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mucosal tumor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출혈을 동반한 거대 위 신경초종 1예 (A Case of Giant Gastric Schwannoma Accompanied with Bleeding)

  • 김제연;안지영;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47-51
    • /
    • 2006
  • 위에서 생기는 점막하 종양은 내시경적 조직검사로는 그 기원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막하 종양 중, 슈반 세포(Schwann cell)로부터 분화하여 생기는 종양을 신경초종(Schwannoma)이라고 하며, 위에서 생기는 전체 종양의 0.2%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증례는 2개월 전부터 시작된 다량의 흑색변과 빈혈을 주소로 내원한 57세 여자 환자에 대한 보고이다.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및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위 분문에서 3 cm정도 아래부터 위각 직상부까지 위체부 소만을 대부분 차지하는 약 8 cm 이상의 돌출된 종양이 관찰되었고, 수 차례에 걸친 내시경적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괴사조직과 육아종성 조직, 만성 위염 소견만 반복해서 나왔다. 출혈을 동반한 진행성 위암, 림프종 등을 생각하여 정확한 진단 및 출혈에 대한 치료를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조직검사에서 전반적으로 소엽상 형태(lobulating pattern)로 주변에 림프구 침윤(lymphocyte cuffing)이 있었고 책상핵(palisading nuclei), 방추세포(spindle-cell) 등이 보였다. C-kit, CD34, SMA 모두 음성이었으며 S-100 양성으로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Risk-Scoring System for Prediction of Non-Curativ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Requiring Addition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 Kim, Tae-Se;Min, Byung-Hoon;Kim, Kyoung-Mee;Yoo, Heejin;Kim, Kyunga;Min, Yang Won;Lee, Hyuk;Rhee, Poong-Lyul;Kim, Jae J.;Lee, Jun Hae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4호
    • /
    • pp.368-378
    • /
    • 2021
  • Purpose: Whe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EGC) undergo non-curativ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requiring gastrectomy (NC-ESD-RG), additional medical resources and expenses are required for surgery. To reduce this burden, predictive model for NC-ESD-RG is required. Materials and Methods: Data from 2,997 patients undergoing ESD for 3,127 forceps biopsy-proven differentiated-type EGCs (2,345 and 782 in training and validation sets, respectively) were reviewed. Using the training set, the logistic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determined the independent predictors of NC-ESD-RG (NC-ESD other than cases with lateral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or piecemeal resection as the only non-curative factor). Using these predictors, a risk-scoring system for predicting NC-ESD-RG was developed. Performance of the predictive model was examined internally with the validation set. Results: Rate of NC-ESD-RG was 17.3%. Independent pre-ESD predictors for NC-ESD-RG included moderately differentiated or papillary EGC, large tumor size, proximal tumor location, lesion at greater curvature, elevated or depressed morphology, and presence of ulcers. A risk-score was assigned to each predictor of NC-ESD-RG.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for predicting NC-ESD-RG was 0.672 in both training and validation sets. A risk-score of 5 points was the optimal cut-off value for predicting NC-ESD-RG, and the overall accuracy was 72.7%. As the total risk score increased, the predicted risk for NC-ESD-RG increased from 3.8% to 72.6%. Conclusions: We developed and validated a risk-scoring system for predicting NC-ESD-RG based on pre-ESD variables. Our risk-scoring system can facilitate informed consent and decision-making for preoperative treatment selection between ESD and surgery in patients with EGC.

Predictive Significance of Promoter DNA Methylation of Cysteine Dioxygenase Type 1 (CDO1) in Metachronous Gastric Cancer

  • Kubota, Yo;Tanabe, Satoshi;Azuma, Mizutomo;Horio, Kazue;Fujiyama, Yoshiki;Soeno, Takafumi;Furue, Yasuaki;Wada, Takuya;Watanabe, Akinori;Ishido, Kenji;Katada, Chikatoshi;Yamashita, Keishi;Koizumi, Wasaburo;Kusano, Chik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4호
    • /
    • pp.379-391
    • /
    • 2021
  • Purpose: Promoter DNA methylation of various genes has been associated with metachronous gastric cancer (MGC). The cancer-specific methylation gene, cysteine dioxygenase type 1 (CDO1), has been implicated in the occurrence of residual gastric cancer. We evaluated whether DNA methylation of CDO1 could be a predictive biomarker of MGC using specimens of MGC developing on scars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Materials and Methods: CDO1 methylation values (TaqMeth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33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EGC) with no confirmed metachronous lesions at >3 years after ESD (non-MGC: nMGC group) and 11 patients with MGC developing on scars after ESD (MGCSE groups: EGC at the first ESD [MGCSE-1 group], EGC at the second ESD for treating MGC developing on scars after ESD [MGCSE-2 group]). Each EGC specimen was measured at five locations (at tumor [T] and the 4-point tumor-adjacent noncancerous mucosa [TAM]). Results: In the nMGC group, the TaqMeth values for 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TAM (P=0.0006). In the MGCSE groups, TAM (MGCSE-1)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TaqMeth values than TAM (nMGC) (P<0.0001) and TAM (MGCSE-2) (P=0.0041), suggesting that TAM (MGCSE-1) exhibited CDO1 hypermethylation similar to T (P=0.3638). The area under the curve for discriminating the highest TaqMeth value of TAM (MGCSE-1) from that of TAM (nMGC) was 0.81, and using the cut-off value of 43.4, CDO1 hypermethylation effectively enriched the MGCSE groups (P<0.0001). Conclusions: CDO1 hypermethylation has been implicated in the occurrence of MGC,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promising MGC predictor.

