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pe elong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Patterns of fvexpl1, an Expansin-Like Protein-Encoding Gene, Suggest an Auxiliary Role in the Stipe Morphogenesis of Flammulina velutipes

  • Huang, Qianhui;Han, Xing;Mukhtar, Irum;Gao, Lingling;Huang, Rongmei;Fu, Liping;Yan, Junjie;Tao, Yongxin;Chen, Bingzhi;Xie, Baogu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622-629
    • /
    • 2018
  • Expansins are cell wall proteins that mediate cell wall loosening and promote specific tissue and organ morphogenesis in plants and in some microorganisms. Unlike plant expansins, the biological functions of fungal expansin-like proteins have rarely been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an expansin-like protein-encoding fvexpl1 gene, was identified from Flammulina velutipes by using local BLAST. It consisted of five exons with a total length of 822 bp. The deduced protein FVEXPL1 contained 274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and isoelectric point of 28,589 Da and pH 4.93, respectively. The first 19 amino acids from the N terminal are the signal peptide. Phylogenetic analysis and multiple protein alignment indicated FVEXPL1 was an expansin-like protein. The expression level of fvexpl1 gene in the sti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mycelia, primordia, and cap. However, the expression level of fvexpl1 ge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st elongation region of the stipe as compared with the slow elongation region. Exp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vexpl1 gene might have an auxiliary role in the stipe morphogenesis of F. velutipe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New S-Adenosylmethionine-Dependent Methyltransferase Encoding Genes Suggested Their Involvement in Stipe Elong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 Huang, Qianhui;Mukhtar, Irum;Zhang, Yelin;Wei, Zhongyang;Han, Xing;Huang, Rongmei;Yan, Junjie;Xie, Baogui
    • Mycobiology
    • /
    • 제47권4호
    • /
    • pp.441-448
    • /
    • 2019
  • Two new SAM-dependent methyltransferase encoding genes (fvsmt1 and fvsmt2) were identified from the genome of Flammulina velutipes. In order to make a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both genes, we performed in silico analysis of both genes and used qRT-PCR to reveal their expression patterns during the development of F. velutipes. There are 4 and 6 exons with total length of 693 and 978 bp in fvsmt2 and fvsmt1, respectively. The deduced proteins, i.e., FVSMT1 and FVSMT2 contained 325 and 230 amino acids with molecular weight 36297 and 24894 Da, respectively. Both proteins contained a SAM-dependent catalytic domain with signature motifs (I, p-I, II, and III) defining the SAM fold. SAM-dependent catalytic domain is located either in the middle or at the N-terminal of FVSMT2 and FVSMT1, respectively. Alignment and phylogenic analysis showed that FVSMT1 is a homolog to a protein-arginine omega-N-methyltransferase, while FVSMT2 is of cinnamoyl CoA O-methyltransferase type and predicted subcellular locations of these proteins are mitochondria and cytoplasm, respectively. qRT-PCR showed that fvsmt1 and fvsmt2 expression was regulated in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The maximum expression levels of fvsmt1 and fvsmt2 were observed in stipe elongation,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in mycelium and pileus. These results positively demonstrate that both the methyltransferase encoding genes are involved in the stipe elongation of F. velutipes.

팽이버섯의 선도유지를 위한 환경기체조절포장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Keeping Freshness of Enoki Mushroom(Flammulina velutipes))

  • 조숙현;이동선;이상대;김낙구;류재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37-1142
    • /
    • 1998
  •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s were designed by combining the respi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oki mushroom at 10oC and the measured film permeabilities to O2 and CO2 gases to attain the beneficial package atmosphere were fabricated and tested during storage. The packages of 100g size with 30 m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cast polypropylene showed the good agreement between estimated and experimental package atmospheres. However, polyvinylchloride stretch wrap packs showed the gas composition close to the air, which was due to leaking of stretch wrapping. The CPP package attaining O2 below 1% and CO2 concentration of 15~20% gave the best retention of quality and thus the longest shelf life among the tried packages, and it was superior to the others in the Hunter L value, stipe elongation and sensory qualties.

