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application

검색결과 2,990건 처리시간 0.031초

내부적 비결정성을 가진 공유 메모리 병렬 프로그램에서 잠재적 경합탐지를 위한 전처리기 (A Preprocessor for Detecting Potential Races in Shared Memory Parallel Programs with Internal Nondeterminism)

  • 김영주;정민섭;전용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1호
    • /
    • pp.9-18
    • /
    • 2010
  • OpenMP와 같은 공유 메모리 기반의 병렬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경합은 프로그래머가 의도하지 않은 비결정적인 수행 결과를 초래하므로 반드시 탐지되어야한다. 이러한 경합의 존재를 수행 중에 검증하는 기존의 기법들은 내부적 비결정성이 존재하지 않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하지만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경합검증을 위해서 각 임계구역마다 적어도 N! 만큼의 프로그램 수행이 필요하다. 여기서 N은 탐지 대상 프로그램이 가진 최대 병렬성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내부적 비결정성을 가진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비결정적 접근사건을 정적으로 분석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한번의 수행으로 실제 경합뿐만 아니라 잠재적 경합까지 탐지할 수 있는 경합 전처리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도구는 OpenMP 병렬 프로그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결정적 접근사건들에 대해서 항상 결정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임계구역 가진 프로그램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어떠한 경합탐지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경합 검증이 가능하다. 본 도구의 실험적 증명을 위해서 비결정성이 포함된 합성 프로그램, 공인된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OpenMP Microbenchmark, NAS Parallel Benchmark, 그리고 OpenMP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안된 도구의 정확성을 보인다.

ESPI를 이용한 구면 안경렌즈의 면외 변형 측정 (Out-of-plane Deformation Measurement of Spherical Glasses Lens Using ESPI)

  • 양승필;김경석;장호섭;김현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7-81
    • /
    • 2007
  • 구면 렌즈는 굴절력에 따라 크게 (+)디옵터와 (-)디옵터 렌즈로 구분할 수 있다. 렌즈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은 디옵터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다르게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년간 광계측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ESPI를 이용하여 렌즈에 발생되는 변형을 정량적으로 측정 하였다. ESPI(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ESPI)는 빛의 가간섭성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변형을 비접촉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실험은 총 16종의 플라스틱 안경 렌즈를 대상으로 수행 하였다. 동일한 변위를 주었을 때, (+)렌즈는 디옵터가 증가함에 따라 변형량이 감소하고, (-)렌즈의 경우 (+)디옵터 렌즈와는 반대로 디옵터가 감소함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디옵터 렌즈가 (-)디옵터 렌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형량이 적게 발생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는 다양한 렌즈에 외부 변위가 가해지는 경우 렌즈의 변형에 의한 광학적 결함 등을 정량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렌즈 산업 분야에 다양하게 응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해상풍력발전 석션기초의 강성산정 방법에 따른 영향 분석 (The Influence of Suction Foundation Models for Offshore Wind Turbine)

  • 장화섭;남현우;곽연민;윤세웅;김호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339-344
    • /
    • 2015
  • 석션기초는 해양분야의 기초 및 앵커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해상풍력발전기의 기초로도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많은 선행 연구로부터 기초구조물의 강성이 해상풍력발전기의 동적응답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기초구조물에 대한 적절한 모델링이 필요한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석션기초의 강성행렬을 산정하였다. 이를 기존의 중력식 기초 강성 산정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산정한 강성행렬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동적응답과 고유진동수 검토를 위한 통합하중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mudline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초를 고정단으로 모델링한 경우 고유진동수가 최대 약 10% 과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력발전기 공진 회피에 대한 검토 시 기초강성을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약 살포조건이 고추열매 중 잔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eld location and spray device on pesticide residue in chilli peppers)

  • 손경애;강태경;박병준;김택겸;길근환;김찬섭;김진배;임건재;이기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0-235
    • /
    • 2012
  • 본 실험은 포장과 살포기의 차이가 고추 열매 중 농약 잔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위치가 다른 세 농가 포장에서 비슷한 시기에 정식한 고추를 대상으로 동일한 분무기와 노즐로 약제 처리 후 1일차의 농약 잔류량은 통계처리로 확인하여 차이가 없었다. 시료 채취시 고추나무 외부의 고추 중 잔류량은 내부의 고추 보다 2배 이상 많아 시료 채취의 위치가 고추 중 잔류량 변이의 요인이 되었다. 배부식 동력분무기와 압축식 인력분무기 사용에 따른 농약잔류량 차이는 동력분무기가 인력분무기를 사용할 때 보다 1.7배 높은 잔류농도를 보였는데 이는 약제 살포시 인력분무기의 상용압력보다 2배 정도 높은 동력분무기 압력과 노즐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전자선치료 시 3D 프린터로 제작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Patient Customized Shielding Block Made with 3D Printer in the Skin Cancer Electron Beam Therapy)

