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ester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9초

종류별 유화제가 찹쌀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Emulsifiers on the Quality of Waxy Rice Cake)

  • 신언환;황성연;최원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5
    • /
    • 2001
  • 유화제가 찹쌀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onoglyceride, lecithin, sugar ester를 찹쌀분말 대비 각각 0.5%, 1%씩 혼합하여 falling number, RVA를 측정하고 찹쌀떡을 제조한 후 5~7$^{\circ}C$ 사이에 서 냉장 보관하면서 색차계, 수분활성도, rheometer 등을 조사하였다. Falling number는 control과 mono-glyceride, lecithin 0.5%, 1%를 사용한 것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ontrol의 77.5에 비하여 sugar ester의 경우0.5%와1% 사용시 각각 88.4, 81로 높게 나와 sugar ester가 점도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찹쌀 분말의 호화개시온도는 66.78$^{\circ}C$이었으며 유화제를 첨가한 것은 66.45~67.05$^{\circ}C$로 유화제가 호화개시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최고점도는 lecithin이 227 RVU, 1% sugar ester가 228.5로 control 231.5에 비하여 낮아졌으며 그밖에 유화제는 최고점도 및 최종 점도가 control에 비하여 높아졌고 특히 1% sugar ester 사용한 것의 최종점도는 199.5 RVU로 가장 높게 나와 falling number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유화제를 첨가하여 찹쌀떡의 제조한 결과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노화가 지연되었으며 1% sugar ester 첨가시 지연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분 활성도는 저장 5일째 1% sugar ester를 사용한 것이 0.875로 가장 낮았고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 0.911로 가장 높게 나와 유화제가 찹쌀떡의 수분활성도를 낮추었으며 그 가운데 sugar ester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 PDF

반응추출을 이용한 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 서덕기;김광일;김우경;유인상;윤현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504-507
    • /
    • 2002
  • A separation/purification process for enzymatic sugar ester production was investigated The crude reaction mixture contained sugar ester and unreacted fatty acid in acetone. The reaction mixture was mixed with KOH/phosphate buffer. Hexane was then added to enhance phase separation. Three phases formed: a lower aqueous phase containing nothing of interest, a polar organic solvent middle phase that contained mostly fatty acid soaps, and a hexane-rich upper phase that contained mostly sugar ester. Distribution coefficient of each component was measured.

  • PDF

유화제가 호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ulsifiers on the Quality of Steamed Bread)

  • 황성연;엄익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77-983
    • /
    • 1999
  • 유화제가 호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onoglyceride, lecithin, diacetyl tartaric acid esters of mono- and diglyceride, sugar ester를 소맥분에 각각 1%씩 첨가하여 호화도, Alveogram 특성, 제빵실험, crumb softness 및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소맥분의 호화개시온도는 $63.80^{\circ}C$였으나 각종 유화제를 첨가한 것은 $59.40{\sim}62.95^{\circ}C$로 낮아졌다. 그러나 그밖의 물리적 호화특성은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달랐는데 1% sugar ester를 첨가한 것의 최종 점도와 set back값이 가장 낮아, 호빵의 노화를 억제하는데 sugar ester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Alveograph에서 diacetyltartaric acid esters of mono- and diglyceride의 P값(tenacity)이 가장 높았지만 L값(extensibility)이 가장 낮았다. 이는 diacetyl tartaric acid esters of mono- and diglyceride의 첨가가 반죽의 강화효과는 크지만 반죽의 신장성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72시간 저장후 crumb softness를 측정한 결과 1% monoglyceride를 첨가한 것이 가장 좋았고, 종합적 관능검사 결과도 제일 높게 나타났다.

  • PDF

유기용매계에서 Lipase에 의한 Fructose Ester의 합성 (Synthesis of Fructose Ester Compound by Lipase in Organic Solvent)

  • 신영민;이상옥;이재동;이태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1-186
    • /
    • 1997
  • 유기용매계에서 lipase AK를 사용하여 당 ester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유기용매로는 당의 용해도가 높고 반응성이 뛰어난 pyridine을, acyl donor로는 vinyl butyrate을 선택하였다. Transesterification반응에 의해 생성된 monobutyryl fructose와 dibutyryl fructose는 TLC 및 G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Transesterification에 미치는 반응조건은 fructose:vinyl butyrate의 비가 1:10(M/M), 반응온도 40^{\circ}C.$, 교반속도 150rpm, 효소량 10mg/ml의 경우가 적당하였으며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전환율이 높아져, 반응 10일 정도에서 전환율은 90% 이상에 도달하였다. 이때 반응 초기에는 monobutyryl fructose가 주로 합성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dibutyryl fructose의 함량비가 증가하였다. 반응계에 소량의 수분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감소함과 동시에 반응산물중 dibutyryl fructose의 양은 줄어들고 monobutyryl fructose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수분함량 1%에서는 monobutyryl fructose만이 생성되었다.

