함황비료(含黃肥料)의 비종(肥種),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시용방법(施用方法)을 달리하여 포장실험(圃場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토양시비(土壤施肥)의 경우 황(黃) 공급원(供給源)으로 유안(硫安)과 과석(過石)을 공시(供試)하고 황(黃) 시비수준(施肥水準)은 10a 당(當) 0, 2, 4, 6kgS로 하였으며 엽면시비(葉面施肥)의 경우는 $K_2SO_4$, $(NH_4)_2SO_4$, $MgSO_4$, 및 Thiourea 를 개화기(開花期)에 10a당(當) 2kgS로 시용(施用)하였다. 실험(實驗)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종실(種實) 수량(收量)과 건물중(乾物重)은 황(黃) 시용수준(施用水準)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각(各)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도 증가(增加)하였다. 2. 황(黃)의 시비(施肥)에 의하여 종실(種實)의 황(黃)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고 따라서 N/S비(比)도 저하(低下)되었다. 3. 종실(種實)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황(黃)의 시비(施肥)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함황(含黃)아미노산(酸)인 methionine과 cysteine이 증가(增加)하여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의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효과(效果)가 나타났다. 4. 황(黃) 시비(施肥)는 종실(種實)의 지방함량(脂肪含量)이나 무기(無機)이온의 흡수(吸收)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5. 황(黃)의 비종별(肥種別) 시비효과(施肥效果)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시용방법별(施用方法別)로는 엽면시비(葉面施肥)가 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질소질 비료의 특성 및 유황비료에 따른 수도성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Fertilizers and Influence of Sulfur Application on Rice Plant)

  • 김흥배;김경제;신병식;문세기;김기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0권
    • /
    • pp.122-133
    • /
    • 1975
  • In recent years, farmers have substituted urea for ammonium sulfate as nitrogen fertilizer in their crop production. Since crops can not take urea itself directly as it is,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ecomposition of urea in soil. It was observed that 25 percent of urea which had initially mixed with soil was decomposed in 10 days at 15$^{\circ}C$ and 80 percent in 2 days at $25^{\circ}C$.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large amount of urea could be lost in cool season and cool areas. In the other experiment, ammonium sulfate, as a source of sulfur, was so mixed with urea that the ratio of sulfur to nitrogen would be 15 percent. Small amount of dolomite was also added to this mixture and the resulting fertilizer was applied on the rice plants. Eight percent of yield increase was obtained together with the increased protein content in brown rice.

  • PDF

Effects of Sulfur Fertilizer on the Expression of 11S and 7S Seed Storage Proteins of Soybean

  • El-Shemy Hany A.;Nguyen Nguyen Tran;Ahmed Sherif H.;Fujita Kounosuk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6
  • The differential response of soybean cultivars with or without sulfur (S) application was observed under fold conditions. Plant biomass decreased by sulfur deficiency but the reduction was less in Bragg variety about 26 % relative to the control than other ones over 45%, probably due to less reduction in loaves and pods. The photosynthetic rate of Bragg cultivar was also unaffected by the absence of sulfur application while it depressed in other lines. Soybean cultivars were compared in terms of storage protein, protein quality and biomass production by application of sulfur nutrition. The storage protein concentration tended to decrease without sulfur application in all the cultivars, however the differential response of protein quality only by 11S/7S ratio to sulfur nutrition status was observed: For instance, Bragg cultivar had higher biomass and protein production but protein quality decreased at sulfur deficiency. On the other hand, biomass and protein production in other cultivars remained louver at sulfur deficiency but protein quality differed genetically in spite of sulfur nutrition stat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 of soybean to sulfur nutrition is controlled by genotypic difference and sulfur supply status.

