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ontaining amino acid conten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3초

Monitoring of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ing fermented black soybeans rich in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 Sung Ran Yoon;Jin Ju Lee;Jungmin Park;Jung A Ryu;Ju-Ock Nam;Min Sook Kang;Sun Hwa Kim;Yong Jin Jeo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05-917
    • /
    • 2023
  • The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oducing fermented black soybeans rich in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were investigat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monitored fermentation conditions. A central composite design examined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enzyme concentration (X1) and fermentation time (X2) on yield and methionine content. Both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dependent variables. Enzyme concentration more profoundly affected amino nitrogen content than fermentation time. β-Glucan content and cystine level were primarily affected by fermentation time. We elicited each variable's regression formula and identifie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unds. The predicted optimum conditions were an enzyme concentration of 0.28-0.32% and a fermentation time of 58.0-62.0 min.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each black soybean variety's sulfur amino acid content ranged from 818.62 to 922.62 mg/100 g, demonstrating significant variety differences.

질소(窒素) 및 유황시용(硫黃施用)이 수도(水稻)의 수량(收量)과 함유황(含硫黃)아미노산(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and Sulfur Application on Yield and contents of Amino Acids Containing Sulfur of Rice)

  • 김복진;백준호;최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2-128
    • /
    • 1997
  • 질소 및 유황시용이 수도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와 함유황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섬진벼와 삼강벼를 공시품종으로하여 요소구, 요소+광물유황구, 요소+광물유황 2배량구, 요소 2배량+광물유황 2배량구, 유안구, 유안+광물유황구, 유안 2배량구로 처리하고 pot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후 50일의 초장 및 분얼수는 양 품종 모두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 질소 및 유황시용량 증가에 따라 분얼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섬진벼에서는 수량과 주당수수 및 천립중에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 삼강벼에서는 수량과 주당수수에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다. 섬진벼와 삼강벼 모두 질소 및 유황의 처리량 증가에 따라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섬진벼 및 삼강벼 모두 수량구성요소중 주당수수만이 수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4.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수확기의 짚 및 현미중 질소와 유황 함량은 증가되었고. N/S비는 반대로 낮아졌다. 5. 수량과 수확기의 짚 및 현미중의 질소와 유황 함량간에는 각각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N/S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수확기 짚 및 현미중의 질소 함량과 유황 함량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 증가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고, 현미중 함유황아미노산은 짚중 유황 함량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짚중 질소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8.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수량 조단백질 함량 및 함유황아미노산(cystine, methionine)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한국 식품중의 Se 화합물의 함량에 관한 연구 (Study of Selenium Compound in Favorite Korean Foodstuffs)

  • 전세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5-64
    • /
    • 1973
  • 마늘은 옛부터 정력강장제(精力强壯劑) 및 항균(抗菌) 작용에 효력있는 향신식품으로 구전되어 왔다. 마늘이 정력제의 효력을 나타내는 성분은 미지인바 이를 부분적이라도 밝히고저 하였다. 마늘의 독특한 냄새는 allicin 이외 Se 의 휘발성 냄새에 기인됨을 알았다. Se 는 비타민 E 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므로 마늘 중에 Se 및 유황 아미노산의 함량을 산지 및 품종별로 분석하였다. 특히 단양, 의성산의 좋은 마늘은 다른 산지의 것 보다 Se의 함량이 훨씬 많았다. 마늘 냄새와 Se의 함량은 비례하며 한국산은 외국산보다 Se 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또 마늘을 요리하는 방법에 따라 Se 손실량이 크게 차이가 있었다. Se 분석은 $^{77m}Se$ 을 이용한 비파괴 방사화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함유황 아미노산은 Label 된 Sulfur 을 써서 TLC Paper-chromatography 로 확인 정량하였다.

  • PDF

당질과 아미노산이 Ascorbic Acid 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Stability of Ascorbic Acid in the Solutions of Sugars and Amino Acids)

  • 황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1호
    • /
    • pp.22-29
    • /
    • 1982
  • As sugar and amino acid were adde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2, 4-dinitrophenyl hydrazine method. The residual ascorbic acid was shown to increase slightly when sorbose, rhamnose or mannose was adde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whereas residual ascorbic acid was shown to decrease in time to the addition of other sugars. The effects of amino aci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were found that monoamino-mono, or dicarboxylic acids and aromatic amino acids increased the residual ascorbic acidity whereas diamino-monocarboxylic acids and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decreased the residual ascorbic acidity.

