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planning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7초

말레이시아 신도시 주거단지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적 요소 (Regulatory Factors in Shaping New Towns of Malaysia)

  • 이리나;주서령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1-9
    • /
    • 2014
  • The post-war period has witnessed the emergence of new towns in a number of countries in Southeast Asia. New town development started in Malaysia with Petaling Jaya as a satellite town in 1953 to accommodate the rapid growing population of Kuala Lumpur. New towns have been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British town planning principles, based on the modern ideal city. Nonetheless, they have constituted a regional character as they have incorporated local factors such as local technologies as well as site and climatic conditions. In the shaping of the new towns in modern cities, regulatory aspects have played important roles. The regulations decide the basic framework for planning of new town, block plan and unit pla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new town planning of Malaysia. As a first step, we reviewed the lo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design guidelin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new town planning from the national land use to local plans. As a result, we categorized the guidelines into four areas: urban space, site plan, street system, block plan and unit plan. We expect this study to provide the framework of the Malaysia's new town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regulations.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도시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색각장애인 대상으로 - (A Study on City Color Planning considering Visual Impairments - Considering the color blind -)

  • 안세윤;김소연;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5-148
    • /
    • 2007
  • The people shares the street with various activities. The colour-blind also shares this public space of the city. But, the colour-blind is difficult to feel and act as the normal people, because of their limited visual abi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color matching codes of the city for the colour-blind adopting the NCS color system.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with color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ways of improving city color planning towards the public environment for all people, especially the colour-blind.

  • PDF

학교 입지 계획요소가 학생수 증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Site Planning Factors Related to School Location on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Korea)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1호
    • /
    • pp.20-29
    • /
    • 2017
  • 5개 신도시내 초등학교별 장기(24년간) 학생수 증감추세를 9개 계획요소(개발밀도, 다양한 사설학원의 입지 가능 여부, 학교 위치, 통학구역 형태, 인근 학교와의 거리 공동통학구역 운영 여부, 보행자전용가로 조성, 접도조건, 통학로상 입체보차분리시설 유무 등)별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 학생수 증감추세와의 연관성 판단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밀도, 학교 위치, 통학구역 형태, 인근 학교 거리, 입체보차분리시설 설치 등의 계획요소는 뚜렷한 연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설학원 입지와 인근학교 거리 보행자전용가로 설치의 계획요소는 약간의 연관성을 보였다. 셋째, 접도 차선수와 공동통학구역 계획요소는 연관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 1기 5개 신도시 89개 초등학교만을 조사 분석한 결과이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분석요소 및 평가기준을 더욱 정교화할 필요가 있어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주거지 실현을 위한 계획적 고려사항 - 부산지역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실천사례 거주자 의견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Considera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Housing - In the Aspect the Residents' Opinions at the Pilot Project 'Livable City Making' in Busan -)

  • 김묘정;정지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03-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omplete aspects of the government pilot project 'Livable City Making' Also,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a plan that residents will satisfy for the realization of the project. The study used a case study and a survey method in research process. For the case study, two projects in Busan that have similar planning were chosen.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the residents' interest in their housing area, their recognition and opinions of the pilot project,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environmental alterations, and their thought about conditions of sustainable hous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alteration of the street space and the provision of green and open spaces. Meanwhile they revealed that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vitalization of community are insufficient. Second, they also believ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edestrian streets, the provision of parking lots, and the remodeling of the deteriorated buildings are incomplete. Third, the residents believed that the following provisions need to be made for successful sustainable housing waste discharge needs to be minimized, facilities need to be used for saving energy,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need to be provided within their housing areas, and safe street spaces and comfortable traffic systems need to be provided.

