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scapulari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1초

견갑하건 부착부의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 소견의 기술적 연구 (Descriptive Study for Sonographic Morphology of the 1st Facet of Subscapularis Footprint)

  • 손훈상;위찬국;손민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43-352
    • /
    • 2019
  • 목적: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 특히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적 영상 소견 및 그 크기를 기술하고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견갑하건 부착부에서 병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시행된 115예(평균 연령 53.4세, 범위 23-74세)를 최종 평가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에 대한 검사상 가장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2부착면 이하 부착면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넓고 평편한 형태와 상방으로 향하고 있는 제1부착면을 확인하였으며 제1부착면의 상완골 간부의 축에 대한 횡축과 종축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예의 나이, 성별, 키, 체중, 체질량지수 및 팔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측정된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평균 횡적 길이는 12.75 mm (범위 10.54-14.50 mm, 표준편차 0.712), 평균 종적 길이는 12.22 mm (범위 9.20-13.30 mm, 표준편차 0.888)였다. 성별간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크기는 횡적 길이와 종적 길이 모두에서 남성에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p=0.001). 양성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는 키, 체중, 체질량지수, 팔 길이 요소들 중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종적 및 횡적 크기 모두에서 키와 가장 강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였고(횡적 길이 r=0.749, p<0.001; 종적 길이 r=0.642, p<0.001), 체질량지수와는 약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좌우 부위 및 나이는 제1부착면의 크기와의 통계적 유의성이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의 초음파적 영상 평가를 시행하여 그 부착부, 특히 가장 상부의 제1부착면의 구조적 및 형태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견갑하건 파열에 대한 초음파 진단적 검사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극천(HT1)의 취혈과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upoint and Utilization of HT1)

  • 강태리;이상룡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4권4호
    • /
    • pp.185-190
    • /
    • 2017
  • Objectives :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use of HT1 in the shoulder disease through correct acupuncture. Methods : (1) The contents were compar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2) The literature was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shoulder pathology and anatomical structures. Results : (1) The location of HT1 is described as 'in the axilla, over the axillary artery' in many literature, and the depth of HT1 is as shallow as 1 cm. The WHO standard also follows this. (2) There were many references to 'in the axilla, between the big muscles' in later generations, but there were mixed opinions about the exact muscle names. Based on the acupunctural review and the musculoskeletal study, the big muscles are considered to be 'Pectoralis major' and 'Latissimus dorsi'. (3) Among the muscles constituting the rotator cuff, applying acupuncture on HT1 is essential for 'Subscapularis m.'.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stimulate 'Subscapularis m.' to a depth of 1.5 to 4 cm. Conclusions : The accurate acupoint of HT1 enables various uses of flank, armpit, shoulder and arm diseases as well as cardiopathy. Especially, it helps to treat the muscles through safe and effective acupuncture in shoulder rotator cuff disorder.

Relationship of Posterior Decentering of the Humeral Head with Tear Size and Fatty Degeneration in Rotator Cuff Tear

  • Kim, Jung-Han;Seo, Hyeong-Wo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3호
    • /
    • pp.121-127
    • /
    • 2019
  • Background: Posterior decentering is not an uncommon finding on rotator cuff tear patients' shoulder magnetic resonance imaging. No previous study has repor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erior decentering and rotator cuff tear. Methods: We assessed patients' rotator cuff tear humeral head positions based on humeral-scapular alignment (HSA).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centering and decentering groups based on a <2 mm or >2 mm HSA value, respectively. Differences in rotator cuff tear size, degree of tear, and fatty degene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Results: One hundred seventy-five patients (80 males, 95 females; mean age: $59.7{\pm}6.5$ years old) were selected as subjects (casecontrol study; level of evidence: 3). Tear size, degree of subscapularis tendon tear, and fatty degeneration of the supraspinatus, infraspinatus, and subscapularis musc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01, p<0.001, p<0.001). Conclusions: The occurrence of decentering was related to rotator cuff tear size, degree of subscapularis tendon tear, and fatty degeneration of the rotator cuff muscles.

수술이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기 위한 수술 전 어깨 MRI 소견 (Preoperative Shoulder MRI Findings to Predict Subscapularis Tendon Tear Requiring Surgical Repair)

  • 정지훈;조영훈;김여주;이승훈;류정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71-183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MRI의 다양한 간접 소견 중 어떤 소견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는 데 가장 주요한 것인지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총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견갑하건 파열의 직접평가,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 상완골두의 후방위, 상완골 회전, 견갑하근의 지방변성과 위축을 평가하였다. En-face 보기에서 부리돌기의 끝과 관절오목의 기저를 연결한 base-to-tip line (이하 BTL)을 이용한 육안 등급 및 두께 측정을 통해서 위축을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경 시술에서 31명(36%)의 환자가 Lafosse type III 또는 IV의 견갑하건 파열을 보여, 재건수술을 받았다.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p = 0.002),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2), 견갑하근의 지방 변성(p < 0.001), BTL 등급(p = 0.003)은 견갑하건 파열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1, odds ratio [이하 OR] = 5.14)와 견갑하근의 지방변성(p = 0.046, OR = 2.81)은 견갑하건 파열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결론 상완골두의 후방위와 지방변성은 견갑하건 파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판독하는 것은 최적의 수술 전략을 계획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Subscapular and Pectoralis Major Sparing Deltopectoral Approach for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 Chung, Young-Woo;Seo, Jae-Woong;An, Ki-Yo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2호
    • /
    • pp.110-112
    • /
    • 2019
  • In reverse ball shoulder replacement, surgery is usually performed using a deltopectoral approach or an anterosuperior transdeltoid approach. The deltopectoral approach is to incise the pectoralis major to upper 1/3 to 1/2, and subscapularis tendon should be removed at the lesser tuberosity of the humerus. This approach has the problem of breaking the shoulder deltoid instead of incising the rotator cuff. Therefore, we report a detailed procedure of reverse ball shoulder replacement using approach without incision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and subscapularis muscle.

견관절 오구돌기 골절의 고정 후 발생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 증례 보고 - (Subcoracoid impingement After the Fixation of the Fractured Coracoid Process -A Case Report-)

  • 구정회;조형래;조수현;황태혁;박만준;최재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2-195
    • /
    • 2010
  • 상완골두의 전상방부와 전방 오구견봉 궁 사이의 비정상적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전방부 동통을 유발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이는 견관절부의 수술적 치료로 인해 오구돌기와 소결절 사이의 해부학적 관계가 변형되어 견갑하근과 점액낭을 포함한 주변 연부조직의 충돌을 유발 하게 된다. 저자들은 오구돌기 골절을 유관나사를 이용해 고정한 환자에서 오구돌기하 공간의 협소화로 인해 견갑하건 파열을 동반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을 경험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유관나사 제거 및 견갑하건 봉합 시행 후 술전 환자의 증상은 소실되었다.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수술 후 지속적 견관절 동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