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ors of using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5초

The Heavy Metal Tolerant Soil Bacterium Achromobacter sp. AO22 Contains a Unique Copper Homeostasis Locus and Two mer Operons

  • Ng, Shee Ping;Palombo, Enzo A.;Bhave, Mrina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6호
    • /
    • pp.742-753
    • /
    • 2012
  • Copper-containing compounds are introduced into the environment through agricultural chemicals, mining, and metal industries and cause severe detrimental effects on ecosystems. Certain microorganisms exposed to these stressors exhibit molecular mechanisms to maintain intracellular copper homeostasis and avoid toxicity.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the soil bacterial isolate Achromobacter sp. AO22 is multi-heavy metal tolerant and exhibits a mer operon associated with a Tn21 type transposon. The present study reports that AO22 also hosts a unique cop locus encoding copper homeostasis determinants. The putative cop genes were amplified from the strain AO22 using degenerate primers based on reported cop and pco sequences, and a constructed 10,552 base pair contig (GenBank Accession No. GU929214). BLAST analyses of the sequence revealed a unique cop locus of 10 complete open reading frames, designated copSRABGOFCDK, with unusual separation of copCD from copAB. The promoter areas exhibit two putative cop boxes, and copRS appear to be transcribed divergently from other genes. The putative protein CopA may be a copper oxidase involved in export to the periplasm, CopB is likely extracytoplasmic, CopC may be periplasmic, CopD is cytoplasmic/inner membrane, CopF is a P-type ATPase, and CopG, CopO, and CopK are likely copper chaperones. CopA, B, C, and D exhibit several potential copper ligands and CopS and CopR exhibit features of two-component regulatory systems. Sequences flanking indicate the AO22 cop locus may be present within a genomic island. Achromobacter sp. strain AO22 is thus an ideal candidate for understanding copper homeostasis mechanisms and exploiting them for copper biosensor or biosorption systems.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특성 및 관리방안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 Features and Control Strategies in Hospital Workers)

  • 박정근;김대성;서경범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1-92
    • /
    • 2008
  • Musculoskeletal disorder (MSD) problems have been increasingly reported in hospital sector but the problems were not addressed with respect to holistic aspects of the target population in Korea. Often,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how MSD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personal, work environmental and psychosocial stressors. To examine features of association between sets of MSD symptoms and the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a university hospital. A 140-item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for collecting information including factors (e.g., job/occupation, task/activity, job stress) and MSD symptoms. A total of 1,091 workers (male 23.7% and female 76.3%) were finally determined for data analyses. Prevalence rate for the whole body was 72% and, among body parts, the highest was 48.7% for the shoulder, followed by 34.6%(the low back), 32.7%(the leg/foot), 27.9%(the neck), 26.7%(the wrist) and 12%(the elbow). Th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job/occupational variable in each of all body parts except the neck. The symptoms were very significantly different by task/activity variables in each of all body parts while thos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psychosocial variables, depending on body part and gender.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performed for MSD symptoms by body part and each of 3 factors, odds ratio values varied, ranging from 0.7 to 3.3. The controls for reducing the symptom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the MSD symptoms can remarkably vary by the factors and, in particular, can be highly differential for the task/activity factor. This study suggests that MSD symptom features be examined by using various factors and then a higher differential factor be primarily utilized for controling MSD symptoms in general industry including hospital settings.

담배식물체에서 스트레스에 따른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 (Stress-induce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Tobacco Plants)

  • 오인숙;소상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313-317
    • /
    • 2004
  • MMPs는 $Zn^{2+}$-의존성 endopeptidase로서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식물체에서 잎의 발생단계별로 분비되는 MMPs의 활성과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MMP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MPs의 활성은 기부 부위의 완전히 성숙한 잎보다 엽신의 확장이 일어나고 있는 어린잎에서 높았다. 이는 식물체에서 잎 신장을 위한 세포내 공간 형성 및 조직재구성에 MMPs가 중요한 단백질분해효소로 작용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서 MMPs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염처리와 병원균 감염에 의해 각각 1.2배와 1.5배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체가 발생단계 외에도 불리한 환경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MMPs가 생성 분비함을 알 수 있었다.

