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w siz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2초

돼지 동결정액 중의 정자농도가 수태율 및 산자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rm Concentration on Fertility and Litter Size in Deep Frozen Boar Semen)

  • 김학규;정행기;이수헌;이광원;김인철;최진성;지병천;김경남;박창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1-83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rm concentration of 5ml maxi-straw on farrowing rate and number of pigs born alive per litter in deep frozen boar semen. We did not find out the effect of sperm concentration on post-thaw sperm motility and NAR acrosome. However, farrowing rate and number of pigs born alive per litter of 7. 5 x 10˚ /5ml and 10.0 x 10˚ /5m1 sperm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5. 0 /10˚ /5ml sperm concentration.

  • PDF

Influence of Dietary Addition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Heifers

  • Kim, Y.M.;Kim, J.H.;Kim, S.C.;Ha, H.M.;Ko, Y.D.;Kim,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549-554
    • /
    • 2002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Korean native beef cattle) heifer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the heifers when the animals fed diets containing four levels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For the experiment the animals were given a basal diet consisting of rice straw and concentrate mixed at 3:7 ratio (on DM basis). Th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wo feeding periods. Heifers were allotted in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which were designed to progressively substitute dried wormwood for 0, 3, 5 and 10% of the rice straw in the basal di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gain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Feed conversion rate was improved (p<0.05) only by the 3% dried wormwood inclusion treatment compared with the basal treatment. Carcass weight, carcass yield and backfat thickness of all treatment groups were not altered by wormwood inclusion. The 5% dried wormwood inclus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size of loin-eye area over the other treatments. The higher levels (5 and 10%) of dried wormwood inclusion resulted in the higher (p<0.05) water holding capacity (WHC) in loin than the lower levels (0 and 3%) of wormwood inclusion.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meat color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he top round muscle of heifers fed the diet containing 3% dried wormwood. There was a profound effect of the progressively increased intake of dried wormwood led to the linear increase of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the linear decrease of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the muscle tissues of Hanwoo heifers. It is concluded that the feeding diets containing dried wormwood substituted for equal weights of rice straw at 5% levels would be anticipated to provide better quality roughage for beef heifer production and economical benefits for beef cattle producers.

돼지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 횟수, 정자농도, 농장 및 연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ed, Insemination Time, Sperm Concentration, Farm and Year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Inseminated by Frozen Boar Semen)

  • 김인철;이장희;김현종;이성호;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17
    • /
    • 2002
  • 돼지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 (충남, 성환)의 돼지 인공수정센터에서 사육중인 종모돈을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 횟수, 정자농도, 농장 및 연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결정액이 인공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5$m\ell$ maxi-straw에 포장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번식성적을 조사한 결과 종모돈의 품종 (Landrace, Yorkshire, Duroc)간 차이가 없었다. 1회 발정당 수정횟수는 2회 수정과 3회 수정시 차이가 없었으며, 1회 주입정자 농도도 5.0, 4.0 및 3.0$\times$$10^{9}$ /dose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양돈장의 관리방법과 인공수정사의 기술은 수태율과 산자수에 영향을 주었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5년간 농장에서 매년 인공수정한 결과수태율은 68.3~74.6%, 분만율은 61.7~67.6%, 총산자수는 8.7~9.6두 그리고 생존산자수는 8.1~8.7두로 각각 나타났다.

증류수 혹은 0.25N NaClO$_2$에서 가열한 볏짚의 가금에서의 영양소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Straw Heated in Water or 0.25N-NaClO$_2$ on the Nutrient Utilization of Diets in Chicks)

  • 고태송;김해수;김성규;라채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0
    • /
    • 1985
  • 가금에서의 영양소리용성에 미치는 볏짚구성분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증류수 혹은 0.25N NaClO$_2$ 800$m\ell$당 볏짚 100g의 비율로 침지하여 135$^{\circ}C$ 3.2kg/$\textrm{cm}^2$ 압력밑에서 각각 30, 60 및 120분 autoclave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세척 건조(증류수 혹은 NaClO$_2$-30, 60 및 120-볏짚) NDF, ADF 및 리그닌량을 조사하였다. 갓부화한 단관백색 레그흔 숫병아리에 10일간 시판 병아리 사료를 급여하고 계속해서 8일간 밀기울(기초), 섬유소(선분), 무처리볏짚, 증류수-30-볏짚 및 NaClO$_2$-30-볏짚이 각각 17.0% 함유된 실험사료를 급여했다. 증류수-30, 60 및 120-볏짚의 건물손실율은 각각 9.7, 12.1 및 13.3%였으나, NaClO$_2$-30, 60 및 120-볏짚에서는 각각 8.8, 18.7 및 19.4%로, NaClO$_2$-60 및 120-볏짚에서는 증류수볏짚의 1.5배가 되었다. 증류수 및 NaClO$_2$ 볏짚의 건물손실은 주로 무처리볏짚의 세포내용물과 헤미셀루로스의 용출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는 무처리 혹은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에 비해서 증체량이 높고 사료요구량이 낮았다. 질소밸런스 및 축적율은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것에서 무처리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에 비해서 높았고, 조지방소화율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무처리, 증류수-30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의 MEn/GE는 각각 71.9, 72.9 및 70.4%였으며, 대사체중(kg 0.75)당 MEn섭취량은 각각 307.3, 296.2 및 291.4 KCal가 되었다. 이때 kg 0.75당 1일 단백질축적량은 각각 1.647, 1.969 및 1.560g이었다. 한편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의 단백질 1g 축적에 상당하는 MEn는 30.56Kcal로써 무처리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의 36.90 및 37.58Kcal보다 낮았다. 따라서 무처리볏짚에는 에너지 이용성 혹은 단백질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혹은 성질이 존재하며, 이것은 볏짚을 끓임으로써 제거된다는 것을 시모고 있다.

