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mucosal tumor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5초

연구개 및 구개수에 발생한 편평세포암종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OFT PALATE AND UVULA)

  • 김창룡;조규승;김기영;이성훈;이승호;박문성;류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673-678
    • /
    • 1996
  •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와 상기도에서 수행하는 기능으로 인해 수술후에 발음이나 연하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연구개 및 구개수에 발생한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저자들은 술전 항암화학요법과 외과적 절제술 그리고 6000 cGy의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여 치료하였다. 2년 이상 경과한 현재까지 재발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고 비교적 양호한 기능을 보이고 있다.

  • PDF

식도암에서 경열공 식도절제술의 적용에 대한 고찰 (Transhiatal Esophagectomy in Esophageal Cancer)

  • 박재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773-778
    • /
    • 2002
  • 식도암에 대한 주된 치료법은 외과적 절제로서, 식도암 수술 후의 성적은 불량한 가운데에서도 지난 20여년 간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리고 예후가 불량한 식도암에서의 수술은 근본적으로 보존적인 치료로서의 의미가 커서, 수술에 의한 이병률과 사망률이 낮고 연하기능과 더 나아가서 생존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면 소기의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식도암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는 식도절제술은 크게 식도열공을 통한 비개흉적 식도절제술과 개흉적 식도절제술로 대별할 수 있으며, 전자의 큰 장점은 수술시간이 단축되어 수술에 의한 이병률과 사망률이 낮으며, 호흡기계에 대한 장해도 적어 입원기간이 단축된다는 점이다. 이 수술의 적응으로는 이론의 여지가 있으나 크게 다발성의 표재성 병변(T1)과 절제가 가능하나 전신상태가 불량하여 개흉술에 위험이 따르는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식도암환자에 대한 경열공 식도절제술식의 적용기준과 술식, 그리고 성적 등에 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기술하였다.

비음측정기를 사용한 구개열 언어의 평가 및 치료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he Cleft Palate Speech Disorder by Use of the Nasometer)

  • 신효근;임대호;황상준;김동칠;김현기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8
  • In cleft palate patient, characteristic of speech disorder is the resonance disorder result from velopharyngeal incompetence. Clinically VPI caused by congenital factor as congenital palatal incompetence, submucosal cleft palate, and caused by acquired factor as CNS damage, tumor, palatal palsy. The clinicians more concerned about the speech disorders after cleft palate surgery rather than language pathologist. The resonance disorder devided for hypernasality, hyponasality and nasal emission, but as a rule, hypernasality is typical phenomenon of the resonance disorder. Traditionally clinicians and language pathologists evaluated four-stage or five-stage of hypernasality by subjective assessment. Although language pathologist is well-trained, results of the language level should be different. In late 1980s, Kay Elemetrics Corp. developed nasometer that objective nasalance identified with well-trained language pathologist and originate from nasometer Tonar I and II were developed by Fletcher. Therefore objective nasalance test was possible, the nasometer used in hospital, collage and speech clinic both and home and abroad. Standardization of the cleft palate speech assessment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because of different character result in different language and different assessment results by dialect in same language. In our study, we provide the data base for the standardization of cleft palate speech assessment which through report of objective assessment method, speech therapy effects and problems result in interdisciplinary teamwork by nasometer use in treatment of cleft palate patient.

  • PDF

기관에서 발생한 점액선 선종 1예 (A Case of Mucous Gland Adenoma of the Trachea)

  • 권한진;설재일;채수엽;최혜영;엄민섭;김현일;오용열;조호;김휘정;이종환;이효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91-95
    • /
    • 2000
  • 성인의 기관에서 발생한 점액선 선종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저자 등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지에서 발견된 기관의 점액선 선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표층 확장형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perficially Spreading Early Gastric Cancer)

