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p loi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건조숙성에 따른 저등급 한우 채끝 등심의 품질 증진 (Quality Improvemen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Low Quality Grade by Dry Aging)

  • 이철우;이승호;민예진;이수기;조철훈;정사무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5-42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ge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2 produced by dry aging, and compared the quality of dry-aged strip loin with tha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1^+$. Hanwoo strip loins with quality grade $1^+$ (SL1) and 2 (SL2) after a day of slaughter and dry-aged strip loin (DSL2) aged for 21 days at $2^{\circ}C$ with 85% humidity were obtained from local markets.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oking loss, lipid oxidation, instrumental color (CIE $L^*$, $a^*$ and $b^*$ valu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trip loins were measured. DSL2 contained low moisture and high protein contents compared with SL2, and low fat, high protein, and high ash contents compared with SL1 (p<0.05). The pH and cooking loss were higher and lower, respectively, in DSL2 compared to SL2 (p<0.05). SL1 had a higher pH than DSL2 (p<0.05). However, the cooking loss was not different between SL1 and DSL2. The TBARS value was the highest in DSL2 and the lowest in SL2 (p<0.05). DSL2 had higher $L^*$ and $b^*$ value compared with SL2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 $a^*$ and $b^*$ values between DSL2 and SL1. Sensory properties such as th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of DSL2 were higher than those of SL2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all sensory properties between DSL2 and SL1. According to the results, dry aging can improve the nutritional and sensorial quality of strip loin with quality grade 2 to quality comparable to quality grade $1^+$.

한우고기와 호주산 냉장수입육의 육질 및 영양성분 비교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Hanwoo and Imported Australian Beef)

  • 조수현;성필남;강근호;박범영;정석근;강선문;김영춘;김종인;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72-781
    • /
    • 2011
  • 본 연구는 거세한우(26-28개월) $1^+$, 1등급육과 호주산 수입 흑우 및 교잡육으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원산지별 부위간의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콜라겐함량,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채끝과 등심부위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호주산 앵거스 또는 교잡종육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p<0.05) 반면에 우둔과 꾸리부위에서는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지방함량은 채끝부위에 있어서는 한우 $1^+$ 등급육이 15.48%로 8.83%인 호주산 교잡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등심 부위에서는 한우육 $1^+$, 1 등급육이 각각 17%, 15.52%로 호주산 앵거스 흑우육(10.59%) 및 교잡육(9.21%)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육색 비교에서 채끝부위는 호주산 교잡종이 CIE $L^*$(백색도)이 한우고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적색도(CIE $a^*$)은 동일한 부위내에서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CIE $b^*$(황색도)는 채끝, 등심, 우둔 및 꾸리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위별 전단력 비교 결과 채끝부위는 호주산 교잡종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던(3.02 kg) 반면에 호주산 앵거스 흑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한편 등심, 우둔 및 꾸리 부위는 전단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콜라겐 함량은 한우고기가 4개 부위 모두에서 호주산 쇠고기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호주산 교잡종육이 채끝, 등심, 우둔부위에서 한우고기보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palmitoleic acid, vaccenic acid, eicoseno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Oleic acid 함량은 한우고기 $1^+$, 1등급육이 호주산 교잡종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 등심, 우둔 및 꾸리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우고기 $1^+$, 1등급육은 호주산 교잡육보다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MUFA)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한우고기 $1^+$ 등급육은 우둔과 꾸리부위에서 glycine 함량이 가장 높았고 한우 1 등급육은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cystein, methionine, glycine 함량이 호주산 앵거스 흑우육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우둔과 꾸리부위에서는 valine과 leuc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에서 Ca, Fe, Zn 함량은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한우육의 육질등급 및 부위 별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Beef by Different Quality Grades and Cuts)

