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and liver injury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4초

백서 모델에서 알파 아마니틴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갯방풍의 보호 효과 (The Effect of Glehnia Littoralis on Alpha-amanitin Induced Hepatotoxicity in a Murine Model)

  • 류창연;선경훈;홍란;박용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8-115
    • /
    • 2018
  • Purpose: Glehnia littoralis has been reported to have sev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but no in vivo reports describing the protective effects of this plant on${\alpha}$-amanitin-induced hepatotoxicity have been published. ${\alpha}$-Amanitin is a peptide found in several mushroom species that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severe mushroom poisonings leading to severe hepatonecrosis. In our previous in vitro study, we found that ${\alpha}$-amanitin induced oxidative stress, which may contribute to its severe hepatotoxic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lehnia littoralis acetate extract (GLEA) has protective antioxidant effects on ${\alpha}$-amanitin-induced hepatotoxicity in a murine model. Methods: Swiss mice (n=40 in all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10/group). Three hours after giving ${\alpha}$-amanitin (0.6 mg/kg, i.p.) to the mice, they were administered silibinin (50 mg/kg/d, i.p.) or Glehnia littoralis ethyl acetate extract (100 mg/kg/d, oral) therapies once a day for 3 days. After 72 hours of treatment, each subject was killed, cardiac blood was aspirated for hepatic aminotransferase measurement, and liver specimens were harvested to evaluate the extent of hepatonecrosis. The degree of hepatonecrosis was assessed by a pathologist blind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divided into 4 categories according to the grade of hepatonecrosis. Results: GLEA significantly improved the beneficial functional parameters in ${\alpha}$-amanitin-induced hepatotoxicity. In the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the toxicity that was generated with ${\alpha}$-amaniti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GLEA, showing a possible hepatoprotective effect. Conclusion: In this murine model, Glehnia littoralis was effective in limiting hepatic injury after ${\alpha}$-amanitin poisoning. Increases of aminotransferases and degrees of hepatonecrosis were attenuated by this antidotal therapy.

1,2,3-Trichloropropane으로 유도된 SD랫드의 간독성에서 ER 스트레스 반응의 조절 (Regulation of ER Stress Response on 1,2,3-Trichloropropane-Induced Hepatotoxicity of Sprague Dawley Rats)

  • 김태렬;진유정;김지은;송희진;노유정;설아윤;박은서;박기호;임수정;왕수하;임용;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3-121
    • /
    • 2024
  • ER (Endoplasmic reticulume) 스트레스반응은 difenoconazole 등과 같은 다양한 독성물질에 의한 독성반응 동안에 유도되지만, 농업 및 산업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간독성(Hepatotoxicity)을 유도하는 1,2,3-Trichloropropane (TCP)와의 연관성은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CP처리로 유발된 간독성(Hepatotoxicity) 유발과정 동안에 ER스트레스의 유발기전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TCP로 처리된 SD(Sprague Dawley)랫드에서 간독성, apoptosis 그리고 ER스트레스에 대한 지표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TCP 처리그룹은 Vehicle 처리그룹에 비하여 체중과 식이 섭취량이 감소하였고, 간 조직에서 괴사(Necrosis)와 공포화(Vaculation) 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apoptosis 관련 인자인 Bax/Bcl-2와 Cleaved Caspase-3(Cas-3)/Cas-3의 발현은 Vehicle 처리그룹보다 TCP 처리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ER스트레스 반응지표 분석에서,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p-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2 alpha subunit (eIF2α), p-iniositor-requiring enzyme 1α (IRE1α)의 발현은 TCP100 처리그룹에서만 증가하였다. 하지만 Growth arrest and DNA damage-34 (GADD34)와 X-box binding protein-1 (XBP1)의 전사는 TCP200 처리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ER스트레스반응은 TCP 처리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과정 동안에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pathway의 조절을 통해 성공적으로 유도됨을 제시하고 있다.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굴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Hepatoprotcetive Effects of Oyster (Crassostrea gigas) Extract in a Rat Model of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 ;;김범식;이민재;정창식;강남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05-811
    • /
    • 2016
  • 본 연구는 에탄올로 유도한 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6주령의 SD rat(male)을 총 6개 군으로 분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500 mg/kg b.w.)을 처리하였다. 6주 동안 하루 간격으로 CGW를 50, 200, 800 mg/kg b.w.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control군을 제외한 나머지군은 40% ethanol 5 g/kg b.w.를 6주간 투여하였다. 43일째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혈액 분석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과 분석을 통해 에탄올로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회복 효과를 확인한 결과, 에탄올에 의해 증가한 ALT와 ${\gamma}-GT$의 수준이 CGW를 투여함으로써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항산화효소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에 의해 손상된 간 조직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에탄올의 투여로 증가한 지방변성 비율 및 간세포 수와 같은 인자들이 굴 열수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탄올에 의해 증가한 CYP2E1의 발현이 굴 열수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 보았을 때 본 실험에서 굴 추출물의 다당류 및 폴리페놀의 항산화 작용으로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도 있지만, 이후 추가적인 연구로 다른 활성성분의 규명과 관련 활성 기작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은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굴 열수 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강화를 통해 간 손상을 회복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연구 성과들로 굴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에 있어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더욱 더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만성 알코올 섭취로부터 유도되는 뇌 및 간 조직 독성에 대한 지구자 혼합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Mixed Extract including Hovenia dulcis Thunberg against Chronic Ethanol Treatment-induced Cytotoxicity in a Brain and Liver Tissue)