  • 권성준;김형주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88-294
    • /
    • 2005
  • 목적: 표층 확대형 조기위암은 위벽 내로의 깊은 침윤은 없으면서 위의 표층부를 넓게 퍼져 나가는 성장형태가 특징이다. 이는 조기 위암 가운데 드문 형태로서 이들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은 아직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규명 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고 조기위암이 확인된 38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가운데 종양의 최대 직경이 6 cm 이상이거나 종양의 면적이 $5{\times}5cm\;(25cm^2)$ 이상이었던 69명을 표층 확대형, 그 이하인 319명은 일반 형으로 정의하고 두 그룹 사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표층 확대형의 경우 일반형에 비하여 림프절 전이, 미만형, 림프관 침윤이 의미 있게 많았다. 표층 확대형에서 림프절 전이 위치는 위 주위와 총간동맥 주위, 좌위동맥 주위에 국한되었다. 종양의 변연부와 절제선까지의 거리가 10 mm 이하이나 절제선 내 암침윤은 음성이었던 6예는 추적관찰 기간($4 {\sim}13$년)동안 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 단 변량 생존 분석에서 58세 이상의 연령, 위 상부1/3 위치 암, 림프절 전이 예, 점막하층 침윤 예 등이 의미 있는 불량예후인자였다. 다변량 생존분석에서는 연령 및 림프절 전이 여부만이 독립적인 예후관련 인자였다. 그러나 표층 확대형 여부는 의미 있는 예 후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표층 확대형 조기 위암은 조직학적으로 특징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으나 이의 치료 시 절제선 음성을 확인하며 위절제술을 시행하고 림프절은 $D1+{\beta}$범위에서 곽청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 할 수 있겠다. 수치는 체내 그렐린 생성량을 반영하지 못한다. 위는 그렐린 생성의 주요 장소이며 위 절제 범위에 따라 혈중 그렐린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위전절술 후 다른 장기에서 그렐린이 대상성으로 더욱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배 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낸 반면, $100{\mu}M$ 농도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작용기전은 MITF 단백질을 조절함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얻었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건측 보다 10도의 굴곡 제한이 있었다. 결론: 자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재건술 시, 경골 부의 고정 시 슬관절의 굴곡 각도 따른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에 차이는 없었으나, 신전 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과도한 이식 건의 장력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라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근 추출물 경구 투여가 간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ALT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근 추출물이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생성량을 측정하여 보았으나 대조군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트레스가 부하된 5일 동안 연근(蓮根)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결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뇌 조직내 noradrenaline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 PDF

소세포 폐암에서의 위 전이 2예 (Two Cases of Gastric Metastasis from Small Cell Lung Cancer)

  • 유광하;김형중;안철민;이세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73-280
    • /
    • 1999
  • 저자들은 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된 환자에서 오심 구토 혈변등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여 상부 위 내시경 검사 및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위장으로의 전이를 확인한 2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조기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재발예측인자 (Risk Factors for Recurrence after Curative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

  • 신동우;형우진;노성훈;민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2호
    • /
    • pp.106-112
    • /
    • 2001
  • Purpose: Even with excellent surgical outcome, recurrence of early gastric cancer (EGC) after a curative resection is not declining because the incidence of EGC is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y by assessing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curatively resected early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f 3662 patients who had undergone gastric resections for gastric cancer from 1987 to 1996, the cases of 1050 curatively resected EGC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mong those 1050 patients, 50 patients ($4.8\%$) were diagnosed as having recurrent cancer, which was confirmed by clinico-radiological examination or re-operation. The risk factors that determined the recurrence patterns were investigated by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The mean time to recurrence was 30.9 months, and hematogenous recurrence was the most frequent type ($32.0\%$). Among the 50 recurred patients, peritoneal recurrence showed the shortest mean time to recurrence ($18.5\pm17.7$months). Between the recurred and the non-recurred pati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age, sex, operation type, tumor size, tumor location, gross appearance, or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However, depth of invasion (submucosal invasion) and nodal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nodal involve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in early gastric cancer (P<0.001). The median survival after the recurrence had been diagnosed was 4 months. Conclusion: Although the prognosis for EGC patients is excellent and recurrence of EGC after a curative resection is rare, the time to recurrence and the patterns of recurrence in EGC patients were diverse and unpredictable, and the result after recurrence is dismal. Considering the impact of lymph node metastasis on recurrence of EGC, a systematic lymphadenectomy, rather than limited surgery, should be performed if lymph node involvement is confirmed pre- or intraoperatively. Also if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reveal lymph node involvement, adjuvant chemotherapy is recommended.

  • PDF

Long-term Observation of Gastric Adenocarcinoma of Fundic Gland Mucosa Type before and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Case Report

  • Takahashi, Keitaro;Ueno, Nobuhiro;Sasaki, Takahiro;Kobayashi, Yu;Sugiyama, Yuya;Murakami, Yuki;Kunogi, Takehito;Ando, Katsuyoshi;Kashima, Shin;Moriichi, Kentaro;Tanabe, Hiroki;Kamikokura, Yuki;Yuzawa, Sayaka;Tanino, Mishie;Okumura, Toshikatsu;Fujiya, Mikihir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1호
    • /
    • pp.103-109
    • /
    • 2021
  • Gastric adenocarcinoma of the fundic gland mucosa type (GA-FGM) was proposed as a new variant of gastric adenocarcinoma of the fundic gland type (GA-FG). However, at present, the influence of Helicobacter pylori and the speed of progression and degree of malignancy in GA-FGM remain unclear. Herein, we report the first case of intramucosal GA-FGM that was endoscopically observed before and after H. pylori eradication over 15 years. The lesion showed the same tumor size with no submucosal invasion and a low MIB-1 labeling index 15 years after its detection using endoscopy. The endoscopic morphology changed from 0-IIa before H. pylori eradication to 0-IIa+IIc and then 0-I after H. pylori erad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naltered tumor size reflects low-grade malignancy and slow growth, and that the endoscopic morphology is influenced by H. pylori eradication.