  • 이연정;김천제;김진형;박범영;성필남;강근호;김동훈;조수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119
    • /
    • 2010
  • 본 연구는 수소 및 거세우(24-30개월) 15두(각 육질등급별 3두씩)를 공시 축으로 이용하여 한우육의 부위(목심, 채끝, 우둔, 양지머리, 등심)에 따른 육질등급($1^{++}$, $1^+$, 1, 2, 3)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C16:0 함량은 목심, 채끝과 우둔부위 3등급이 다른 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던 반면 양지머리와 등심부위에서는 2등급이 각각 28.26%, 28.74%로 3등급 26.16%, 25.30%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C18:1n9 함량은 목심 부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채끝, 우둔, 양지머리와 등심부위에서는 $1^{++}$등급이 3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C18:3n3 함량은 채끝, 우둔과 목심 부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양지머리부위에서 $1^{++}$등급이 0.15%로 다른 등급보다 높았는데 등심부위에서는 3등급이 0.23%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C18:3n6 함량은 목심과 등심부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2등급이 다른 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SFA 함량은 다섯 부위에서 $1^{++}$ 등급이 3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에 MUFA 함량은 $1^{++}$등급이 3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PUFA 함량은 3등급이 다른 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n-3 계열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목심, 채끝과 우둔부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양지머리부위는 $1^{++}$ 등급이 0.15%로 다른 등급보다 높았던 반면 등심부위는 3등급이 0.23%로 다른 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n-6 계열 불포화지방산은 5 부위에서 3등급이 다른 등급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p<0.05).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Fatty Acid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Strip loin, Chuck Tender, and Eye of Round Produced by Different Age Groups of Hanwoo Cow

  • Cho, Soohyun;Kang, Sunmoon;Kang, Geunho;Seong, Pilnam;Park, Kyungmi;Chang, Sunsik;Lee, Seunghwan;Cho, Youngmoo;Park, Beom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08-714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g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rip loin (m. longissimus lumborum), chuck tender (m. supraspinatus), and eye of round (m. semitendinosus) of Hanwoo cows. Hanwoo cows (n=126; 24-194 mon; live weight, 270-500 kg) were slaughtered and three muscles were obtained according to 3 age groups (G1, < 5 years old; G2, 6-8 years old; G3, > 9 years old). The chuck tender had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contents in G3 than in G1 or G2 (p<0.05). For strip loin and chuck tender, G1 had significantly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s than G3 (p<0.05). The chuck tender had significantly higher $b^*$ (yellowness) values for G2 than for G1 (p<0.05). The three muscles had significantly higher cooking loss (%) and lower WHC (%) in G3 than in G1 or G2 (p<0.05). WBS values of strip lo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3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The three muscles had higher C18:1n9 in G1 than that in the other groups. The total content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3 than in G1 for all 3 muscles (p<0.05). Regarding free amino acid contents, G1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threon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phenylalanine, leucine, and lysine in the strip loin than G2 or G3 (p<0.05). In conclusion, young cow beef were higher in the WHC, intramuscular fat and free amino acids contents, whereas old cow beef had higher cooking loss and WBS (p<0.05).

한우육의 육질등급에 따른 부위별 일반성분, pH, 육색, 보수력, 가열감량, 콜레스테롤 및 트랜스지방산 함량 (Chemical Composition, Cholesterol, Trans-Fatty Acids Contents, pH, Meat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of Hanwoo Beef (Korean Native Cattle) Quality Grade)

  • 이연정;김천제;박범영;성필남;김진형;강근호;김동훈;조수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97-1006
    • /
    • 2010
  • 본 연구는 수소 및 거세우(24-30개월) 15두(각 육질등급별 3두씩)를 공시축으로 이용하여 우육의 부위(목심, 채끝, 우둔, 양지머리, 등심)에 따른 육질등급($1^{++}$, $1^+$, 1, 2, 3)별 일반성분, pH, 육색, 보수력, 가열감량, 콜레스테롤 및 트랜스지방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에서 단백질함량은 16.66-22.64% 범위고 수분함량은 57.40-75.69% 범위 였으며 지방함량은 0.61-24.74%로 나타났다. 육질등급별 단백질함량은 $1^{++}$등급 목심, 채끝, 양지머리, 등심부위가 16.66-19.26%범위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난 반면에 3등급에서는 21.50-22.48%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수분함량은 3등급이 다른 육질등급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에 지방함량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H는 5.49-5.88범위로 $1^+$등급 목심(5.61)과 채끝(5.51)이 3등급 목심(5.88), 채끝(5.92)부위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에 우둔과 양지머리 및 등심부위에서는 육질등급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않았다(p>0.05). $L^*$$1^{++}$ 등급육이 38.52-42.69범위로 3등급육(33.02-36.08)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1^{++}$, 2등급 등심의 $L^*$은 각각 42.69, 40.15로 우둔부위(38.52, 35.42)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a^*$은 3등급 채끝(15.36)과 등심부위(18.48)가 1등급 채끝과 등심부위(23.35, 28.11)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은 등급 또는 부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가열감량은 $1^{++}$ 등급 등심부위(22.21)가 3등급(27.67%)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1^{++}$, $1^+$, 1 등급 우둔과 양지머리부위가 28.98-31.39% 범위로 채끝과 등심부위(22.21-24.81%)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mg/100 g)은 $1^{++}$(41.26), $1^+$(43.23), 1등급(48.63) 등심이 2(36.02), 3등급(29.84)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p<0.05) $1^+$(43.23), 1등급 등심(48.63)이 $1^+$, 1등급 우둔부위(36.64, 35.39)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1.08-2.62% 범위로 3등급이 다른 육질등급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한우의 육질등급별로 일반성분 및 콜레스테롤과 트랜스지방산 함량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한우육 및 돈육의 부위별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Beef and Pork)