  • 안기송;정우찬;김대현;김무섭;윤도군;심재구;서태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6호
    • /
    • pp.447-454
    • /
    • 2019
  • In order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shielding method for electron beam treatment, we designed a patient-specific shielding method using a 3D printer, and evaluated the usefulne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electron beam doses to adjacent organs. In order to treat 5 cm sized superficial tumors around the lens, a CT Simulator was used to scan the Alderson Rando phantom and the DICOM file was converted into an STL file. The converted STL file was used to design a patient-specific shield and mold that matched the body surface contour of the treatment site. The thickness of the shield was 1 cm and 1.5 cm, and the mold was printed using a 3D printer, and the patient customized shielding block (PCSB) was fabricated with a cerrobend alloy with a thickness of 1 cm and 1.5 cm. The dosimetry was performed by attaching an EBT3 film on the surface of the Alderson Rando phantom eyelid and measuring the dose of 6, 9, and 12 MeV electron beams on the film using four shielding methods. Shielding rates were 83.89%, 87.14%, 87.39% at 6, 9, and 12 MeV without shielding, 1 cm (92.04%, 87.48%, 86.49%), 1.5 cm (91.13%, 91.88% with PSCB), 92.66%) The shielding rate was measured as 1 cm (90.7%, 92.23%, 88.08%) and 1.5 cm (88.31%, 90.66%, 91.81%) when the shielding block and the patient-specific shield were used together. PCSB fabrication improves shielding efficiency over conventional shielding methods. Therefore, PSCB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

선형퍼지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한 합성형 사장교 케이블의 장력보정 (Cable Adjustment of Composite Cable Stayed Bridge with Fuzzy Linear Regression Analysis)

  • 권장섭;장승필;조서경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통권33호
    • /
    • pp.579-588
    • /
    • 1997
  • 사장교의 시공 특성상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하고, 복잡한 시공 과정을 거치는 동안 오차가 누적되어 점점 확대된다. 따라서, 설계와는 상당히 달리 부재에 불리한 응력분포와 교량의 과도한 처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부재의 응력분포와 교량의 기하형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수정하기 위해 사장교의 시공 중에 케이블의 장력보정이 불가피하다. 기존의 장력보정 방법은 오차 단위의 차이를(케이블 장력과 주형의 처짐 등) 고려하기 위하여 최적화 과정 중에 가중치 계수를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 가중치 계수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고, 한 차례의 보정을 실시한 후에도 오차가 설계허용범위를 벗어날 때는 새로운 가중치 계수를 도입하여 여러 번 반복 수행해야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선형퍼지회귀분석기법을 케이블 장력보정에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설계자의 의도와 시방 규정을 선형최적화 문제의 구속 조건의 형태로 정식화 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고, 기존의 방법보다 빠르게 현장에서의 장력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기관지 천식의 연무흡입 폐환기스캔 소견 (Radioaerosol Inhalation Imaging in Bronchial Asthma)

  • 김범수;박영하;박정미;정명희;정수교;신경섭;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6-52
    • /
    • 1991
  • Radioaerosol inhalation imaging (RII) has been used in radionuclide pulmonary studies for the past 20 years. The method is well accepted for assessing regional ventilation because of its usefulness, easy fabrication and simple application system. To evaluate its clinical utility in the study of impaired regional ventilation in bronchial asthma, we obtained and analysed RIIs in 31 patients (16 women and 15 men; age ranging 21-76 years) with typical bronchial asthma at the Department of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January, 1988 to August, 1989. Scintiscans were obtained with radioaerosol produced by a BARC(Bhabha Atomic Reserch Center, India) nebulizer with 15 mCi of $^{99m}Tc-phytate$. The scanning was peformed in anterior, posterior and lateral projections following 5-minute inhalation of radioaerosol on sitting position. The scans were analyzed and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pulmonary function study and the findings of chest radiography. Fifteen patients had concomitant lung perfusion image with $^{99m}Tc-MAA$. Follow-up scans were obtained in 5 patients after bronchodilator therap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1) attack type (4 patients), (2) resistant type (5 patients), (3) remittent type (10 patients) and (4) bronchitic type (12 patients). Chest radiography showed hyperinflation, altered pulmonary vascularity, thickening of the bronchial wall and accentuation of basal interstitial markings in 26 of the 31 patients. Chest radiographs were norma! in the remaining 5 patients. Regardless of type, the findings of RII were basically the same, and characterized by the deposition of radioaerosol in the central parts or in the main respiratory air ways along with mottled nonsegmental ventilation defects in the periphery. Peripheral parenchymal defects were more extensive than that of expected findings from clinical symptoms, pulmonary function test and chest radiograph. Broomstick sign was present in 17 patients. The abnormality of RII was poorly correlated with perfusion scans. In all 5 patients treated with bronchodilators, follow-up study demonstrated a decrease in the degree of radioaerosol deposition in the central air way with improved ventilation defects. This study indicates that RII is a useful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ventilation abnormality and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bronchodilators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 PDF

