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luxa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8초

동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주관절 척골 신경 아탈구 (Ulnar Nerve Subluxation Diagnosed by Dynamic Ultrasonography)

  • 지종훈;정재중;김영율;강현택;박상은;김동진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9-83
    • /
    • 2010
  • 근골격계 초음파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정형외과적 질환의 진단을 위해 유용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MRI가 해부학적 구조나 변이를 발견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건이나 신경의 탈구 또는 아탈구 등과 같은 동적인 조건의 경우에는 초음파, 특히 동적 초음파의 유용성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주관 증후군 유사 증상을 보인 환자에서 동적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척골 신경 아탈구를 확인한 후, 척골 신경 이전술을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 주관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척골 신경 아탈구 환자에게 동적 초음파의 이용은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하여 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편마비 환자에서의 견관절 아탈구 진단에 유용한 촬영법 (Radiological Projection for Diagnosis of Shoulder Subluxa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legia)

  • 조광호;강영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3호
    • /
    • pp.253-259
    • /
    • 2009
  • 연구목적 : 편마비 환자에 있어 견부 아탈구 진단에 유용한 촬영법을 알아보고, 편마비 상태를 고려한 촬영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중 마비측 견관절 부위의 견봉 끝과 상완골두 사이가 1 수지폭 이상인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견관절 전후방향촬영은 누운 자세와 앉은 자세의 영상을 비교하였고, 흉곽을 통한 상완골 측방향 촬영은 앉은 자세에서 건측과 환측의 영상을 비교하였다. 축방향 촬영은 누운 자세에서 건측과 환측을 비교하였고, 상완골두의 중심, 관절와의 중심, 견봉의 최하외측단의 3가지 기준점으로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비교 분석(t-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대상자를 누운 자세에서 앉히고 견관절 자연지위를 취한 후 견관절 아탈구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평균 123초였다. 견관절 전후 방향 촬영에서 상완골두의 중앙점과 견봉의 최하외점과의 거리가 누운 자세에서는 평균 $49.90{\pm}13.6\;mm$이었고, 앉은 자세에서는 $60.72{\pm}16.3\;mm$이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흉곽을 통한 측방향 촬영에서는 환측 $35.92{\pm}6.2\;mm$, 건측 $28.76{\pm}5.4\;mm$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누운 자세의 견관절 축방향 촬영에서는 건측과 환측 각각 $23.01{\pm}9.0\;mm$, $22.45{\pm}8.2\;mm$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견관절 아탈구 진단을 위한 견관절 촬영은 촬영 전 수지폭 검사를 통해 아탈구가 진행됨을 확인한 후 촬영을 하여야 진단적 가치가 있다. 이를 위해 앉은 자세에서 견관절 자연지위로 120초 지난 후 촬영을 하여야 한다. 또한 견관절 전후방향 영상과 흉곽을 통한 측방향 촬영은 아탈구를 평가하는데 유효하였고, 견관절 축방향에서는 아탈구의 차이가 없으므로 진단적 가치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 PDF

A Concomitant Occurrence of the Atlantoaxial Subluxation with Rare Vertebral Formation and Segmentation Defects

  • Choi, Man Kyu;Kim, Sung Bum;Lee, Ju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5호
    • /
    • pp.837-842
    • /
    • 2021
  • An atlantoaxial subluxation from the unstable Os odontoideum by the failure of proper integrations between the embryological somites might be a commonly reported pathology. However, its suspicious origin or paralleled occurrence with other congenital anomalies of vertebral body might be a relatively rare phenomenon. The authors present two cases, who simply presented with clinical signs of prolonged, intractable cervicalgia without any neurological deficits, revealed this rare feature of C1-2 subluxation from the unstable, orthotropic type of Os odontoideum that coincide with congenitally fused cervical vertebral bodies between C2-3. Surprisingly, in one case, when traced from the lower cervical down to the thoracic-lumbar levels during the preoperative work-up process, was also compromised with multi-level butterfly vertebrae formations. Presented cases highlight the association of various congenital vertebrae anomalies and the rationale to fuse only affected joints.

동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견관절 상완 이두건 장두의 아탈구 (Subluxation of the Long Head Biceps Tendon Diagnosed by Dynamic Ultrasound)

  • 박상은;정재중;이연수;김영율;김명진;지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목적: 이학적 검사나 단순 방사선, 정적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로 진단된 2명의 남자환자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연부조직 상완 이두건 장두 고정술을 시행하고 증상 및 기능적 회복 정도를 평가 하였다. 결과: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아탈구를 쉽게 진단할 수 있었으며 수술 후 증상 및 기능적 평가에서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수술 후 특이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진단이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이용은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견관절 Bennett 병변 (The Bennett Lesion of The Shoulder)

  • 문영래;정혁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2호
    • /
    • pp.138-142
    • /
    • 2003
  • The Bennett lesion is an extraarticular ossification of the posteroinferior quadrant of the glenoid. The lesion may be a source of shoulder pain in throwing athletes. The Bennett lesion may be caused by traction on the posterior band of the 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ous complex produced by posteroior subluxation during cocking, posterior subluxation during cocking, posterior decelerate forces during follow-through, or a combination of the two. Treatment is usually conservative and focused at the associated intraarticular abnormality and pathomechanics.