A Nomogram for Predicting Extraperigastric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 Hyun Joo Yoo;Hayemin Lee;Han Hong Lee;Jun Hyun Lee;Kyong-Hwa Jun;Jin-jo Kim;Kyo-young Song;Dong Jin Kim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3권2호
    • /
    • pp.355-364
    • /
    • 2023
  • Background: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D1 or D1+ lymph node dissection in early gastric cancer (EGC).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omogram for estimating the risk of extraperigastric lymph node metastasis (LNM).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9 and 2019, a total of 4,482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T1 disease at 6 affiliated hospit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basic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xtraperigastric LNM groups were compared. The possible risk factors were evaluat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Based on these results, a risk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A nomogram predicting extraperigastric LNM was used for internal validation. Results: Multivariate analyses showed that tumor size (cut-off value 3.0 cm, odds ratio [OR]=1.886, P=0.030), tumor depth (OR=1.853 for tumors with sm2 and sm3 invasion, P=0.010), cross-sectional location (OR=0.490 for tumors located on the greater curvature, P=0.0303), differentiation (OR=0.584 for differentiated tumors, P=0.0070), and lymphovascular invasion (OR=11.125, P<0.001) are possible risk factors for extraperigastric LNM. An equation for estimating the risk of extraperigastric LNM was derived from these risk factors. The equation was internally validated by comparing the actual metastatic rate with the predicted rate, which showed good agreement. Conclusions: A nomogram for estimating the risk of extraperigastric LNM in EGC was successfully developed.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applying this model because it was developed based on pathological data, it can be optimally adapted for patients who require curative gastrectomy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위암 환자에서 F-18 FDG 전신 PET의 소견 (Findings of F-18 FDG Whole Body PET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 김병일;이종인;양원일;이재성;천기정;최창운;임상무;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01-312
    • /
    • 2001
  • 목적: 위암은 한국에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에 하나이지만 PET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는 위암 환자에서 PET의 소견 및 수술 전 일차병소, 영역 림프절 전이 및 재발의 진단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위암으로 진단 받은 뒤 수술이 예정된 13명의 위선암 환자에서 PET 및 CT를 시행하고 수술결과와 비교하였다. 일차병소에서는 FDG 섭취율과 예후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재발의 경우에서는 위암으로 인한 수술을 받고 경과관찰 중 재발이 의심되거나 혹은 재발 진단 후 치료방침결정을 위한 범위 결정을 위해 PET가 시행되었던 환자들 중에서, 재발진단을 위한 검사들이 시행되었던 1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문합 부위 및 원격전이로 나누어 예민도를 구하였으며, 종양표지자의 상승과 PET의 진단을 비교하였다. 결과 일차병소 14개 중에서 PET 12개, CT 10개를 진단하여 예민도가 각각 83.3%, 71.4%였으며 검사 간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다. PET에서 발견하지 못한 2개의 병소는 점막하 병소였으며 일차병소의 FDG 섭취율과 일차병소의 크기, 침윤정도, Borrmann 형, 수술 후 병기, 분화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위주위 림프절은 101개의 전이가 있었으며 PET, CT의 예민도가 각각 8.9%, 9.9%였다. 영역림프절은 12개의 전이가 있었으며 PET, CT의 예민도가 둘다 58.3%였으며 분화도와 진단 여부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크기와는 관계가 있어 1cm 미만의 림프절은 두 검사 모두에서 진단율이 떨어졌다. 재발 진단에서 문합부위의 재발이 4예가 있었으며 PET에서 모두 진단되어 예민도가 100%였으나 위양성이 3예가 있었다. 원격전이의 진단은 14예에서 원격전이가 있다고 판정되었는데 PET에서는 9예를 진단하여 예민도가 64.3%로 기존의 검사법들의 예민도 21.4%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x^2=6$, p<0.05). 종양표지자만 상승한 경우에서 PET의 예민도가 60.0%로 기존 검사의 20.0%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x^2=4$, p<0.05). 결론: PET는 위암의 재발 진단에서 원격전이의 경우 기존의 검사보다 유용한 검사이다. 수술 전의 경우에서는 기존의 검사와 대등한 진단 성능을 보였으며 수술 전 윈격전이의 진단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