  • PDF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유기 용액에서의 효소에 의한 라우르산부틸에스테르의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Lauric Acid Butyl Ester in Organic Media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s)

  • 정용일;임경희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705-711
    • /
    • 2005
  • 프로테아제인 subtilisin A를 이용하여 유기 용매 안에서 당에스테르인 라우르산부틸에스테르를 합성하였다.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유기 용매로는 피리딘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냄새가 심하여 식품과 의약품에 사용되는 당에스테르를 합성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를 대체할 유기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유기 용매 안에서 당에스테르를 효소 합성하였으나 피리딘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피리딘을 근거로 하는 W/O 마이크로에멀젼을 만들어 당에스테르를 합성하였는데, Tween 60, Brij 56, 1-O-octyl-${\beta}$-D-glucopyranose과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을 때 수율이 우수하였다.

Determination of Mono- and Oligosaccharides Derivatized with p-Aminobenzoic Ethyl Ester by Reverse Phase HPLC

  • Kwon, Hyokjoon;Kim, Joon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859-864
    • /
    • 1995
  • Mono- and oligosaccharides are derivatized with p-aminobenzoic ethyl ester (ABEE), strongly absorbs UV light at 254 nm, in the presence of sodium cyanoborohydride. C18-bonded silica column is used for the separation of sugar-ABEE derivatives in an isocratic mode. RP-HPLC conditions are optimized by using ternary mixture as mobile phase and $45^{\circ}C$ as a column temperature. Sugar-ABEE derivatives are separated well within a short run time (ca. 25 min) by reverse-phase partition chromatographic mode. The ($1{\rightarrow}6$) linkage type of dihexose-ABEE derivatives has shorter retention time than ($1{\rightarrow}4$)-linkage type. After acid hydrolysis of glycoproteins with 2M trifluoroacetic acid, monosaccharide composition and contents are determined. This procedure is very useful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neutral and amino sugars in a single chromatographic step using RP-HPLC without reacetylation of deacetylated amino sugars, which are produced by acid hydrolysis.

  • PDF

도정도에 따른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Glutinous Rice Wines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 김혜련;이애란;권영희;이향정;조성진;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1
    • /
    • 2010
  • 원료 찹쌀의 도정도가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0% 도정찹쌀을 대조군으로 수율 기준으로 10, 20, 30% 도정한 찹쌀을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원료 찹쌀의 도정도에 따른 조지방 함량은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게 나타났고 17일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과 아미노산은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H는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총산은 1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형분 함량, 착색도, 자외부 흡수 및 환원당 함량은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중 malic acid와 acetic acid는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uccinic acid와 lactic acid는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에서 maltose와 glucose는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fructose는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원료 찹쌀의 도정도를 달리한 발효주는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알코올 함량과 아미노산은 감소하였고 고형분 함량, 착색도, 자외부 흡수, 환원당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맛 성분 중 입안의 중량감과 단맛을 나타내는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고 상큼하고 신맛을 나타내는 유기산 함량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alcohol 7종, ester 39종, acid 6종, aldehyde 1종, alkane 4종, alkene 1종, 기타 2종으로 60종이 검출되었다. 술의 주성분인 ethyl alcohol을 제외하고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콤하면서 견과류향 특성을 나타내는 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그 다음을 나타냈다.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과일, 와인 향 특성을 나타내는 hexanoic acid ethyl ester, 2-octe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향은 거의 없고 부드럽고 달콤한 oil 특성을 나타내는 ethyl oleat, ethyl linoleate와 succinic acid diethyl ester, isoamyl laurate의 면적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Ester류 외에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acid류 중 propanoic acid의 면적비율은 증가하였고 n-caprylic acid의 면적비율은 감소하였으며 alcohol류 중 1-hexanol과 2,3-butanediol의 면적비율은 증가하게 나타났다.