  • PDF

Amino Acid Profiles of Tropical Legumes, Cooper (Glycine wightii), Tinaroo (Neonotonia wightii) and Siratro (Macroptilium atropurpureum), at Pre-blooming and Blooming Stages

  • Tokita, Norio;Shimojo, Masataka;Masuda, Yasuhi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651-654
    • /
    • 200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ree tropical legumes (Cooper (Glycine wightii), Tinaroo (Neonotonia wightii) and Siratro (Macroptilium atropurpureum)) at two different stages (pre-blooming and blooming stages). Chemical composition and totally 16 amino acids of these plants were analysed for comparison of their composition among species at different growing stages and characterizing the amino acid pattern of these legumes.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plants ranged from 16% to 27% on a dry matter basis. The total amount of 16 amino acids analyzed in this experiment was highest at 89.7 mg/16 g N in Cooper at pre-blooming and lowest at 80.9 mg/16 g N in Glycine at blooming stage. Total amount of amino acids in each legume species tended to slightly decrease with their maturity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The percentage of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proline in the total amount of amino acids was dominant at 9% to 13%, and that of methionine was less than 1.6%. In this experiment it was concluded that three tropical legumes were rich in crude protein content and characterized by 16 different amino acids with lower sulfur-containing amino acid as methionine.

야생콩(Glycine soja Sieb. & Zucc.)의 종실성분 함량변이 (Variation of Seed Component Contents in Wild Soybean(Glycine soja Sieb. & Zucc.))

  • 윤홍태;서민정;김선림;안선옥;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08-111
    • /
    • 2005
  • 본 실험은 콩의 단백질함량을 높이고 단백질 특성을 개선시키며, 고 기능성 보유 콩을 육성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야생콩의 조단백, 조지방, 아미노산조성 및 isoflavone 함량을 분석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야생콩 132점의 조단백질함량은 평균 $45.4\%$이며, 함량범위는 $37.4\~50.2\%$이었으며, 조지방함량은 평균 $9.3\%$으로 일반 재배종콩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2. 총 아미노산의 평균 함량은 $19,214{\mu}g/g$, 함량범위는 $16,098\~22,112{\mu}g/g$ 수준이었으며, 황함유 아미노산인 methionine은 평균 $252.7{\mu}g/g$, cysteine은 $102.9{\mu}g/g$의 함량을 나타냈다. 3.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methionine과 cysteine은 각각 $1.3\%,\;0.5\%$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glutamic acid가 $16.1\%$로 가장 높았다. 4. 전체 아미노산 함량과 황함유 아미노산과의 상호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충남 부여수집종인 IT182823 과 경기 포천 수집종인 IT184213이 높은 황함유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냈다. 5. 총 아이소플라본의 평균 함량은 $1,105{\mu}g/g$이었으며, aglycone 중 genistein의 평균 함량이 $695.2{\mu}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daidgein, glycitein 순이었다. 6. Isoflavone과 genistein과의 상호관련성에 있어서 시험재료는 isoflavone 함량이 높으면 genistein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한국인(韓國人) 모유(母乳)와 우유(牛乳)의 성분(成分) 조성(組成)에 관(關)한 비교(比較) 연구(硏究) (I) -한국인(韓國人) 모유(母乳)와 우유중(牛乳中)의 Amino산(酸) 조성(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Human and Cow's Milk (I) -Amino Acid Composition of Human and Cow's Milk of Korea-)

  • 고영수;김정자;한인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권2호
    • /
    • pp.87-94
    • /
    • 1970
  •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human and cow's milk represents a standard of reference in infantnutrition. The amino acid compositions determined by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 Yanagimote Model LC-5. Protein in the human and cow's milk were found to be hydrolyzed to yield free amino acids. Qualitative data for free amino acids in the milk are as follows: 1) Amounts of acidic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nd aspartic acid in cow's milk were obserbed to be about 2 times compared with human milk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abundance in these amino acids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specific flavor of cow's milk. 2) It is much interesting that in the human milk the contents of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were high comparatively better than cow's milk; cystine was found to be 3 times ana methionine, 2 times. 3) In the human milk a high content of some 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threonine, isoleucine and leucine was demonstrated and a specific flavor sweet amino acids. 4) Large amounts of basic amino acid such as histidine was found to occur in human milk and arginine in cow's milk.

