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ngthening conservation treatmen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출토 목관재 보존을 위한 강화처리제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Consolidating Materials of the Excavated Wooden Coffin)

  • 김수철;신성필
    • 보존과학회지
    • /
    • 제20권
    • /
    • pp.81-88
    • /
    • 2007
  • 무령왕릉 목관재의 보존 처리를 위하여 목관재의 물리적 특성과 유사한 시편을 제작하여 Dammar, Paraloid B72, H.F.C 처리제의 침투에 따른 시편의 중량변화와 수축률, 색변화, 침투확산 특성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수축변형을 방지하고 유물 원래의 색을 살리면서 재질을 강화시키는 처리제로 Dammar 2%(in xylene)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조 열화 된 목관재의 강화처리제로 Dammar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열화 밀랍지의 탈랍 및 강도보강 처리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Dewaxing and Strengthening Treatments for Stabilization of Aged Beeswax-treated Hanji)

  • 정혜영;고인희;남현주;최경화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6호
    • /
    • pp.10-16
    • /
    • 2013
  •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the final evaluation on the deterioration stability of dewaxing and strengthening treatments devised to conserve and restore the beeswax-treated volume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us, this study artificially deteriorated dewaxed Hanji, strengthened Hanji and beeswax-treated Hanji with optimized processing conditions appli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kind of Hanji.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the loss of physical strength and the value of $L^*$ was increased and the values of $a^*$ and $b^*$ were decreased from removing beeswax after dewaxing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Also deteriorated strength during dewaxing was reinforced by strengthening treatment with methylcellulose and it showed higher strength than beeswax-treated Hanji. From the evaluation on deterioration stability after dewaxing and strengthening, it turned out that deterioration stability of strengthened Hanji is the superior.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conservation of aged beeswax-treated Hanji can be improved and extended when dewaxing and strengthening are applied under optimum conditions.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Reliquary from the East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

  • 박학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59-69
    • /
    • 2012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359호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중 금동전각형사리기의 귀꽃이 2010년 11월에 분리된 것을 계기로, 금동사리기외함을 포함하여 2점의 재보존처리를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보존처리는 과도한 광택과 기포를 가진 코팅부위를 제거하고 인크랄락(Incralac)으로 재코팅 하는 과정과, 균열 부위와 분리된 귀꽃을 재접합 후 직조 유리 섬유로 보강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코팅과 접착제 부위가 가진 광택과 기포를 제거할 수 없는 부위는 소광(消光) 처리와 채색을 통해 광택과 기포가 눈에 적게 띄도록 하였다.

화학적 보강 방법에 따른 열화 종이의 보강 특성 (Strengthening Performance of Aged Papers with Chemical Strengthening Treatments)

  • 이혜윤;이제곤;김민수;심규정;윤혜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5호
    • /
    • pp.35-42
    • /
    • 2014
  • Many historical archives have been deteriorated by aging with time. Various kinds of defects such as worm-hole, yellowing, brittleness are observed and their severity was dependent on raw material type, storage condition, and so on. For a long-term use and storage, a proper preservation treatment is required. Many studies on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have been carried out on hanji which was made from mulberry fiber, but there are few concerns on foreign paper. Therefore, aging and chemical strengthening treatment was done on paper made of bamboo and wood fibers depending on aging condition, the type and pickup weight of chemicals and treatment method. When methyl cellulose was treated with impregnation or brushing, the aged paper was strengthened effectively. The strengthening effect by chemicals was dependent on the aged condition of the paper.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언더우드 영문 타자기(한기6863)의 과학적 보존 (Scientific Conservation of Underwood Typewriter(Hangi6863) in National Hangeul Museum)

  • 김유진;정광용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1-16
    • /
    • 2022
  •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언더우드 영문 타자기(한기6863)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근·현대 시대에 제작된 타자기는 부품의 유실, 부식, 도료의 탈락 등의 손상양상을 보였으며, 복합재질로 이루어져 재질에 따른 보존처리를 진행하기 위해 처리 전 상태조사 및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금속, 도료, 고무 등으로 타자기가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보존처리는 각 재질이 안정한 조건에서 '이물질 제거 → 강화처리 → 복원' 순으로 진행하였다. 손상이 심한 도료층을 강화처리하고 유실된 다리받침을 복원하여 안정한 상태로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근대시기 초반에 제작된 타자기의 재료 및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에 진행될 타자기 보존연구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