  • 장혜림;박서연;이종헌;황명진;최용민;김세나;김진형;황진봉;서동원;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03-7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식육인 한우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채끝살, 목심살, 앞다리살, 부채살, 우둔살, 차돌박이, 아롱사태, 갈비살)와 돈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목심살, 앞사태살, 항정살, 뒷사태살, 홍두깨살, 삼겹살, 갈매기살, 갈비살)의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부위에 따른 차이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각종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우육의 지방 함량은 5.25~35.94%로 우둔살이 가장 낮은 함량을, 차돌박이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C16:0)와 stearic acid(C18:0),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C18:1, n-9)가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oleic acid가 지방산 중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가장 유사한 지방 함량을 보인 부위는 등심살과 갈비살이었으나 지방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채끝살에는 오메가-3 지방산인 linolenic acid(C18:3, n-3)가 100 g당 38.63 mg이, 갈비살에는 오메가-6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 n-6)가 100 g당 564.71 mg이 함유되어 있어 부위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채끝살, 부채살 및 갈비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arachidonic acid(C20:4, n-6)가 존재하였으며, 그 함량은 갈비살(2.50 mg/100 g)> 채끝살(1.33 mg/100 g)> 부채살(1.19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우둔살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다른 부위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P<0.05),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차돌박이($1.83{\pm}0.02$)가 가장 높고 앞다리살($1.03{\pm}0.00$)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돈육의 지방 함량은 4.16~18.47%로 삼겹살이 가장 높고 안심살이 가장 낮았으나 안심살, 등심살, 앞사태살, 뒷사태살, 홍두깨살의 지방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삼겹살에는 다양한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등심에는 검출되지 않은 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미엘린의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ervonic acid(C24:1)는 오직 등심에서만 검출되었다. 삼겹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docosahexaenoic acid(DHA, C22:6, n-3)가 존재하였다. 돈육의 10부위 중 앞사태살과 뒷사태살, 홍두깨살은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이 가장 유사하였으며, 같은 앞다리라도 앞사태살과 항정살의 지방산 함량에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돈육의 총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삼겹살(143.58 mg/100 g)> 항정살(127.86 mg/100 g)> 목심살(101.36 mg/100 g)> 갈비살(94.91 mg/100 g)> 갈매기살(86.68 mg/100 g)> 안심살(29.57 mg/100 g)> 뒷사태살(27.97 mg/100 g)> 홍두깨살(27.49 mg/100 g)> 앞사태살(25.98 mg/100 g)> 등심살(15.45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으며,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뒷사태살이 2.01로 가장 높고 갈매기살이 1.28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한우육과 돈육 각 10부위에 대한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함량과 조성의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Chikso and Hanwoo beef

  • Utama, Dicky Tri;Lee, Chang Woo;Park, Yeon Soo;Jang, Aera;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500-1506
    • /
    • 2018
  • Objective: Although Hanwoo has been selected as the superior commercial beef cattle breed in Korea,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is still recognized as a valuable breed for beef p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beef from Chikso and Hanwoo steers maintained under identical feed management, as information regarding these characteristics is still limited. Methods: A total of 19 carcasses with a quality grade of 1 were selected, and strip loin (longissimus lumborum) cuts were collected from 11 Hanwoo carcasses and 8 Chikso carcasses. Meat quality and aroma analyses were performed at day four postmortem. Results: Though Hanwoo strip loin tended to have higher fat content (15.37%) than Chikso (12.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Meat pH, water-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shear force value, instrumental surface color (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L^{\star}$, $a^{\star}$, $b^{\star}$, chroma, and hue angle)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oasted Chikso beef released more intense aroma than roasted Hanwoo beef based on the total area units of identified volatiles. Among identified volatiles, the amounts of toluene, heptanal, octanal, and nonanal were higher in roasted Chikso beef than in roasted Hanwoo beef. In addition, the aroma pattern of the roasted beef from these breeds was well-discriminated by electronic nose. Conclusion: No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meat quality between Hanwoo and Chikso beef in this study. However, the aroma pattern and volatiles of roasted Hanwoo and Chikso beef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rumental analysis.