  • PDF

올미의 출아(出芽) 및 방제(防除)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 (Effect of Varous Factors on Emergence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uel)

  • 한성수;양환승;근내성등;죽송철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2
    • /
    • 1985
  • 볏짚시용량(施用量)과 토양경도(土讓硬度)의 차이(差異)에 따른 올미의 출아상태(出芽狀態) 및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볏짚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동일심도내(同一深度內) 공시(供試)한 올미괴경(塊莖)의 전출아일수(全出芽日數)가 길어지거나 동일자(同日字)에 출아(出芽)되는 수(數)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토양(土壞)의 경(硬) 연(軟)에 관련(關聯)없이 1~3cm치상(置床)에서는 출아일수(出芽日數)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5~7cm심도(深度)에서는 무진압구(無鎭壓區)에서 출아일수(出芽日數)가 길었고 동일자(同日者)의 출아수(出芽數)도 적었다. 3. butachlor - 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2~3kg prod./10a 처리약량(處理藥量)에서는 올이괴경(塊莖)이 클수록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그러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올미괴경(塊莖)의 크기에 관계없이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동일약량수준(同一藥量水準)에서 올미에 대한 본(本)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발생심도(發生深度)가 깊을수록 그리고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떨어졌다. 5. 2~3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늦을수록 butachlor-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올미방제효과(防除效果)가 떨어지고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로 증가(增加)하였으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올미 7~7.5 엽(葉)까지 효과(效果)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6. butachlor - naproanilide의 올미 방제효과(防除效果)는 2~4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보다 0cm 6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떨어졌다.

  • PDF

Effects of Neutral Detergent Fiber Concentration and Particle Size of the Diet on Chewing Activities of Dairy Cows

  • Moon, Y.H.;Lee, S.C.;Lee, Sung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1호
    • /
    • pp.1535-1540
    • /
    • 2004
  • Six dry Holstein cow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centration and particle size (PS) on chewing activity. Treatments were arranged in a 3$\times$3 factorial design; total mixed rations contained three NDF concentrations (26, 32, 38%) and three PS (1.0, 1.5, 2.0 cm). NDF levels and particle sizes of diets were adjusted by formulating rate and cutting length of alfalfa hay and rice straw. Cows were fed twice daily at 90% of ad libitum feed intake throughout the experiment. Chewing activ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DF concentration, but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S of diet. Eating time per unit of NDF intake was affected by PS rather than NDF concentration of diet. Time spent ruminating per unit DM or NDF intake increased with increasing NDF concentration of diet, but was not affected by PS. As the PS of diet increased, the eating time per day increased, but the rumination time decreased.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rumination bolues decreased the rumination duration increased as well as the chews per bolus. The regression equation induced from relationships of NDF concentrations (NDF, %) and particle sizes (PS, cm) of diet on roughage value index (RVI, min of chewing time/kg DMI) was as follows. RVI=-19.672+1.44$\times$NDF+5.196$\times$PS, ($R^{2}$=0.81).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서의 큰기러기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iotope Structure of Wintering Plac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nser fabalis in Cheongna Area, Incheon Free Economic Zone, Korea)

