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content education

검색결과 660건 처리시간 0.027초

중등 컴퓨터 예비교사의 진학 동기, 교과교육학 지식, 전공 공부 및 비전 형성 (Computer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of Entering College of Educatio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Study of subject matter, and Vision Formation)

  • 전영국;명성원;심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예비 교사들의 진학 동기, 교과교육학 지식과 비전 형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사범대학 진학 동기 및 선행 경험,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지식, 전공 공부, 일상 생활 및 장래비전의 네 범주에 따라 컴퓨터 예비 교사들이 교직 전문성을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S 대학의 사범대학생 1,2,3학년생 6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들 중 5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만족도와 사범대 생활의 적응 과정을 면담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학년별 차이는 없었으며 대체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네 범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면담 자료의 해석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사례를 묘사하였으며 특히 전공공부의 어려움과 복수전공에 따른 학업의 부하가 예비교사의 학구적 삶에 끼치는 요인을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4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내용을 토대로 교생실습과 관련된 교과교육학 지식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전문성을 신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안전 주행형 무인기의 설계 및 제작을 통한 실천 공학 교육에 관한 연구 (EA Study on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Configure of Safe Running Type Drones)

  • 조영명;이상권;장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7-13
    • /
    • 2017
  • 종합 설계 교과를 이수하고 성과 결과물로 졸업 조건 만족하기 위한 작품제작이 연결되는 전공중심의 학습활동을 통해 공학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설계 구성된 주제는 초음파 센서의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주행 도중 최소 안전거리를 측정하고, 가속도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회피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드론과 주변 사물, 사람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공중 이동 성능을 향상 시키는 접근 감시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5개의 초음파센서를 통해 드론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며, 드론 각각의 모터에 출력값의 차이가 적용되고, 장애물 회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성취도 측정을 위한 자료의 내용과 수준으로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사용하였고, 4년제 공과대학 졸업예정자에게 요구되는 공학문제수준설명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Digital Contents for Learning Computer Science using Unplugged CS

  • Han, Sun-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37-43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tents using Unplugged CS method to learn computer science knowledge. With the strengthening of software education, all universities students including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demanding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centered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We have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using unplugged computing method as a way to effectively learn the concept of computer science. First, we analyze the related research of Unplugged CS theory an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thod accordingly. And we divided the areas of computer science and selected learning concepts in each area. The contents of learning were divided into basic and intermediate classes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subject of learning contents was selected evenly in the area of computer science and it consisted of 16 basic subjects and 16 intermediate subjects based on concepts that are important in each field.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Unplugged CS learning topic and the development contents for computer science, we conducted expert reviews and content validity tests.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the validity of the learning topic and area selection was found to be more than .92 for the CVI value and the validity of the 32 subject learning contents was over .935 in basic level and .925 in intermediate level for the CVI values. Based on the design contents, we developed digital contents for online learning and put them in the system.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omputer science for all, including elementary and junior-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at software - oriented universities, and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oftware education.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 Study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rea of Plane Figure)

  • 박선영;강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95-5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설문지와 수업 관찰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PCK의 '수학 내용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넓이의 개념, 넓이와 길이의 속성 구분을 정확히 이해하고 배열구조를 지도의 대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2) PCK의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 목표를 넓이의 개념 이해와 공식의 이해를 균형적으로 설정하고 평가해야 한다. (3) PCK의 '수학 학습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설명 위주의 오류수정 보다 넓이의 개념의 이해에 대한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4) PCK의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서에 대한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교과서의 활동을 보완하여야 한다.

  • PDF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2-4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경우 교사들 스스로 과학개념이나 내용에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이렇듯 초등교사들이 과학에 부담을 느끼고 과학내용지식에 부족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게 되면, 좋은 수업이나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수업이 되기는 어렵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특징과 초등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등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과학을 가장 선호하다가 고학년이 되면서 과학을 가장 기피하는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동이나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hands-on 활동에 머물지 않고 minds-on 활동을 만드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전문성 재교육의 필요성, 초등과 중등 간의 교류의 필요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공식적인 입문 프로그램의 필요성, 초등학교 5, 6학년의 경우 교과전담 체제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협동학습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가정과 중2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and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 Focused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 이재복;김영남;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1-14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The content of lesson was chosen from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e main structure of the lesson plan stems from $\boxDr$Lesson Plan Guide of Structuring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Teachers$\boxUl$ by D. Johnson. R Johnson and E. Holubec. Various kinds of references including media reading materials cooperative group activity reports and cooperative group activity checking lists were new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esson. Eight hour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hnson\`s cooperative learning method on students\` self-esteem. Students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divided into two grouts, the three classes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ree classes as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WIN program.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adopted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steem. the global self-esteem and the social-peer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1 each). but the school-academic self-esteem score was not different (p> .05) According to the post-experiment free-style report. student as a dynamic subject could get initiatives and interests in home economics class more effectively by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tudents\` self-esteem an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subject.