  • PDF

넙치의 백화현상 규명에 관한 연구 I. 멜라닌 색소 생성에 미치는 효소와 기질의 영향 (Studies on Albinic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I. Effects of Enzyme Activities and Substrates on Melanin Formation)

  • 최영준;강석중;조창환;명정구;김종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65
    • /
    • 1990
  •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효소 및 관련 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자연산 정상넙치와 양식산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 미립자 사료와 생물먹이인 Artemia 및 Rotifer에 대하여 단백질의 함량, 멜라닌 색소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아미노산 조성 및 비타민A와 C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정상넙치표피는 육질에 비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나, 백화넙치인 경우는 대체로 비슷한 값이었다. 사료중의 단백질 함량은 미립자 사료 중 Cl이 가장 높았다. catechal oxidase의 활성은 기질과 조효소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며, 백화 유무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dopa oxidase활성도 동일한 결과였다. 정상넙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백화개체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피의 경우는 정상넙치가 백화넙치에 비하여 7.5배 가량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으로 비교했을 때, 미립자 사료는 Artemia와 Rotifer보다 우수한 단백질원이었다. 그리고 정상넙치의 함황아미노산의 함유량은 백화넙치의 6.3배에 달하였다. 비타민A는 정상 및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C는 정상인 넙치표피가 백화넙치 표피에 비해 약 7.8배였으며, 미립자 사료는 100.83mg/100g으로서 사료 중 가장 높았다. 따라서 넙치표피의 멜라닌색소의 생성에는 기질인 방향족 아미노산과 함황아미노산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쌀보리 알콜발효 증류폐액으로부터 균체 단백질 생산을 위한 내열성 효모, Candida rugosa의 이용 (Application of Therrnotolerant Yeast, Candida rugosa for the Production of Yeast Protein from Rye Stillages)

  • 김영근;이기영;이용익;김만근;이철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1-287
    • /
    • 1993
  • Rye stillage was adopted as a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yeast biomass by a thermotolerant yeast Candida rugosa isolated from East Africa. In the batch fermentation, the yield of biomass and crude protein reached 4.9-8.4g/l and 2.2-3.5g/l, respectively, the rate of COD reduction was about 20%. Over 90% amount of main components such as glycerol and lactic acid were assimilated, but protein assimilation reached only to 38-45% of the initial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dry yeast biomass produced was 42-47% and sulfur-containing amino acid was revealed as limiting essential amino acid.

  • PDF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Grains Grown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Phenolic Compound and Amino Acid Contents

  • Narae Han;Koan Sik Woo;Jin Young Lee;Jiho Chu;Mihyang Kim;Yu-Young Lee;Moon Seok Kang;Hyun-Joo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72-580
    • /
    • 2023
  • Hypertension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renin-angiotensin system activity, leading to blood vessel constriction. Several synthetic compounds have been developed to inhibit renin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These drugs often have adverse side effects, driving the exploration of plant protein-derived peptides as alternative or supplementary treatments. This study assessed the phenolic compound and amino acid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5 South Korean staple crops. Sorghum had the highest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Millet grains, particularly finger millet (38.86%), showed higher antihypertensive activity than red beans (14.42%) and sorghum (17.16%). Finger millet was found to contain a large proportion of branched-chain, aromatic, and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which are associated with ACE inhibition. In particular, cysteine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E inhibition in the crops tested (r=0.696, p<0.01).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mino acid composition was more correlated with the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grains than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Finger millet mainly contained amino acids, which have higher ACE inhibitory activity, resulting in the strongest antihypertensive activity.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antihypertensive potential of select crops as plant-based food ingredients, offering insight into their biological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