백서에서 Formalin의 방광점막하주사가 방광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mucosal Formalin Injection on Bladder Wall in Rats)

  • 이동헌;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13-120
    • /
    • 1987
  • 백서에서 formalin의 방광점막하주사가 상피의 탈락을 일으키는지의 여부와 기타 방광벽에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Sprague-Dawley 수컷 흰쥐(체중 350gm 내외) 36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Nembutal 복강내 마취하에 방광을 노출한 다음 생리적 식염수, 10% formalin과 4% formalin을 각각 0.01ml씩 각군 동물의 방광점막하에 주사한 후 1일, 2일, 3일, 1주, 2주 그리고 4주째에 방광을 적출하여 방광벽에 나타나는 육안적,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0% formalin 주사군에서는 제 1주부터 4% formalin 주사군과 생리적 식염수 주사군에서는 제 2주부터 방광결석 형성을 볼 수 있었다. 2. 10% formalin 주사군과 4% formalin 주사군에 있어서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3. Formalin 주사군에서는 점막궤양 또는 현저한 정막붕괴가 24시간째에 나타나고 점막재생은 제 2일부터 시작하여 제 3일에 현저하였고 제 1주에는 거의 정상적인 상피화를 보였다. 4. 상피하 부종, 혈판확장 및 염증반응은 24시간 째에 현저하였고, 상피하 부종은 제 1주까지, 혈판확장과 염증반응은 제4주까지 중등도로 지속되었다. 섬유아세포증식은 제2일부터 나타나 제4주까지 중등도로 지속되었다. 5. 본 실험중 동물이 죽거나 방광천공을 일으킨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formalin의 방광점막하 주사는 이로 인해 파괴되는 조직의 범위와 그 재생과의 관계가 보다 명백히 규명되면 재발성 표재성 방광암 환자의 선별적인 예의 치료에 응용해, 볼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내시경 초음파 영상의 점막하 종양 분석 (Submucosal Tumor Analysis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Images)

  • 김광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044-1050
    • /
    • 2010
  • 내시경 초음파는 초음파 진동자를 내시경 끝에 부착하여 그 주위의 장기를 관찰할 목적으로 개발된 의료기기이다. 내시경 초음파 검사는 점막하 종양을 직접 관찰 할 수 있어 종양의 병리 소견이 예측 가능하지만, 종양의 악성화 여부 등에 대해 주관적인 소견이 개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관적인 소견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객관화하여 질병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 종양의 각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내시경 초음파 검사로 얻어진 초기 영상에서 분석에 필요한 초음파 영역을 추출한다. 초음파 영역은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명암도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객관적인 분석에는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초기 검사 시에 매질로써 주입되는 물 영역의 명암도를 기준으로 하여 초음파 영역의 명암도를 표준화 한다. 표준화된 초음파 영역에서 전문의에 의하여 선택된 종양 영역에 LVQ 알고리즘과 비트 평면 분할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에코가 높은 spot 영역과 칼슘이 침착된 영역을 추출하고 분석한다. 종양 영역의 세밀한 분석을 위하여 명암도 값과, 종양 영역 내에서 전문의가 임의로 선택한 두 지점의 거리에 포함된 명암도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선택된 종양의 악성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종양 영역에서 외곽의 기울기를 계산한다. 내시경 초음파 영상에서 각 질병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제시된 방법이 종양이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도 림프종 -1례 보고- (A Case of Primary Esophageal Malignant Lymphoma -A Case Report-)

  • 허균;박영우;김현조;허재학;정윤섭;염욱;진소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318-321
    • /
    • 2002
  • 식도림프종은 위장관 림프종 중 드문 질환으로 현재가지 국내에서 보고된 바는 없었다. 62세 남자환자가 수술 전 식도점막하 종양으로 진단받고 식도점막을 포함한 종양 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수술부위의 leakage로 인해 식도절제술과 식도-위문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조직 검사상 식도림프종으로 확인 되었으며 수술후 화학요법은 시행하지 않았으나 1년 추적관찰 결과 재발의 증거는 없었다. 저자는 최근 식도림프종 1례를 경험하여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식도의 평활근종과 공존하는 표재성 식도암 (Superficial Esophageal Carcinoma Coexisting with Esophageal Leiomyoma)

  • 박지권;전순호;김영학;정원상;김혁;이철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76-79
    • /
    • 2005
  • 식도에서 간엽세포 종양과 상피성세포 종양의 공존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식도 평활근종의 점막표면에 위치한 편평상피세포암 수술 치험 1예를 보고한다. 내원 3개월 전부터 음식 섭취시 연하통을 주소로 내원한 76세 남자 환자에서 수술 전 검사로 석회화를 동반한 식도 점막하종양을 의심하였고, 종양을 덮고 있는 불규칙한 점막의 식도내시경 조직검사로 편평상피세포암의 공존을 수술 전에 진단하였다. 우측 개흥과 개복으로 흉부 식도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을 시행하였다. 수술 25개월이 경과한 현재까지 재발의 소견 없이 정상 생활을 하고 있다. 두 종양 사이의 관계의 가능성과 빈도에 대해 문헌 고찰을 한다.