  • PDF

"에너지.환경 탐구대회" 초등팀 탐구 활동 소개 및 보고서에 진술된 환경 가치 분석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Values Written in Energy.Environment Inquiry Activity Contest Reports of Elementary School Teams)

  • 구수정;김영신;정완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75-8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and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itten in their reports of the Energy Environment Inquiry Activity Contest which is a unit contest of the Youth Science Festival held annually in Korea and get some ideas for the valuable way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10 teams' reports were gathered and the locality, class study area, inquiry theme, inquiry method and values were analyzed and introduced as case studies to get some insights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values through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subject approach. Each teams set various inquiry themes in the content domain of energy resources and earth environment conservation focusing on each team'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local areas. There were 16 sentences representing technocentrism and 12 sentences representing ecocentrism. 5 of 10 teams showed both of technocentrism and ecocentrism in their reports. But their was only scientific knowledge without any environmental values in one team's report. Inquiry activity is a good teaching-learning method to develop environmental literacy. There should be environmental values involved as far as it is the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subject matte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s that environmental educators should actively intervene for inquirers to set a stage in the whole process to search for an alternative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volved in their project activities. The reason is becaus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established to operate by the infusion way into various subjects already existed in the Korean curriculum.

  • PDF

Analysis of Plant Specie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South Korea

  • Kwon, Min Hyeo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5-49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atus of plant utilization in the current textbooks by analyzing the plants by grade and subject in the national textbooks for all elementary school grad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Method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Microsoft Office Excel to obtain the frequency and ratio of collected plant data and SPSS for Windows 26.0 to determine learning content areas by grade and the R program was used to visualize the learning content areas. Results: A total of 232 species of plants were presented 1,047 times in the national textbook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lants presented by grade, the species that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lower grades tended to decreas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s for the number and frequency of plant species by subject, Korean Language had the highest number and frequency of plant species. The types of presentation of plants in textbooks were mainly text, followed by illustrations and photos of plants, which were largely used in first grade textbooks. In addition, as for the area of learning contents in which plants are used, in the lower grades, plants were used in the linguistic domain, and in the upper grades, in the botan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the natural sciences. Herbaceous plants were presented more than woody plants, a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plant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rops, horticultural crops were presented the most, followed by food crops. Out of horticultural crops, flowering plants were found the most diversity with 63 species, but the plants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were fruit trees that are commonly encountered in real life.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various plant species were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ut most of them were horticultural crops encountered in real life depending on their use. Nevertheless, plant species with high frequency have continued a similar trend of frequency from the previous curriculums. Therefore, in the next curriculum, plant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reflect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students' preference for plants.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창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교과서 연계 서지정보 및 주제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Subject Information Linked to Textbooks to Support Self-directed Creativ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nline Environment)

  • 윤소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3-114
    • /
    • 2023
  • 자기주도적 창의교육을 중시하는 교육 패러다임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주요한 공적 기관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은 교과연계프로그램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을 주요 업무로 강조하고 있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지식정보 제공이 필수적이며,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과정을 심화·확장할 수 있는 교과서 연계 참고자료가 풍부하게 확보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초등학교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도서관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확장하고자 하는 정보요구가 큰 주요 교과를 식별하고, 도서관 컬렉션 및 분류체계와 연계할 중점 매핑 포인트를 설정하였다. 각 교과의 학습주제 및 교과연계도서의 서지정보와 함께 한국십진분류법(KDC)의 분류표목 및 상관색인의 도입어를 참조하여 학습주제와 연관된 분류항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KDC 체계를 초등학교 주요 교과의 단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과서 연계 서지정보 및 주제정보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은 교과과정의 학습주제를 중심으로 이용자별로 타겟화된 도서관 콘텐츠와 초등학교 교육콘텐츠를 연계함으로써 온라인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창의학습 지원을 강화할 수 있다.

초등 교사의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Natural number Concept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명희;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93-734
    • /
    • 2011
  • 연구의 목적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Shulman(1986b)은 교사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면서, 가르치는데 필요한 내용지식을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방정숙(2002)은 교사의 교수 방법에 포함되는 요소를 개인 요소와 사회 문화 요소로 구분하였다. 연구 문제는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하여 어떤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가의 두 가지이다. 연구 결과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 유형을 적절히 갖추고 있고,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사회문화적 요소 보다는 개인 요소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의 제안점으로는 (1) 보통의 현장 교사와 수학교육을 전공한 교사간의 비교 연구와 (2)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실 활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