Prediction of Non-Genotoxic Carcinogenicity Based on Genetic Profiles of Short Term Exposure Assays

  • Perez, Luis Orlando;Gonzalez-Jose, Rolando;Garcia, Pilar Pera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289-300
    • /
    • 2016
  • Non-genotoxic carcinogens are substances that induce tumorigenesis by non-mutagenic mechanisms and long term rodent bioassays are required to identify them.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ranscription profiling can be applied to develop early identifiers for long term phenotypes. In this study, we used rat liver expression profiles from the NTP (National Toxicology Program, Research Triangle Park, USA) DrugMatrix Database to construct a gene classifier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non-genotoxic carcinogens and other chemicals. The model was based on short term exposure assays (3 days) and the training was limited to oxidative stressors, peroxisome proliferators and hormone modulators. Validation of the predictor was performed on independent toxicogenomic data (TG-GATEs, Toxicogenomics Project-Genomics Assisted Toxicity Evaluation System, Osaka, Japan). To build our model we performed Random Forests together with a recursive elimination algorithm (VarSelRF). Gene set enrichment analysis was employed for functional interpretation. A total of 770 microarrays comprising 96 different compounds were analyzed and a predictor of 54 genes was built. Prediction accuracy was 0.85 in the training set, 0.87 in the test set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in the validation set: 0.6 at low dose, 0.7 at medium doses and 0.81 at high doses. Pathway analysis revealed gene prominence of cellular respiration, energy production and lipoprotein metabolism. The biggest target of toxicogenomics is accurately predict the toxicity of unknown drugs. In this analysis, we presented a classifier that can predict non-genotoxic carcinogenicity by using short term exposure assays. In this approach, dose level is critical when evaluating chemicals at early time points.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수문·수질 변화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Components in Nakdong River Basin)

  • 장재호;안종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1호
    • /
    • pp.1121-1130
    • /
    • 2012
  • 낙동강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추출을 위해 CGHR(T63) 모형과 A1B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를 통계적 규모내림방법으로 대상유역의 규모로 축소 변환한 후, 수문 수질의 거동변화 등의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 SS와 T-P를 대상으로 SWAT 모델을 적용하였다. 과거 30년 자료와 비교한 결과, 지표유출은 지역에 따라 최대 60%까지, 오염배출부하는 TSS와 T-P의 경우 각각 35~45%, 5~20%정도 변화되어,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지표유출과 오염부하 배출은 향후 뚜렷한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그 증가 경향은 낙동강 하류지역보다 상류지역에 크게 나타나며 계절별로는 겨울과 봄철의 증가가 크고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여름과 가을철에는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갈수기 지표수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Postpartum Depression in Young Mothers in Urban and Rural Indonesia

  • Alifa Syamantha Putri;Tri Wurisastuti;Indri Yunita Suryaputri;Rofingatul Mubasyiro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3호
    • /
    • pp.272-281
    • /
    • 2023
  • Objectives: Young mothers are vulnerable to postpartum depression due to role transition-related stress. Understanding the causes underlying these stressors is essential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2018 Indonesian Basic Health Research data.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was used to assess postpartum depression symptoms in mothers aged 15-24 years with infants aged 0-6 months. In 1285 subjects, the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were evaluat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6 months postpartum was 4.0%, with a higher prevalence in urban areas (5.7%) than in rural areas (2.9%). Urban and rural young mothers showed distinct postpartum depression risk factors. In urban areas, living without a husband (odds ratio [OR], 3.82; 95% confidence interval [CI], 1.24 to 11.76), experiencing preterm birth (OR, 4.67; 95% CI, 1.50 to 14.50), having pregnancy complications (OR, 3.03; 95% CI, 1.20 to 7.66), and having postpartum complications (OR, 5.23; 95% CI, 1.98 to 13.80)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 In rural areas, postpartum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smaller household size (OR, 3.22; 95% CI, 1.00 to 10.38), unwanted pregnancy (OR, 4.40; 95% CI, 1.15 to 16.86), and pregnancy complications (OR, 3.41; 95% CI, 1.31 to 8.88). Conclusions: In both urban and rural contexts, postpartum depression relates to the availability of others to accompany young mothers throughout the postpartum period and offer support with reproductive issues. Support from the family and the healthcare system is essential to young mothers' mental health. The healthcare system needs to involve families to support young mothers' mental health from pregnancy until the postpartum period.

임상실습 시 병원형태별 치과위생사와 실습학생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ors of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 Hygienist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by Medical Center Type)

  • 장성연;권순복;양승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82-688
    • /
    • 2012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시 병원형태별로 치과위생사와 실습학생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또한 실습학생이 전문적인 치과위생사로서 성장 발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치과대학병원, 종합병원치과, 치과병원, 치과의원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2년 3월 5일부터 6월 29일까지 설문조사 하였고, 경기도 경복대학 치위생과에 재학 중이고 치과대학병원, 종합병원치과, 치과병원, 치과의원에서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으로 2011년 6월 13일부터 6월 1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치과대학병원을 제외한 병원에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병원형태별 연구대상자가 느끼는 스트레스유형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치과위생사는 역할 및 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학생의 경우 환경요인 영역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치과위생사의 경우 모든 영역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학생의 경우 진료분야를 제외한 영역에서 스트레스 영역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스트레스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치과위생사의 경우 역할 및 활동, 이상과 가치, 진료분야의 스트레스 영역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학생의 경우 대인관계, 이상과 가치의 스트레스 유형은 임상실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발작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공황장애 환자들의 임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nic Disorder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

