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mulant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6초

Proliferative and Inhibitory Activity of Siberian ginse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Extract on Cancer Cell Lines; A-549, XWLC-05, HCT-116, CNE and Beas-2b

  • Cichello, Simon Angelo;Yao, Qian;Dowell, Ashley;Leury, Brian;He, Xiao-Qi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1호
    • /
    • pp.4781-4786
    • /
    • 2015
  • Siberian ginse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is used primarily as an adaptogen herb and also for its immune stimulant properties in Western herbal medicine. Another closely related species used in East Asian medicine systems i.e. Kampo, TCM (Manchuria, Korea, Japan and Ainu of Hokkaido) and also called Siberian ginseng (Acanthopanax senticosus) also displays immune-stimul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These may affect tumour growth and also provide an anti-fatigue effect for cancer patients, in particular for those suffering from lung cancer. There is some evidence that a carbohydrate in Siberian ginseng may possess not only immune stimulatory but also anti-tumour effects and also display other various anti-cancer properties. Our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and also proliferative effects of a methanol plant extract of Siberan ginseng (E. senticosus) on various cancer and normal cell lines including: A-549 (small cell lung cancer), XWLC-05 (Yunnan lung cancer cell line), CNE (human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 line), HCT-116 (human colon cancer) and Beas-2b (human lung epithelial). These cell lines were treated with an extract from E. senticosus that was evaporated and reconstituted in DMSO. Treatment of A-549 (small cell lung cancer) cells with E. senticosus methanolic extract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ory trend from $12.5-50{\mu}g/mL$, and then a plateau, whereas at 12.5 and $25{\mu}g/mL$, there is a slight growth suppression in QBC-939 cells, but then a steady suppression from 50, 100 and $200{\mu}g/mL$. Further, in XWLC-05 (Yunnan lung cancer cell line), E. senticosus methanolic extract displayed an inhibitory effect which plateaued with increasing dosage. Next, in CNE (human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 line) there was a dose dependent proliferative response, whereas in Beas-2 (human lung epithelial cell line), an inhibitory effect. Finally in colon cancer cell line (HCT-116) we observed an initially weak inhibitory effect and then plateau.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서 사료내 합성아미노산 첨가 효과 (Effects of Dietary Synthetic Amino Acid Supplementation in Korean Rockfish Fry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박건준;옥임호;배승철;최영준;신인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7-163
    • /
    • 2002
  • 본 실험은 섭취촉진물질로 알려져 있는 사료내 13종의 아미노산들이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 성장 및 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0.64 g인 조피볼락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실험 사료내에 유인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아미노산 13가지(Arg, Ala, Na-Glu, Gly, His, Ile, Lys, Met, Phe, Pro, Thr, Trp 및 Val)를 사료내 각각 0.3% 씩 첨가하여 총 13 실험구를 2반복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6주간의 사육실험 결과, 성장률(WG)과 일간 성장률(SGR)에서는 Pro, Thr, Met 및 Gly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이들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사료전환효율(FE)에서는 Pro 실험구가 Met과 Gly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Pro 실험구와 Thr 실험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Thr, Met 및 Gly 실험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단백질전화효율에 있어서 Pro 실험구가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Thr 실험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그리고, 비만도(condition factor)는 Thr 실험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Val 실험구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간중량지수(HSI)는 모든 실험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전어체의 단백질, 수분 및 회분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지질함량은 Met, Pro 및 Thr 실험구가 Glu, Gly, Lys, Trp 및 Val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피볼락 사료용 사료섭취촉진물질로서 아미노산을 검색한 결과 사료내 0.3% Pro, Thr, Met 및 Gly을 첨가했을 때 사료섭취촉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것들 중 Gly을 제외하고는 전어체의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에서 시행한 뇌파 결과 및 중추신경자극제 치료에 따른 결과 (Brain wave resul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reatment result with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

  • 임영수;심지윤;손정우;김원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24-1328
    • /
    • 2008
  • 목 적: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ADHD)를 진단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뇌파 결과의 차이 및 이에 따른 역학적 비교를 하고자 하였으며 뇌파의 차이에 따른 경련 발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ADHD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중추신경자극제의 사용과 경련 발현과의 연관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주의산만을 주소로 충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소아정신과 외래를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 고찰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이전 경련의 병력이 없는 환아중 주의산만을 주소로 본원 신경정신과를 방문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연령은 4세에서 17세 사이로 총 308명의 환아들 중 84명의 환아에서 뇌파를 시행하였으며 그중 남자가 72명(85.7%, 평균 연령 9.3세), 여자가 12명(14.3%, 평균 연령 8.0세)이었다. 정상뇌파소견을 보인 환아가 65명(77.4%), 이상뇌파소견을 보인 환아가 19명(22.6%)였으며 이중 경련증상을 보인 환아는 각각 1명(0.15%), 3명(15.7%)이었다. 중추신경자극제를 처방 받은 환자는 59명, 그렇지 않은 환자는 25명이었고 그중 경련증상을 보인경우는 각각 2명(3.4%), 2명(8.0%)로 나타났다. 결 론: ADHD 환아들은 임상에서는 표출되지 않으나 뇌파에서의 잠재적인 이상 소견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뇌파의 이상 소견과 추후 경련 발현 여부와는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ADHD의 치료로써 사용된 methylphenidate의 사용에 따른 경련 발현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ADHD 환아들에서 뇌파의 이상 소견이 보일 경우는 향후 경련 발현에 대한 보다 주의 깊은 추적 관찰과 함께 ADHD 환아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녹차뿌리 특화 사포닌의 천연 계면 활성력을 이용한 새로운 안티폴루션 기작 연구 (Green Tea Root Is a Potential Natural Surfactant and Is Protective against the Detrimental Stimulant PM2.5 in Human Normal Epidermal Keratinocytes)

