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compounds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32초

레티노이드 효과를 가지는 합성물에 의한 피부재생 효과 (Skin Rejuvenation by Novel Synthetic Compound Containing Retinoidal Activity)

  • 노호식;백흥수;김수정;김수남;김덕희;장이섭;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5-408
    • /
    • 2004
  • 레티노이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레티노익산 수용체에 대한 전사 활성을 측정하여 스크리닝하였다. 합성된 화합물 중에서 N-(4-N-hydroxycarbamoyl)phenyl) [4-(tort-butyl)phenyl] carboxamide (2f)가 수용체에 대한 가장 강력한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히드록삼산 구조에서 산도를 나타내는 히드록시기는 쉽게 이온화하여 음이온을 형성한다. 형성된 히드록삼산의 음이온은 레티노익산의 음이온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히드록삼산 화합물이 레티노이드 효과를 나타내는 예는 이전에 알려진 바가 없다. 화합물 2f의 레티노이드 효과는 레티노이드와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 증가 효과로 한번 더 검증하였다. 노화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MMP-1의 발현 억제능을 레티노익산, 레티놀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10 uM 농도에서 화합물 2f는 MMP-1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화합물 2f는 항노화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백자인(Thuja orientallis L.)으로부터 tyrosinase 저해제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the Seeds of Thuja orientalis L.)

  • Lee, Jun-Young;Park, Sang-W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9-413
    • /
    • 2000
  • 식물추출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효과있는 새로운 tyrosinase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기존의 spectrophotometric assay를 개선한 새로운 TLC 검색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식물추출물을 검색한 결과 백자인의 메탄올추출물이 강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백자인의 메탄올추출물로부터 tyrosinase 저해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탈지 메탄올추출물을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한 후 이 중 활성이 강한 에테르 추출물을 얻었다, 다음 에테르 추출물을 5% NaHCO$_3$로 씻은 후 산성화하여 얻은 강산성에테르추출물을 silica gel, Sephadex LH-20 및 분취 TLC를 각각 이용하여 4가지의 tyrosinase 저해물질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 화합물 2 ($IC_{50}$/=26 $\mu\textrm{g}$/ml)와 3 ($IC_{50}$/=30 $\mu\textrm{g}$/ml)은 tyrosinase 저해제로 잘 알려진 ascorbic acid ($IC_{50}$/=28 $\mu\textrm{g}$/ml)와 유사하게 강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현재 그들의 화학구조를 동정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볼 때 백자인으로부터 분리된 tyrosinase 저해제는 식품의 효소적갈변저해제로써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 및 검반점을 예방할 수 있는 미백화장품 및 의약품의 신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creening the extracts of the seeds of Achillea millefolium, Angelica sylvestris and Phleum pratense for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general toxicity

  • Sarker, Satyajit Dey;Eynon, Elaine;Fok, Katharine;Kumarasamy, Yashodharan;Murphy, Eavan Marie;Nahar, Lutfun;Shaeen, Ehab Mohammed;Shaw, Nichola Mary;Siakalima, Munachonga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3호
    • /
    • pp.157-162
    • /
    • 2003
  • Various extracts of higher plants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s for centuries. While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researchers for evaluation of their bioactivity, temeperate plants have always been neglected somewhat. Similarly, seeds of the plants have not been considered seriously compared to other plant parts, e.g. leaves, stems, roots, flowers, etc. as a potential source fo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As part of our on-going evaluation of the extracts of the seeds of temperate plants, especially from Scotland, for biological activity, Achillea millefolium, Angelica sylvestris and Phleum pratense have been chosen for the present study. Both A. millefolium and A. sylvestris are well known for their traditional medicinal uses in Europe and also in the orient, but there is no report on any medicinal properties of P. pratense available to date. Extracts of the seeds of these plants have been assessed for thei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otential and also for general toxicity. Both DCM and MeOH extracts of A. millefolium showed the most significant broad spectrum antibacterial activity among the three plants and inhibited the growth of almost all test strains of bacteria. The DCM extracts of all three species were active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Citrobacter freundii $(MIC=6.25{\times}10^{-1}\;mg/mL)$. While the MeOH extracts of A. millefolium and P. pratense were active against C. freundii, that of P. pratense was also active against MRSA. The MeOH extract of A. sylvestris did not show any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ny of the eight bacterial strains at test concentrations. The MeOH extract of P. pratense showed the most prominent antioxidant activity $(IC_{50}=145\;{\mu}g/ml)$ and there was no antioxidant activity observed with the DCM extract of A. millefolium. The DCM extract of P. pratense was the most toxic $(LC_{50}=20\;{\mu}g/ml)$ among the extracts.