  • 김종민;박선경;궈텐자오;강진용;하정수;이두상;권오준;이욱;허호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125-138
    • /
    • 2016
  • 산업화를 위한 지구자 및 12가지 식물성 원료 추출물의 생리학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만성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 혈청 내에서의 생리학적 지표 및 간과 뇌 조직 내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당은 정상 대조군 그룹(NG)과 에탄올 투여 그룹(EG)에서 각각 119.43mg/dL, 305.25mg/dL로 나타났고, 에탄올과 혼합 추출물을 동시에 투여한 그룹(100, 200mg/kg body weight + 25% ethanol 5g/kg body weight, ME100, ME200)에서 각각 272.76mg/dL, 234.60mg/dL로 감소하였다. 혈중 에탄올 함량은 EG에서 4.08mg/dL를 나타내었고 ME100, 200에서 각각 3.85mg/dL, 3.08mg/dL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은 18.72mg/dL에서 각각 15.76mg/dL, 15.16mg/dL로 감소하였다. 또한 ME100, ME200은 혈청 내의 생리학적 지표에서 간 독성 지표인 glutamine pyruvic transaminase(GP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와 신장 독성 지표인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e(CRE), 혈중 total cholesterol(TCHO), triglyceride(TG)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뇌 조직에서 에탄올에 의해 acetylcholinesterase(AChE)가 EG(116.10%)에서 NG(100.00%)와 비교하였을 때 증가된 활성을 나타냈으나, ME에서 각각 109.00%와 108.47%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ME에서 EG에 비해 간과 뇌 조직에서 superoxide dismutase(SOD)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oxidized glutathione(GSH)/total GSH 비율과 malondialdehyde(MDA)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지구자를 포함한 혼합 추출물은 간, 뇌 조직 및 혈액 등에서 만성 에탄올 섭취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제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hytic acid does not affect the formation of colonic aberrant crypt foci in Fe-overloaded male F344 rats

  • Lee, Yea Eun;Hue, Jin-Joo;Lee, Ki-Nam;Nam, Sang Yoon;Ahn, Byeongwoo;Yun, Young Won;Jeong, Jae-Hwang;Lee, Beom J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37-345
    • /
    • 2008
  • There are accumulating evidences that high levels of dietary iron may play a role in colon carcinogenesis. Elevated iron status has been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Phytic acid (PA) functions as an antioxidant by chelating divalent cations and prevents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esponsible for cell injury and carcinogenesis. The protective effect of PA was investigated on formation of aberrant crypt foci (ACF) induced by azoxymethane (AOM) in iron-overloaded male F344 rats. After acclimation with AIN-93G purified diet (35 ppm Fe, normal control diet) for one week, animals were fed iron-overloaded diet (350 ppm Fe) and PA (0.5% or 2% PA in water) for 8 weeks. Animals received two (1st and 2nd week) injections of AOM (15 mg/kg b.w.) to induce colonic ACF. The colonic mucosa was examined for the total numbers of aberrant crypt (AC) and ACF after staining with methylene blue. The blood and serum were analyzed with a blood cell differential counter and an automatic serum analyzer. Iron-overloaded die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ron in liver of the rats. But iron-related parameters in blood were not changed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numbers of ACF per colon and AC per colon were $178.8{\pm}33.2$ and $448.4{\pm}110.2$ in the iron-overloaded F344 rats. The total A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normal-diet AOM control group (p < 0.05). The treatments of PA at the dose of 0.5% slightly decreased the number of ACF and AC per colon to $153.6{\pm}29.5$ and $396.3{\pm}107.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numbers of ACF and AC between the AOM control group and PA (0.5% or 2%)-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 may not affect the formation of ACF or AC induced by AOM in ironoverloaded F344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