Public Art Work for Creating Hangang Artpark - Focus on A Project 'Thinking of Each Other' -

  • Maeng, Wookjae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12권4호
    • /
    • pp.67-78
    • /
    • 2018
  •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is an enterprise founded in 2018 that involved installing public artworks created by 37 different people (teams) in Hangang Park located in Yeouido and Ichon Park. An iconic public space in Seoul, Hangang Park is turning into an even better public space due to the efforts to change the park into an eco-friendly, cultural-artistic space in tandem with the change in times. The objective of the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business is to augment the environmental and scenic value of Hangang not only to provide a space for leisurely activities but also to revive it as a cultural-artistic area. This is a study of the concept and the design and installation processes of "Thinking of each other", a project by the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business. This art piece has been installed in the wetlands and it trails along Ichon Hangang Park,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environmental recovery project. The piece consists of sculptures molded into animal shapes that are unique to the location and ecology of the area, displayed in harmony with the park's street furniture. By showing the coexistence of animals that existed in Hangang in the past along with the current inhabitants and the natural enemies of these inhabitants, the piece displays an ecofriendly scene. Moreover, by incorporating this piece into the street facilities of the park, such as gazebos, streetlights, surveillance cameras, and perches, the piece exhibits a different kind of street view compared to the installation style of other conventional environmental artworks. The various sculptures are installed along with the street facilities throughout the trail, rather than in a specific location intended for artworks, thereby achieving harmony with the park scene. In so doing, the piece elicits in the beholder an environment-friendly way of thinking, and at the same time, gives them a sense of calm and pleasure. Further, the paper researches the methods of safely installing art pieces in public spaces and of maintaining these installations.

유형별 슈퍼블록이 가로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강남구 역삼2동을 사례로 - (A Study on Street Vitality of Two Different Types of Superblocks - With a case of Yeoksam 2-dong, Seoul -)

  • 주상민;김지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0호
    • /
    • pp.71-82
    • /
    • 2019
  • This study tried to prove why a low-rise residential block is more vitalized than in a superblock consisted of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To do this, two adjacent superblocks in Yeoksam 2-dong were selected as a case study among superblocks of residential area in Gangnam, Seoul. It adopted the concept of 'complexity', 'Osmosis', 'Vitality' and 'Permeability' for evaluation indexes to measure street vitality. As a result, four indexes were clearly higher in low-density residential superblocks than apartment housing complex superblocks. First, the superblocks for apartment housing complexes showed a lower 'complexity' because large-scale parcels for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reduces a possibility for various land uses. Second, smaller blocks improved "osmosis" compared to larger blocks, and the larger the block, the less likely it is that buildings and streets penetrate activity. Third, as the apartment complex block became larger, the number of accesses decreased. Thus, it did not provide vitality to the streets. Fourth, high permeability was shown in the low-density superblocks, while that of the superblock consisted of apartment housing complexes was very low because the entrance of the complexes entrance is closed to the public.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may hamper street vitality and deteriorate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친환경 마을 조성을 위한 현황 조사 연구 -강릉시 구정면 여찬리와 운정동 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for the Planning of in Environmental friendly Village -Focused on Yeochan-ri and Unjeong-dong, Gangneung City-)

  • 변경화;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9-86
    • /
    • 2014
  • As the seeking of environmental condition, the environmental friendly village has became important to planning and designing with neighbor communities. Our village was inferior to new order and identity is weakened, environmental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derived the plan point of environmental elements to be good for living in urban countryside villages. The primary research was to be planning directions and improvements through the present situation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the two case study-village ; Yeochan-ri, Unjeong-dong in Gangwon province, environmental elements are classified such as superior 5parts and 17points in order to happiness of neighbor community. There are summarized a historical & traditional part, building, street/park/furniture, living and vision of village. Specially residents appealed to inconvenience by infringement of a large building in a small dwelling village. The data of this paper is effective in specialists carry out the planning and evaluation indicators regarding rural village. Finally regional experts by a rural field and local residents are necessary collaboration at the planning and maintenance of residential settlement through the pleasant participation.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ster Plan of Street Creation in Daedeok Science Culture)

  • 안세윤;전진배;김소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62-271
    • /
    • 2018
  • 최근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자연과 과학, 문화의 도시로 변모하고자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미래형 도시를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시 도룡동의 과학 공원 네거리부터 (구)대덕과학문화센터에 이르는 1.5km 거리를 특성별로 구획하고 특색에 맞는 IT기술을 접목한 공간디자인 컨셉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추진 과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현황을 분석, 사용자 중심의 계획을 위한 체험 중심의 공간디자인 컨셉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인프라를 중심으로 IT기술을 접목하고,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써 대덕과학문화의 거리를 탈바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시사점으로 (1)쾌적성과 안전성 문제의 지속성, (2)통일성 및 효율성 문제, (3)아이덴티티 결여 문제의 경험성과 연계하여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의 방향성을 활용하여 해결 목표를 설정하였다. 사용자 중심의 거리 조성을 위해 인프라만을 기준으로 하는 획일적인 조닝을 지양하고 사용자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조닝을 시도하였다.