닥나무 추출물의 Marmesin 성분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Method Determining Marmesin in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

  • 권진관;서찬곤;홍성수;서동완;오좌섭;김진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04-1609
    • /
    • 2016
  •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닥나무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인 marmesin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표준액과 닥나무 추출물은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분리되었으며, 표준액과 추출물의 피크 유지시간이 일치한 spectrum을 나타내었다. 또한, blank에서 표준액과 겹치는 피크가 없는 것으로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99로 모두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으며, 직선상의 검출한계는 $2.8{\sim}6.2{\mu}g/mL$였고 정량한계는 $8.4{\sim}18.6{\mu}g/mL$로 나타났다. 닥나무 추출물 1.3, 2.6, 3.9 mg/mL의 세 농도의 회수율은 100.35~101.18%였으며 정밀도는 0.27~0.30%로 나타나 정밀도 2.0% 이하로서 정확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밀성은 0.04~0.30%의 정밀도를, 실험실 내 정밀성에서는 0.03~0.30%의 정밀도를 나타내었고 intra-day에서의 정밀도는 0.25~0.42%, inter-day에서는 0.32~0.70%의 정밀도를 나타내어 닥나무 추출물의 지표성분 marmesin의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분석법은 닥나무 추출물의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Lumbricus rubellus를 이용한 endosulfan의 간편, 신속 독성 평가 및 endosulfan 분해 미생물의 선별 (Simple and Rapid Evaluation System for Endosulfan Toxicity and Selection of Endosulfan Detoxifying Microorganism Based on Lumbricus rubellus)

  • 손호용;김홍주;금은주;이중복;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8-113
    • /
    • 2006
  • 독성물질의 무독화 연구의 화학적 분석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난분해성 독성물질의 분해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지렁이와 microplate를 이용한 빠르고 간편한 독성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방법은 지렁이의 사육이나 특수시설이 필요하지 않으며, 치사 및 무게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는 저농도, 단기간 처리시에도 신속하게 독성의 정량평가가 가능하다 실제 endosulfan 및 다양한 endosulfan 유도체, 구조적 유사체 등을 대상으로 독성 평가한 결과, endosulfan, endosulfan sulfate, aldrin 및 dieldrin 에서만 독성이 나타나 기존의 연구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endosulfan분해 및 무독화 균주 선별을 시도한 결과, 기존 endosulfan분해 및 무독화 균주로 선별된 KE-1, KE-8, KS-2P균주 처리의 경우에는 지렁이의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E. coli, B. subtilis, 및 YSU 균주들을 처리한 경우에는, 지렁이 사멸과 함께 심각한 독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독성물질의 독성평가뿐 아니라, 독성물질의 분해 및 무독화 미생물 선별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Capacitation and acrosome reaction differences of bovine, mouse and porcine spermatozoa in responsiveness to estrogenic compounds

  • Ryu, Do-Yeal;Kim, Ye-Ji;Lee, June-Sub;Rahman, Md. Saidur;Kwon, Woo-Sung;Yoon, Sung-Jae;Pang, Myung-Geo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6권7호
    • /
    • pp.26.1-26.10
    • /
    • 2014
  • Background: Endocrine disruptors are exogenous substance, interfere with the endocrine system, and disrupt hormonal functions. However, the effect of endocrine disruptors in different species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effects of $17{\beta}$-estradiol (E2), progesterone (P4), genistein (GEN) and 4-tert-octylphenol (OP), on capacitation and the acrosome reaction in bovine, mouse, and porcine spermatozoa. In this in vitro trial, spermatozoa were incubated with $0.001-100{\mu}M$ of each chemical either 15 or 30 min and then assessed capacitation status using chlortetracycline staining. Results: E2 significantly increased capacitation and the acrosome reaction after 30 min, while the acrosome reaction after 15 min incubation in mouse spermatozoa. Simultaneously, capacitation and the acrosome reaction were induced after 15 and 30 min incubation in porcine spermatozoa, respectively. Capacitation was increased in porcine spermatozoa after 15 min incubation at the lowest concentration, while the acrosome reaction was increased in mouse spermatozoa after 30 min (P < 0.05). E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rosome reaction in porcine spermatozoa, but only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examined (P < 0.05). P4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rosome reaction in bovine and mouse spermatozoa treated for 15 min (P < 0.05). The sam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apacitation in porcine spermatozoa (P < 0.05). P4 significantly increased capacitation in mouse spermatozoa treated for 30 min (P < 0.05). G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rosome reaction in porcine spermatozoa treated for 15 and 30 min and in mouse spermatozoa treated for 30 min (P < 0.05). O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rosome reaction in mouse spermatozoa after 15 min (P < 0.05). Besides, when spermatozoa were incubated for 30 min, capacitation and the acrosome reaction were higher than 15 min incubation in E2 or GEN. Furthermore, the responsiveness of bovine, mouse and porcine spermatozoa to each chemical differed. Conclusions: In conclusion, all chemicals studied effectively increased capacitation and the acrosome reaction in bovine, mouse, and porcine spermatozoa. Also we found that both E2 and P4 were more potent than environmental estrogens in altering sperm function. Porcine and mouse spermatozoa were more responsive than bovine spermatozoa.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ulfur-Free Odorant for LPG Fuel)