Gastric Adenocarcinoma of Fundic Gland Type with Aggressive Transformat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a Case Report

  • Okumura, Yasuhiro;Takamatsu, Manabu;Ohashi, Manabu;Yamamoto, Yorimasa;Yamamoto, Noriko;Kawachi, Hiroshi;Ida, Satoshi;Kumagai, Koshi;Nunobe, Souya;Hiki, Naoki;Sano, Takesh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4호
    • /
    • pp.409-416
    • /
    • 2018
  • A 55-year-old man visited our hospital for a detailed examination of a gastric submucosal tumor that was first detected 10 years prior. The tumor continued to grow and had developed a depressed area in its center. 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biopsy specimens revealed gastric adenocarcinoma of the fundic gland type (GA-FG). It was diagnosed as T2 based on the invasion depth as determined by white-light endoscopy and endoscopic ultrasonography. A total gastrectomy with lymphadenectomy was performed and a GA-FG in the mucosa and submucosa was 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However, there was a gradual transition to an infiltrative tubular adenocarcinoma with poorly differentiated components in the muscular and subserosal layers. Metastasis was identified in a dissected lymph node (LN).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GA-FG progressing to an aggressive cancer with LN metastasis. These findings modify our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GA-FG.

Endoscopic resection of gastric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using clip-and-cut endoscopic full-thickness resection: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cohort in Korea

  • Yuri Kim;Ji Yong Ahn;Hwoon-Yong Jung;Seokin Kang;Ho June Song;Kee Don Choi;Do Hoon Kim;Jeong Hoon Lee;Hee Kyong Na;Young Soo Park
    • Clinical Endoscopy
    • /
    • 제57권3호
    • /
    • pp.350-363
    • /
    • 2024
  • Background/Aims: To overcome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classic endoscopic resection for gastric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ole and feasibility of clip-and-cut procedures (clip-and-cut endoscopic full-thickness resection [cc-EFTR]) for gastric GIS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83 patients diagnosed with GISTs after endoscopic resection between 2005 and 202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Moreove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and cc-EFTR were performed in 51 and 32 patients, respectively. The GISTs were detec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for ESD (52.9%) and cc-EFTR (90.6%). Within the cc-EFTR group, a majority of GISTs were located in the deep muscularis propria or serosal layer, accounting for 96.9%, as opposed to those in the ESD group (45.1%). The R0 resection rates were 51.0% and 84.4% in the ESD and cc-EFTR groups, respectively. Seven (8.4%) patients required surgical treatment (six patients underwent ESD and one underwent cc-EFTR,) due to residual tumor (n=5) and post-procedure adverse events (n=2). Patients undergoing R0 or R1 resection did not experience recurrence during a median 14-month follow-up period, except for one patient in the ESD group. Conclusions: cc-EFTR displayed a high R0 resection rate; therefore, it is a safe and effective therapeutic option for small gastric GISTs.

pT1N3 위암 (pT1N3 Gastric Cancer)

  • 안대호;권성준;윤효영;송영진;목영재;한상욱;김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109-113
    • /
    • 2006
  • 목적: 위내시경의 보급으로 조기위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축소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장점도 있으나 림프절 곽청의 측면에서 제한점이 있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하는 조기위암의 대부분은 UICC-TNM 분류의 N1 또는 N2이지만 드물게 N3의 보고도 있다. pT1N3 위암은 증례보고는 있지만 review논문은 없어서 특성을 이해하거나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어렵고 UICC-TNM에서 4기로 예후가 나쁜 위암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저자들은 국내 6개 대학에서 9예의 pT1N3 위암 치험예를 모아서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한양의대,충북의대,고려의대 구로병원, 아주의대, 가톨릭의대 성가병원의 6개 병원에서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의무기록 분석이 가능하였던 기간동안 수술을 받았던 2,772예의 조기위암 중에서 UICC-TNM의 pT1N3 위암 9예를 분석하였다. 비교 대조군은 분당 차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10예의 조기위암 환자이다. 결과: 9예는 전체 조기 위암 2,772예의 0.32%이며 남자는 3명, 여자는 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7세였다. 점막암이 2예, 점막하층암이 7예이고 전이된 림프절의 수는 18에서 52개로 평균 27개였다. 5예는 표층 팽창형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고 종양의 크기도 N3군이 N0, N1, N2군보다 컸다. 7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1예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비치유 절제가 되었고 2예에서 조기재발이 있는 등 예후가 불량하였다. 결론: pT1N3 위암의 위험 인자로는 여성, 점막하층암,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을 들 수 있다. pT1N3 위암의 존재는 조기위암의 축소 치료 시 주의를 요하며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항암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