초기 발견에 실패한 후두-환추-축추 불안전성 환자: 증례보고 (Missed Detection of an Occipito-atlanto-axial Instability: A Case Report)

  • 이세민;윤경욱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7권1호
    • /
    • pp.1-4
    • /
    • 2014
  • Occipito-atlanto-axial subluxation is a type of high cervical injury. Misdiagnosis of this instability might cause several complications, including neurologic deficits. A radiologic evaluation must be performed and specific parameters that imply cervical instability must be confirmed. Full understanding of these parameters may prevent not only delayed diagnosis but also unexpected complication. We report a case of delayed detection of a cervical instability and emphasize the role of proper diagnosis.

개의 환축추 아탁구의 방사선진단 및 외과적 고정 (Radiological Diagnosis and Surgical Stabilization of the Atlantoaxial Subluxation in a dog)

  • 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6-130
    • /
    • 1997
  • 10개월경의 그리폰 벤딘 수컷 강아지가 8개월경부터 점점 운동 실조 및 마비증상을 나타내어 머독대학 동물병원에 내원 하였다. 내원 했을 때 주변에 매우 민감한 반응과 경계를 늦추지 않았지만 호흡과 심박수 및 체온은 정상이었다. 일반 방사선 사진 및 척수조영사진(myelography)을 촬영하여 확인한 결과 환축추의 불안정에 따른 척수의 복측 압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과적 고정은 복측 접근을 통하여 2개의 키르크너 강선(Kirschner wire)과 자가골이식을 실시하였으며 8주동안 외부 고정을 하였다. 수술 후 5개월 동안 지켜본 결과 증상은 꾸준히 좋아졌으며 환축추 관절으 관절고정술(arthrodesis)은 완벽한 고정을 유지하고 있었다.

  • PDF

무지외반증에서 종자골 전이 정도가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samoid Position on Results of Treatment for Hallux Valgus)

  • 유총일;이동호;김휘택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7
    • /
    • 2004
  •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s of various surgical treatments for hallux valgus with and without attempting to correct sesamoid sublux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one cases in 26 pati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Group I (15 cases) - surgery performed only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angle (HVA) and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IMA) in AP view; Group II (16 cases) - surgery performed to correct HVA and IMA and also to reduce the subluxation of sesamoid. The degree of sesamoid subluxation was measured from a pre- and intraoperative sesamoid tangential views. For both groups, we analysed the status of the sesamoid in pr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and performed clinical evaluation using the Mayo clinic forefoot scoring system. Results: The average amount of correction during postoperative period and loss of correction at last follow-up in the sesamoid tangential view were as follows: soft tissue procedures (5 cases) - group I: grade $1.0{\pm}0.4/1.5{\pm}0.3$ and group II: grade $2.0{\pm}0.9/0.5{\pm}0.08$; chevron osteotomy (12 cases) - group I: grade $1.0{\pm}0.5/1.2{\pm}0.3$ and group II: grade $2.2{\pm}0.7/0.9{\pm}0.2$;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14 cases) - group I: grade $4.0{\pm}0.4/1{\pm}0.2$ and group II: grade $4.7{\pm}1.1/0.8{\pm}0.1$. In clinical evaluation, more than 93% of the feet had a good result in both groups. The analysis of these data for each treatment typ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 and II. Conclusion: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did not validate our attempts to reduce the sesamoid during surgery.

  • PDF

환축추 전방아탈구 환자에서 제 2 경추신경절 열응고술 후의 예후에 대한 단기적 추적관찰 (Radiofrequency C2 Ganglionotomy in Atlantoaxial Subluxation: Short Term Follow up)

  • 심재항;심재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2호
    • /
    • pp.193-198
    • /
    • 2001
  • Background: Anterior atlantoaxial subluxation (AAS) is a frequent phenomenon in rheumatoid arthritis (RA). AAS compresses the C2 ganglion or nerve and is a cause of posterior neck pain or occipital headache. Methods: We selected RA patients that had developed posterior neck pain or occipital headache caused by AAS. AAS was diagnosed by an increase of ADI (atlantodental interval). A distance of 3 mm or more was considered significant. Patients with vertical subluxation or symptoms suggestive of myelopathy were excluded. Before C2 RF ganglionotomy, we proceeded with a C2 ganglion block or greater occipital nerve block used by local anesthetics. For C2 RF ganglionotomy, the patient was placed in the supine position on a fluoroscopic table. A 100 mm, 4 mm active tip electrode was chosen. Following sensory stimulation at 0.2 to 0.6 V, the lesion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60^{\circ}C$ to $65^{\circ}C$ for 60 sec. We followed up the patient after 6 months later. Results: All cases were female and the average duration of RA was 8.5 years. The duration of posterior neck pain or occipital headache was 1-8 months. The average ADI was 4.2 mm and the McGregor index was 3.3 mm on the average. In all cases, the score on the 4 point Likert scale was 4 (pain free)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occipital headache or posterior neck pain caused by AAS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was alleviated over a short term follow up. C2 RF ganglionotomy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AAS in RA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