  • PDF

팽이버섯의 톱밥제거가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wdust Removal on Root Part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on quality during Storage)

  • 조숙현;이상대;이현욱;김낙구;류재산;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31-238
    • /
    • 1998
  • 팽이버섯의 선도유지와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환경기체조절포장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팽이버섯은 높은 온도에서 호흡속도가 빠르며, 상품적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평가인자인 자루의 신장율이 톱밥을 제거한 경우가 현저하게 낮았으므로 톱밥을 제거한 처리에서 품질 및 신선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g 단위를 30$\mu\textrm{m}$ CPP와 30$\mu\textrm{m}$ LDPE에 의한 밀봉포장한 환경기체조절포장은 $0^{\circ}C$, 5$^{\circ}C$, 1$^{\circ}C$에서 선도유지에 유익하게 효과적이었다.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중량감소가 크고, 밀봉된 포장이 통기성 포장에 비해 중량감소가 적어서 품질유지에 효과적이고, L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 PDF

LED 광원이 느티만가닥버섯 균의 균사 생장과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Irradiation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of Hypsizygus Marmoreus)

  • 김민경;이용국;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99-112
    • /
    • 2020
  • LED 광원이 느티만가닥버섯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6종의 파장이 다른 NUV(wave length 405nm), blue(wave length 460nm), green(wave length 530nm), yellow(wave length 590 nm), red(wave length 630nm), white(wave length 6500K) 광을 조사하면서 균사 생장 및 자실체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1. 느티만가닥버섯균의 균사 생장에는 광이 필요하지 않지만, red 광 처리구에서 암조건과 비슷한 균사 생장을 보였다. 그러나 blue, green, yellow 광 처리구에서는 암배양보다 약 30~40%의 균사 생장 저해를 보였다. 2. LED 광이 느티만가닥버섯의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암조건에서는 자실체 발달이 안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느티만가닥버섯의 자실체 생육에는 광 조사가 꼭 필요하다. 단파장인 blue와 green광, 복합광인 white을 조사한 처리구에서 자실체 갓과 대 발달이 안정적이면서 수량이 우수하였다. 장파장인 red 와 yellow 광 처리구에서는 갓 발달과 색택이 불량하고, 대는 길고 꼬임 등의 기형을 보였다. 3. 단일광 조사만으로는 우수한 품질의 버섯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어렵고, 각 생육 단계마다 효과가 있는 광을 조사하는 것도 어렵다. blue와 green, white, red 광을 조합하여 생육 기간 동안 혼합광을 조사하여 갓과 대의 균일성 및 갓 색택, 수량을 분석한 결과, 가장 이상적인 LED 광 조합은 blue와 white 광이었다.

포장방법에 따른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효과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Enoki Mushroom Qualities)

  • 신세희;정주연;최정희;김동만;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9-185
    • /
    • 2009
  • 팽이버섯의 선도유지를 위한 적정 포장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팽이버섯의 호흡특성과 필름두께에 따른 기체조성을 사전 조사한 다음 현행 포장방법인 일반필름포장(PM)과 진공포장(VM), 그리고 $CO_2$ 25%와 50%, $O_2$ 10%와 20%를 각각 혼합하여 충전한 가스포장(AM)을 $1^{\circ}C$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선도유지특성을 비교하였다. 팽이버섯의 호흡 속도는 $0^{\circ}C$에서 $26.4\;mL{\cdot}CO_2/kg/hr$, $10^{\circ}C$ $80.0\;mL{\cdot}CO_2/kg/hr$, $20^{\circ}C$에서 $130.9\;mL{\cdot}CO_2/kg/hr$, $30^{\circ}C$에서 $173.5 \;mL{\cdot}CO_2/kg/hr$로 조사되었으며, 기체투과율이 좋은 LDPE 필름을 사용할 경우 40 및 $60{\mu}m$ 보다 $20{\mu}m$의 두께가 저장 12일까지도 생육최저산소농도를 훨씬 상회하는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팽이버섯을 $20{\mu}m$의 LDPE 필름에 상기 각각의 포장방법을 적용하여 저장한 결과 AM에서는 고농도의 $CO_2$에 의한 호흡율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진공포장을 제외한 모든 포장방법에서 저장 종료시점(12일)까지도 혐기적 호흡의 발생우려는 없었다. 중량감소율과 표면색은 $O_2$가 없는 VM에서 가장 억제되었으나 산소함유 포장방법 중에서는 50:10($%CO_2:%O_2$)의 AM이 가장 우수한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VM은 저장 2일경 심한 이취발생으로, PM은 저장 5일 경 높은 자루의 신장율로 상품성을 소실한 반면 AM의 여러 가스조성 중 50:10의 비율이 저장 12일 동안 이취, 변색 및 곰팡이 발생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상품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