  • 김재곤;임의순;정충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2-59
    • /
    • 2014
  • 일반적으로 황분계 부취제는 연료가스로 인한 가스중독, 발화,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배출가스에 의해 연료 가스 누출의 즉각적으로 손쉽게 검출할 수 있도록 LPG, 그리고 도시가스와 같은 연료가스에 첨가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황을 함유한 가스용 부취제를 대체하여 연료의 저황분화와 금속 부식성을 낮출 수 있는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 개발을 위하여 실험하였다. 비황분계 부취제는 황을 함유하지 않는 12개의 부취물질을 선정하였으며, 직접 관능법에 의한 취질과 취기 평가를 실험하였다. 최종 선정된 혼합 부취물질은 methyl isovalerate, methyl acrylate, 2-ethyl-3-methyl pyrazine이며, 이때 조성비는 50% : 40% : 10% 이다. 최종 비황분계 부취제(K-Petro S-Free)는 LPG 연료에 40 wt ppm 혼합하여 품질평가, 금속 부식성 평가 그리고 장기 안정성 평가를 실험하였다. 이 때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는 국내 LPG 연료의 품질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금속에 대한 부식성에는 영향이 없으며, 60일간의 장기 안정성 평가에서 LPG연료의 조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최종 선정된 비황분계 부취제(K-Petro S-Free)는 LPG 연료의 첨가제로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인체 혈구암세포 U937에서 해양해면동물에서 추출된 Pectenotoxin-2에 의한 Apoptosis의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Apoptosis by Pectenotoxin-2 Isolated from Marine Sponges in U937 Human Leukemic Cells)

  • 신동역;강호성;배송자;정지형;최영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63-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U937 인체 백혈병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PTX-2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PTX-2의 처리에 따라 U937 세포는 처리 농도 및 처리 시간 의존적으로 심한 형태적 변형과 함께 증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PTX-2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증식억제는 apoptosis 유발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를 DAPI staining에 의한 apoptotic body 형성, flow cytometry를 이용한 sub-G1 세포 빈도의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PTX-2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apoptosis 유발은 Bcl-2 family에 속하는 anti-apoptotic 인자인 Bcl-$X_L$의 발현 감소 및 IAPs family에 속하는 유전자들의 선택적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에서 PTX-2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PTX-2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건조 도라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페놀계 화합물 함량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otal Phenolics of Dried Platycodon grandiflorum and Its Effect on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 황성연;최향미;임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4-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를 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도라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페놀계 화합물 함량 및 인체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건조 도라지의 총 페놀계 화합물 함량 측정 실험에서 A+M 추출물과 MeOH분획물은 각각 4.53 및 27.22 TAE mg/100 g의 페놀계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건조 도라지 분획물들 중 n-BuOH 분획물은 14.82 TAE mg/100 g로 가장 높은 페놀계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n-BuOH 분획물을 다시 RP flash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들(rfc 1-5) 중 rfc 1은 다른 분획물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페놀계 화합물 함량을(1.27 TAE mg/100 g) 나타냈다. 건조 도라지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들(HT-29 및 AGS)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A+M 추출물 및 MeOH 분획물은 인체 암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p<0.05) 두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건조 도라지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에도 n-BuOH 분획물의 $IC_{50}$이 0.06 mg/mL로 가장 활성이 높았고 n-BuOH 분획물의 rfc 1-5를 암세포에 0.001-0.05 m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rfc 1-3의 경우, 0.0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건조 도라지의 n-BuOH 분획물에 의한 강력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높은 함량의 페놀계 화합물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분획물의 분리 정제를 통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문어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개선 (Improvement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Enteroctopus dofleini by Gamma Irradiation)

  • 김현주;최종일;이희섭;김재훈;변명우;전병수;안동현;육홍선;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12-1616
    • /
    • 2007
  • 수산가공 폐기물 중 하나인 문어 자숙액을 이용하여 천연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감마선 조사(0, 1, 3, 5, 7, 10 kGy)에 의한 문어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감마선 조사한 문어 자숙액의 전자공여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의 경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65.87%에서 72.88%로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는 406.32 ppm에서 476.25 ppm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57.49%에서 86.27%로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기술은 수산가공 폐자원인 문어 자숙액의 생리활성을 개선하여 식품 및 공중보건산물의 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