편중 데이타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공간 해쉬 스트립 조인 알고리즘 (A Spatial Hash Strip Join Algorithm for Effective Handling of Skewed Data)

  • 심영복;이종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5호
    • /
    • pp.536-546
    • /
    • 2005
  • 이 논문은 공간 조인연산 시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 두 입력 테이블에 대한 후보 객체들의 여과 단계 처리이다 이 분야에 대한 기존 알고리즘들은 대개 공간 데이타의 조인 연산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지만 입력 테이블에 객체들이 편중되어 있을 경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 두 입력 테이블의 편중된 객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연구인 Spatial Hash Join 알고리즘을 개선한 Spatial Hash Strip loi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SHSJ 알고리즘과 기존 SHJ 알고리즘의 차이점은 입력 데이타 집합을 버킷에 할당 시 버킷 용량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점과 버킷의 조인 단계에서 SSSJ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제안한 SHSJ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Tiger/line 데이타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으며 편중 분포를 갖는 입력 테이블에 대한 공간 조인 연산의 성능이 기존 SHJ와 SSSJ 알고리즘보다 우수함이 검증되었다.

The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Quality Traits and Nutritional Values of Horse Meat as Affected by Various Retail Cut Types

  • Seong, Pil Nam;Park, Kyoung Mi;Kang, Geun Ho;Cho, Soo Hyun;Park, Beom Young;Chae, Hyun Seok;Ba, Hoa V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89-99
    • /
    • 2016
  • The effects of retail cut type on chemical, qualit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horse meat were studied. Jeju female breed horses (n = 9) at 32-mo-old were slaughtered and the carcasses at 24 h post-mortem were fabricated into 10 retail cuts including: tender-loin, loin, strip-loin, shoulder-chuck-roll, shoulder-clod, top-round, outside-round, brisket, short-plate-brisket, and shank.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parameters (chemical,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examined significantly (p<0.05) differed between the cuts. The chemical composition range (minimum to maximum) of cuts was found as such: moisture 65.06% to 71.69%; protein 19.07% to 21.28%; collagen 1.40% to 2.45%; fat 2.56% to 12.14% and cholesterol 55.76 to 79.50 mg/100 g. Shoulder-chuck-roll had the highest pH and water-holding capacity, while top-round had the highest cooking loss. Shear force ranged between the cuts from $2.80kg/cm^2$ to $4.98kg/cm^2$. The Cu, Fe, and Zn contents ranged between the cuts from 1.52 mg/kg to 2.75 mg/kg, 21.25 mg/kg to 30.85 mg/kg, and 16.51 mg/kg to 40.42 mg/kg, respectively. Additionally, most of the cuts studied showed favorable polyunsa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n-3/n-6 and essential amino acid/non-essential amino acid ratios.

한우 부분육 선호부위에 대한 ssGBLUP을 활용한 GWAS 분석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Preferred Primal Cuts of Hanwoo Cattle Using Single-step GBLUP)

  • 이재구;박병호;박미나;;김시동;도창희;최태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99-117
    • /
    • 2016
  • ssGBLUP을 이용한 전장 유전체 연관분석(ssGWAS)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한 표현형 자료는 2010년도부터 2015년까지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에서 후대 검정한 한우 거세우 총 1,829두의 부분육수율자료를 이용하였다. 유전체 자료는 Illumina Bovine 50K Beadchip을 활용하였으며 표현형 자료와 매칭이 되는 개체는 674두였다. 먼저 안심, 등심, 채끝 및 갈비수율의 유전체 육종가(GEBV)를 구하고 이를 통해 SNP 표지인자에 대한 효과와 SNP 표지인자의 분산을 계산하여 형질별 전체 유전분산 대비 SNP 표지인자의 효과를 추정한 후, QTL일 가능성이 있는 효과가 높은 SNP 좌위에 대한 결과를 주요하게 조사하였다. 안심수율의 경우, 상위 20개의 전체 유전분산 대비 SNP 표지인자의 효과에서 10번 염색체에서의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12,812,193 ~ 12,922,313bp 영역에서 전체 유전분산 대비 7.32 ~ 7.34%의 효과를 나타냈다. 채끝수율은 전체 유전분산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SNP 표지인자를 포함하는 염색체는 24번 염색체로 38,158,543 ~ 38,347,278bp 영역이 약 8.36 ~ 8.56%의 전체 유전분산 대비 효과를 나타내었다. 등심수율은 다른 부분육 조사형질보다 낮은 SNP 표지인자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등심의 경우 보통 크기의 효과와 작은 효과를 갖는 많은 유전자들에 의해서 형질이 발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