Effect of sulfur on the cadmium transfer and ROS-scavenging capacity of rice (Oryza sativa L.) seedlings

  • Jung, Ha-il;Chae, Mi-Jin;Kong, Myung-Suk;Kang, Seong-Soo;Kim, Yoo-Ha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87-187
    • /
    • 2017
  • Cadmium (Cd) pollu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worldwid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addition to its nega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 Cd pollution adversely affects human health. Rice (Oryza sativa L.) is an important agricultural crop worldwide, including South Korea, and studies have examined its ability to alleviate Cd uptake from the soil into plants. However,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lfur (S) and antioxidants in rice seedlings is still limited with regard to Cd phytotoxicity.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ioxidants in rice (Oryza sativa L. 'Dongjin') seedlings exposed to toxic Cd, S treatment, or both. The exposure of rice seedlings to $30{\mu}M$ Cd inhibited plant growth; increased the contents of superoxide, hydrogen peroxide, and malondialdehyde (MDA); and induced Cd uptake by the roots, stems, and leaves. Application of S to Cd-stressed seedlings decreased Cd-induced oxidative stress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glutathione (GSH)-ascorbate (AsA) cycle, promoted S assimilation by increasing cysteine, GSH, and AsA contents in treated plants, and decreased Cd transfer from the roots to the stems and leaves. In conclusion, S application of plants under Cd stress promoted Cys and GSH biosynthesis and GSH-AsA cycle activity, thereby lowering the rate of Cd transfer to plant shoots and promoting the scavenging of the ROS that resulted from Cd toxicity, thus alleviating the overall Cd toxicity.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s into the role of S in regulating the tolerance, uptake, and translocation of Cd in rice seedl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 application should have potential as a tool for mitigating Cd-stress in cereal crops, especially rice.

  • PDF

다양한 생태계에서 분리한 황 산화 세균 (Isolation of Sulfur Oxidizing Bacteria from Different Ecological Niches)

  • ;;;;;최관호;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80-187
    • /
    • 2005
  • 다양한 인도 토양에서 Starkey's 배지를 이용하여 9종류의 화학합성독립영양 및 12종류의 화학합성종속영양 황산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세균은 황을 황산으로 산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생육 중 배지의 산도를 감소시켰다. 분리한 황 산화 세균은 혐기 조건에서는 생육하지 못했다. 화학합성독립영양세균 SGA6 및 JIG 2종만이 포도당을 이용하는 능력이 있었으며, LCH 1종을 제외한 모든 분리세균은 thiosulfate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였다. 분리한 세균 중 황 산화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은 화학합성독립영향세균인 LCH이었으며 화학합성종속영향세균인 JIG의 황 산화 능력이 가장 낮았다. 분리한 황 산화 세균을 이용하여 점토를 이용하여 입제형태로 만들었을 때 균의 밀도는 약 $2.5{\times}10^7cfu\;g^{-1}$ 이었다.

질소(窒素) 및 유황시용(硫黃施用)이 수도(水稻)의 수량(收量)과 함유황(含硫黃)아미노산(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and Sulfur Application on Yield and contents of Amino Acids Containing Sulfur of Rice)

  • 김복진;백준호;최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2-128
    • /
    • 1997
  • 질소 및 유황시용이 수도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와 함유황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섬진벼와 삼강벼를 공시품종으로하여 요소구, 요소+광물유황구, 요소+광물유황 2배량구, 요소 2배량+광물유황 2배량구, 유안구, 유안+광물유황구, 유안 2배량구로 처리하고 pot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후 50일의 초장 및 분얼수는 양 품종 모두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 질소 및 유황시용량 증가에 따라 분얼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섬진벼에서는 수량과 주당수수 및 천립중에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 삼강벼에서는 수량과 주당수수에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다. 섬진벼와 삼강벼 모두 질소 및 유황의 처리량 증가에 따라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섬진벼 및 삼강벼 모두 수량구성요소중 주당수수만이 수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4.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수확기의 짚 및 현미중 질소와 유황 함량은 증가되었고. N/S비는 반대로 낮아졌다. 5. 수량과 수확기의 짚 및 현미중의 질소와 유황 함량간에는 각각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N/S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수확기 짚 및 현미중의 질소 함량과 유황 함량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 증가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고, 현미중 함유황아미노산은 짚중 유황 함량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짚중 질소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8.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수량 조단백질 함량 및 함유황아미노산(cystine, methionine)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