  • 박병구;한봉호;이경재;곽정인;임성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5-315
    • /
    • 2013
  • 본 연구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도래하는 큰기러기의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큰기러기 월동지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청라지구 비오톱의 주요 유형은 갈대습지 $6,093,762m^2$(47.8%), 볏짚이 없는 논 $2,927,916m^2$(23.0%), 볏짚이 있는 논 $1,915,655m^2$(15.0%)이었으며, 얼음이 있는 논, 건조초지 등이 일부 분포하였다. 2005년 2월 13일 현장조사 결과 청라지구에서 관찰된 전체 야생조류는 총 33종 6,534개체이었으며, 이 중 큰기러기는 총 5,128개체이었고 출현한 전체 종 중 78.5%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다. 큰기러기 이동경로 분석 결과, 일출 전 후를 기점으로 잠자리에서 채식지로 이동하였고, 일몰 전 후를 기점으로 채이장소에서 잠자리로 이동하였다. 큰기러기의 행동특성과 비오톱 유형의 관계를 종합해보면,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 개체군의 출현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는 식물의 뿌리 및 열매를 채식하였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는 낙곡 채식, 휴식, 수면하는 등 다양한 행태를 보였고 볏짚이 있는 논과 볏짚이 없는 논에서는 낙곡 채식 및 휴식을 하였다.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는 논에서는 논경작지의 유형보다 낙곡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지박을 이용한 섬유질발효사료의 급여가 육성기 한우암소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Fermentations with Bean Curd Dregs on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Hanwoo Heifers)

  • 우제석;장선식;임석기;이석동;이명식;박정용;홍성구;이성실;이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60-1465
    • /
    • 2011
  • 본 연구는 비지박을 이용한 섬유질발효사료(TMF) 급여가 육성기 한우 암소의 증체, 사료섭취량 및 체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6개월령 한우 암소 30두(평균체중 $125.9{\pm}12.0$ kg)를 공시하여 3처리로 각각 10마리씩 완전 임의배치하여 6개월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T1 (볏짚 자유급여와 배합사료 (체중 1.7%/일) 제한급여구), T2 (TMF 자유 급여구) 및 T3 (TMF, 볏짚 자유급여와 배합사료(체중 1.0%/일) 제한 급여구)로 수행하였다. 섬유질발효사료는 비지박 60%, 옥분 16.5%, 밀기울 10.4%, 볏짚 5%, 왕겨 7%, 요소 0.5%, 고토석회 0.5%, Lactic acid bacteria 0.1%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섬유질발효사료의 화학적 성분과 pH 값은 저장 0, 24, 48 및 72시간에 측정하였다. 비지박을 이용한 TMF의 저장기간에 따른 결과에서 건물, 조지방, 및 조섬유의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저장 72시간에서 ADF 및 NDF함량은 0시간에서 보다 각각 9.52 및 3.1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H 또한 저장시간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체중, 사료섭취량 및 일당증체량은 TMF 급여구(T2, T3)에서 T1급여구 보다 높았다(p<0.05). 체형변화에 있어서도 T1처리구 보다 TMF 급여구가 높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비지박을 이용한 TMF 사료의 급여는 육성기 한우 암소의 발육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외암리 민속 마을의 안방 사용과 가구 보유 실태 연구 (A Study of the Anbang Usage and Furniture in the Oiam-Ri Folk Village in Chung-Nam Province)

  • 고도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81-90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traditional Korean farmhouse based on a survey of 30 households from Oiam-Ri folk Village in Chung-Nam Province. This study wa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present housing; the size and plan of the house, lighting and heating, the finishing materials of anbang(the master's bedroom or ondol) and the kinds of fumiture. I was also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socio-demographic and physical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housing, both the ordinary farm households and the descendent of nobility households. Bibliographical studies, cultural approaches, field surveys with tape recordings,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of house plans were mixed from the southern region(one-line type) and middle region(courtyard type). The heating system and the fuel for the ondol anbang has changed entirely from wood burning system to oil boiler system.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anbang floor changed from traditional oil paper and straw mats to vinyl flooring. Traditional fumiture and small decor items are disappearing and are being replaced by modem items, but the descendents of the nobility household kept many traditional type of fumiture and small decor items.

  • PDF

바이오매스 가스화시 촤 입자 종류 및 반응시간에 따른 일차타르의 분해 특성 (Decomposition of primary tar influenced by char particle types and reaction time during biomass gasification)

  • 박진제;이용운;류창국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4년도 제49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33-36
    • /
    • 2014
  • Gasification of biomass produces syngas containing CO, $H_2$ and/or $CH_4$, which can then be converted into energy or value-added fuels. One of key issues for efficient gasification is to minimize tar concentration in the syngas for use in a final conversion device such as gas eng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composition of primary tar by catalytic cracking using char as catalyst, of which the feature can be integrated into a fixed bed gasifier design. The pyrolysis vapor containing tar from pyrolysis of wood at $500^{\circ}C$ was passed through a reactor filled with or without char at $800^{\circ}C$ for a residence time of 1, 3 or 5 sec. Then, the condensable vapor (water and tar) and gases were analyzed for the yields and elemental composition. Four types of char particles with different microscopic surface area and pore size distribution: wood, paddy straw, palm kernel shell and activated carbon.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mass and carbon yields of tar and the composition of product gases to conclude the effects of char types and residence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