  • 이창주;남범우;손인기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26-33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황발작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공황장애 환자들의 공황발작 관련 데이터와 응급실에서의 처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공황발작으로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공황장애 환자들 중 의무기록에 신체증상이 기재되어 있는 9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진행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공존 질환과 발작 전 데이터로 촉발 스트레스 인자와 음주 유무, 발작 중 데이터로 발작 당시 신체증상, 발작 후 데이터로 심전도 시행 여부와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및 입원 여부 그리고 정신작용제 사용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크기에 따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 또는 피셔의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4.0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공존 심혈관계 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5.4%였고, 공존 정신 질환으로는 92명중 14명에서 동반된 우울장애가 가장 흔했다. 촉발 스트레스 요인 중 남성에서는 여성에 비해 경제적 어려움/직장 관련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많았다(𝛘2=4.322, p<0.005). 발작 시 신체증상으로는 순환기 증상이 65.2%, 호흡기57.6%, 사지 감각기 33.7%, 어지럼19.6%, 소화기 14.1%, 자율신경계 12.0% 순이었다. 순환기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 시행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𝛘2=8.46, p<0.005). 응급실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정신작용제는 92.1%에서 사용된 로라제팜(lorazepam)이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 공황발작 시 가장 흔한 신체증상은 순환기 증상이었고, 남자에게서 가장 흔한 촉발 스트레스 인자는 경제적 어려움/직장 관련 스트레스였다. 공황발작의 처치를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된 정신작용제는 로라제팜(lorazepam)이었다.

꼬마선충의 coelomocyte 세포가 스트레스 저항성 및 번식력에 미치는 영향 (Role of Coelomocytes in Stress Response and Fertility in Caenorhabditis elegans)

  • 박진국;황진규;송건형;박상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3-268
    • /
    • 2015
  • 체강 소체는 꼬마 선충에서 내화과정을 통해 체강 내 액체를 세포 안으로 들여오는 특이적인 세포이다. 본 연구실에서의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꼬마 선충에서 식이제한에 의한 수명연장에 체강 소체가 필수적임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꼬마 선충에서 체강 소체를 제거하였을 경우,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과 번식력을 개체 수준에서 연구하였다. 체강 소체는 체강 소체에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디프테리아 독소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먼저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은 20 J/cm2/min의 자외선을 조사한 후, 생존률의 변화를 매일 기록하였다. 또한 꼬마 선충을 35℃ 배양기에 10시간 동안 배양하여 열 스트레스를 가한 후, 생존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산화성 스트레스는 paraquat를 이용하여 생체 내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도한 다음,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비교하다. 번식력의 경우, 번식기간 동안의 총 자손의 수와 날짜 별 자손의 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강소체는 개체의 자외선 스트레스의 저항성에는 필수적이지만, 열과 산화성 스트레스 저항성에는 영향을 미치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개체의 번식력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화 및 식이제한에 의한 수명연장의 기전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스트레스 모델에서 하엽추출물의 항우울 효과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in chronic mild stress model)

  • 강민구;김영화;임아랑;남병수;채성욱;이미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3
    • /
    • 2014
  • Objectives : Chronic mild stress (CMS) model is currently recognized as a better animal model of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the Nelumbo nucifera leave extract using CMS model. Methods :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was determined by using animal models of depression. 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saline-treated normal, without CMS; saline-treated stress control; CMS+ Imipramine(20mg/kg); CMS+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200mg/kg). All mice except the normal group exposed an unpredicted sequence of chronic mild stressors for 5 weeks. The behavior of mice were detected by sucrose preference test, forced swim test and tail suspension test. Then concentration of corticosterone in serum was detected by enzyme immunoassay. Results :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administration by daily gavage from the 3rd week exhibited an antidepressant-like effect on CMS-induced depression in mice.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administration at dose of 200 mg/k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ucrose consumption, and decreased the immobility durations in forced swim test and tail suspension test. Furthermore the corticosterone level decreased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s : Chronic mild stress can affect mouse behavior and corticosterone level and cause depression. The present experiments not only further confirm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in the sucrose preference test, forced swimming test and tail suspension test, but also the improving effects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on the depression-like symptoms in the CMS model.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has the antagonism on CMS and produce antidepressiv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