헬스케어 홈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응용 서비스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cess Management Model applying Agent Technology)

  • 이충섭;정창원;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7-70
    • /
    • 2007
  • 본 논문은 헬스케어 홈 환경에서 얻어진 정보를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헬스케어 홈 서비스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본 논문에서 우리는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설계 및 이전에 우리가 개발한 헬스케어 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FSHIS)상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다. 헬스케어 정보는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의 특정 저장타입에 맞추어 설계하였고, 헬스케어 홈 서비스의 사용목적에 따라 구축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는 실제 스키마를 가진 기본 정보와 뷰 스키마로 제공되는 상황정보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기본 정보는 물리적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건강, 환경관련 가공없는 데이터와 개인 건강관련 프로파일 정보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의 상황정보는 기본 정보들을 이용하여 혼합 가공한 정보이다. 이 상황정보는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뷰 스키마를 통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의 실질적인 활용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는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FSHIS상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독거노인을 위해 생활 활동 영역으로 부터 필요한 기본정보와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상황 호출 그리고 홈 가전 제어 등의 헬스케어 홈 모니터링 서비스를 보였다.

  • PDF

PRISM과 상세 지형정보에 근거한 북한지역 강수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Using PRIS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 김대준;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40
    • /
    • 2011
  • 현재 남한에서는 270m 해상도의 강수분포도가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북한지역에는 강수관측점의 수가 남한에 비하여 매우 적어서 남한과 같은 방법으로 강수분포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자료가 불충분한 북한지방의 강수추정을 위해 우선 낮은 해상도의 강수기후도를 PRISM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격자 내 지형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여기에 상대적으로 자료가 풍부한 남한의 '지형-강수 관계'에 근거한 보정값을 더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남한 지역 270m 해상도의 DEM에서 자동기상관측소와 표준기상관측소 위치의 격자값을 추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AWS+KMA 및 KMA에 해당하는 가상지형을 만든 다음, 둘 간의 편차를 얻었다. 강수량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을 하여 둘 간의 편차를 얻어 경사향별로 고도편차-강수편차 간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북한 지역의 270m 해상도의 DEM과 27개 기상대 고도 값으로 IDW한 가상지형 간의 편차를 구한 다음, 남한에서 얻은 회귀식을 적용하여 보정값을 계산하였다. 북한지역에 대해 2,430m 해상도로 PRISM모형을 구동하고 보정값을 적용하여 최종강수량을 얻었다. 제작된 강수기후도에 따르면 북한지방의 연간 총 강수량은 지역평균이 1,196mm이며 표준편차는 298mm인 것으로 추정된다.

LED 빔조형에 의한 초소형 이미징 장치의 제조 기술 (LED Beam Shaping and Fabrication of Optical Components for LED-Based Fingerprint Imager)

  • 주재영;송상빈;박순섭;이선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0호
    • /
    • pp.1189-1193
    • /
    • 2012
  • 본 연구는 초소형 광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설계 및 제작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소형 광학계에서는 조명 및 결상 광학소자의 성능과 소형화가 조광면의 균질도와 결상 된 이미지의 선명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얇은 두께로 실효 광도를 배가시키기 위한 초박형의 LED 빔조형 렌즈를 설계 제작하였다. 상기 렌즈는 중앙부의 비구면렌즈와 외각의 전반사 프레넬 가장자리 부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된 LED 빔조형 렌즈(직경 4.7 mm, 두께 0.6 mm)는 다이아몬드 선삭으로 중앙 비구면부의 전반사(TIR) 가장자리가 정밀하게 가공되었으며, LED 의 빔각을 150 도에서 17.5 도로 축소 시켰다. 다른 광학소자들 마이크로 프리즘, 결상광학용 프레넬 렌즈, 광가이드는 다양한 마이크로 나노 크기의 제조공정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되었다. 시작품으로 제작된 초소형 광학계($6.8{\times}2.2{\times}2.5mm$)는 마이크로 패턴을 결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지문인식용 초소형광학계로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