원료된장을 달리하여 제조한 저장쌈장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tored Samjangs with Different Doenjangs)

  • 김혜림;이택수;노봉수;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44
    • /
    • 1999
  • 막장, 재래식 된장, 막장과 재래식의 혼용된장을 주원료로 제조한 저장쌈장의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적정산도는 저장 30일 최대치를 보였고 재래식 된장구의 쌈장에서 높았다. 제조 직후에 비하여 저장쌈장의 총당은 감소, 환원당은 증가 경향을 보여 저장 40일에 총당 $16.52{\sim}19.58%$, 환원당 $11.45{\sim}12.35%$로 당함량이 높은 특색을 보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제조 직후 $45.0{\sim}53.0\;mg%$였으나 40일에 $337.3{\sim}381.1\;mg%$로 현저히 증가하였고 혼용구의 쌈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Glutamic acid는 $202.6{\sim}464.6\;mg/100g$으로 저장쌈장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함량이 높은 glutamic acid, tryptophane, alanine, cystine은 혼용구, 재래식 된장구, 막장구의 쌈장순으로 높았다. 40일 저장 쌈장에서 alcohol류 7종, ester류 4종, aldehyde류 6종, acid류 13종 등 총 42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검출된 향기성분은 ethonol, acetic acid ethylester, 2-phenylethanol등 10종이었다. 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phenylacetaldehyde, acetic acid, butanoic acid, 3-methylbutanoic acid, 2,4-hexadienioc acid의 면적비율이 높아 쌈장의 주향기성분이었다. 막장구의 쌈장에서는 2-phenylethanol, butandioic acid ethyl ester, butanoic acid, 2-methyl-2-butenoic acid가, 재래식된장구의 쌈장에서 ethanol, acetic acid, 2,4-hexadienioc acid, 혼용구의 쌈장에서는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butanoic acid, methyl pentanoic acid의 면적 비율이 각각 타시험구보다 높았다.

  • PDF

원료된장을 달리하여 제조한 쌈장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amjangs Prepared with Different Doenjangs As a Main Material)

  • 김혜림;이택수;노봉수;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4-61
    • /
    • 1998
  • 막장, 재래식 된장 및 막장과 재래식의 혼용 된장을 주원료로 제조한 쌈장의 일반 성분, 유리 아미노산, 향기성분 등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쌈장은 수분 $51.2{\sim}53.5%$, 염분 $11.47{\sim}14.05%$, 총당 $20.38{\sim}23.6%$, 환원당 $8.44{\sim}9.29%,\;pH\;4.76{\sim}5.53$의 범위로 총당은 막장구, 환원당은 혼용구의 쌈장에서 높았다. 쌈장의 유리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가 $230.6{\sim}310.9mg/100\;g$으로 가장 높았다. 쌈장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값은 재래식 된장구 및 혼용구된장구의 쌈장에서 높았다. 쌈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으로 acid류 13종, alcohol 11종, ester 7종, aldehyde 3종, alkane 4종, phenol 4종, pyraine 3종 등 총 54종이 동정되었다. 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 butanoic acid, 2,4-hexadienoic acid, acetic acid등은 면적비율이 높아 쌈장 향기의 주성분으로 추측된다. 막장구에서는 pentanoic acid methyl ester, 4-methoxy-2-buten-1-ol이 , 재래식 된장구에서는 2-methyl-1-propanol, butanoic acid, 3-methyl butanoic acid 등이, 혼용구에서는 ethanol, ethyl acetate, 2,4-hexadienoic acid 등의 향기성분이 각각 타시험구 보다 면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tibacterial Effect of Fructose Laurate Synthesized by Candida antarctica B Lipase-Mediated Transesterification

  • Lee, Ki Ppeum;Kim, Hyung Kwo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9호
    • /
    • pp.1579-1585
    • /
    • 2016
  • Sugar esters are valuable compounds composed of various sugars and fatty acids that can be used as antibacterial agents and emulsifiers in toothpaste and canned foods. For example, fructose fatty acid esters suppress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a typical pathogenic bacterium causing dental caries. In this study, fructose laurate ester was chosen as a target material and was synthesized by 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using Candida antarctica lipase B. We performed a solvent screening experiment and found that a t-butanol/dimethyl sulfoxide mixture was the best solvent to dissolve fructose and methyl laurate. Fructose laurate was synthesized by transesterification of fructose (100 mM) with methyl laurate (30 mM) in t-butanol containing 20% dimethyl sulfoxide. The conversion yield was about 90%, which was calculated based on the quantity of methyl laurate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ructose monolaurate (Mr 361) was detected in the reaction mixture by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The inhibitory effect of fructose laurate on growth of oral 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including S. mutans, Bacillus coagulans, and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was evalu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