연결로-일반도로 합류부와 인접한 신호교차로의 차로이용률 계수 산출 (Estimation of Lane Utilization Adjustment Factors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Adjacent to an Off-ramp-Street Junction)

  • 채찬들;정동우;김영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1-78
    • /
    • 2013
  • 본 연구는 연결로-일반도로 합류부의 영향권 이내에 신호교차로가 위치한 경우에 연결로 교통류가 신호교차로의 차로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에서 관측된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연결로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신호교차로 직진차로군의 중앙쪽 차로 이용률은 감소하고, 바깥쪽 차로 이용률이 증가하는 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 인천 및 경기지역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도출된 차로이용률 계수는 직진 차로가 2차로인 경우 1.113, 3차로인 경우 1.124, 4차로인 경우 1.131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차로이용률 계수는 차로수가 적을 경우 도로용량편람의 차로이용률 계수보다 큰 값을 보이고, 차로수가 많을수록 도로용량편람의 차로이용률 계수보다 작은 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연결로 교통류로 인해 바깥쪽 차로의 이용률이 일반적인 신호교차로보다 더 높아지고 그 정도는 차로수가 적을수록 커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호교차로가 연결로-일반도로 합류부의 영향권 내에 위치할 경우 신호교차로 접근로의 차로이용율 계수 산출 방법론을 개선하여 합리적인 용량이 산정되어야 할 것이다.

서울시 가로수 역사와 수목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and Species of Street Trees in Seoul)

  • 송석호;김민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8-67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가로수 역사는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2년(546), 고려 명종 27년(1197) 등에 가로수로 추정되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사료적 명료성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 세종 23년(1441)에는 국가의 역로(驛路)에 표목(標木)으로 가로수를 심은 것이 확인되며, 표목으로 식재된 가로수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가 확인된다. 조선 초 가로수제도의 시행은 단종 1년(1453)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큰길 좌우로 소나무, 잣나무, 배나무, 밤나무, 회화나무, 버드나무 등이 식재되었고, 세조 5년(1459)에는 길가에 뽕나무를 심었다. 영조 연간에 그려진 정선의 『압구정』이나 『진헌마정색도』에는 가로수가 열식되어 있으며 이는 왕들의 행차, 한양 출입의 주요 도로, 마장(馬場)의 장소성, 수해에 따른 도로 보호와 표식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고찰되었다. 정조 연간에는 왕의 능 행차에 연관되어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등의 가로수를 열식한 사례가 두드러지며, 이는 왕이 지나는 연도(輦道)와 해당 능역을 성역화하려는 가로수 식재기법으로 보았다. 개항 이후 고종 32년(1895)에는 국가에서 도로 좌우에 가로수를 심을 것을 장려하였고, 근대적 가로수 식재개념이 도입되었다. 당시 한양의 가로수는 사시나무가 속성수로써 주요하게 식재되었다. 서울시 가로수로 활용 가능한 고문헌 출현 교목은 삼국시대 17분류군, 고려시대 31분류군, 조선시대 55분류군이 추출되었으며, 16분류군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모두에서 중복적으로 3회 출현한 수목으로 역사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외래수종이 유입되고 법제가 변화하면서 가로수제도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다. 1936년 경성부 권역의 확대에 따른 가로수 6개년 식수계획(1934-1940)이 시행될 당시 경성의 10대 가로수 수종은 '모니리페라'로 불린 현재 미루나무의 아종, 이태리포플러, 사시나무, 은백양 등의 포플러류가 1~4순위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수양버들, 아까시나무, 버즘나무,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네군도단풍이 5~10순위로 나타났다. 1930년대 중후반부터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가 새로운 가로수로 소개되며 대규모 식재되기 시작하였고, 1942년부터는 피마잠의 장점이 있는 가죽나무를 가로수로 권장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1957년 가로수 수종은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이태리포플러, 가죽나무, 미루나무, 수양버들 순으로 나타나 일제강점기 수종들의 순위변화를 보였으며,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의 비중이 높은 점에서 당시의 식재 경향이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