  • 나혜원;이영란;박준성;이태룡;김형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7-72
    • /
    • 2018
  • 녹차(Camellia sinensis L.)는 약용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녹차 잎을 연구의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지금까지도 잎 외의 다른 부분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의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2.5; PM2.5)에 의한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HEKs)의 손상을 뿌리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30년 된 녹차뿌리 표본은 아모레퍼시픽의 Dolsongi tea field에서 채취되었으며 70%의 에탄올로 추출한 녹차 뿌리 추출물은 총 순수 사포닌 함량이 54%로, 인삼 추출물보다 더 많은 사포닌을 함유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M2.5에 의한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건선환자의 특이적 바이오 마커인 IL-36G를 관찰한 결과 IL-36G mRNA 발현량은 PM2.5 처리시 녹차 뿌리 추출물 처리를 통해 IL-36G 식의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30년 된 녹차뿌리 추출물은 사포닌 함량이 높은 자연 계면 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피부질환마커인 IL-36G 발현의 억제를 통해 PM2.5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모-자 상호행동 (MOTHER-CHILD INTERACTION PATTERNS OF ADHD CHILDREN)

  • 하은혜;오경자;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84-9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증상으로 진단한 5${\sim}$10세의 남자아동 15명과 그 어머니와의 상호행동을 녹화하여 Mash, Terdal과 Anderson(1973)의 반응유목 행렬표(Response Class Matrix)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이들의 상호행동 양상과 아동, 어머니의 특성들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이와함께 이들에게 중추신경각성제인 Methylphenidate를 1일 몸무게 기준 0.5mg을 한 달간 투약하여 치료 전파 치료 후 모-자 상호행동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동과 어머니의 부정적 상호행동은 서로 상관이 높으며, 양자의 상호행동에 일관되게 상관이 높은 변인은 아동의 인지적, 행동적 증상의 심각성으로 아동의 증상이 심할수록 부정적인 모-자 상호행동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한달간의 약물치료 후 과제수행단계에서 아동과 어머니 모두 부정적-공격적 행동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의 부정적 상호행동은 아동의 인지적, 행동적 증상에 따른 반응적인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Carbofuran이 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arbofuran on Rice Growth)

  • 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8-106
    • /
    • 1987
  • Carbofuran이 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1981년(年)부터 1986년(年)까지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에서 벼종자(種子) 발아영향(發芽影響), 못자리 묘생육영향(苗生育影響), 본답(本畓) 벼생육영향(生育影響) 및 기상재해영향(氣象災害影響) 등(等)을 통(通)하여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Carbofuran 처리(處理)는 벼종자(種子) 발아(發芽)에 영향을 미쳤는데 지상부(地上部)보다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에 대한 영향이 컸다. carbofuran 농도(濃度)가 높아짐에 따라 전체종근수(全體種根數)는 감소(減少)되나 뿌리당(當) 길이는 50ppm까지 길어졌다. 2. 보온절충식(保溫折衷式)못자리에서의 carbofuran 처리(處理)는 무비구(無肥區)에서 3요소비료(要素肥料) 표준시용량(標準施用量) 정도(程度)의 생육(生育)까지 증진(增進)시켰고 또한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의 적고피해(赤枯被害)를 회복(回復)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는데 적고회복(赤枯回復) 요인(要因)으로는 파괴(破壞)된 엽록소(葉綠素) 자체(自體)의 회복(回復)이 아니라 묘생육량(苗生育量) 증대(增大)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carbofuran 처리시기효과(處理時期効果)에 있어서는 파종전(播種前) 처리(處理)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vinyl 제거전(除去前), vinyl 제거후(除去後)의 순(順)이었다. 3. 본답(本畓)에서의 벼 벼생육증진효과(生育增進効果)는 이앙전(移秧前) 처리(處理)가 이앙(移秧) 25일(日) 후(後) 처리(處理) 보다 그리고 1 모작답(毛作畓)보다 2모작답(毛作畓)에서 높은 경향(傾向)이었고, 증진(增進)되는 생육형질(生育形質)로는 년차간(年次間) 및 품종간(品種間) 다소(多少) 차이(差異)가 있지만 간장(稈長), 수수(穗數), 영화수(穎花數) 및 추수력(抽穗力) 등(等)이었는데 그 중(中)에서도 수수증대(穗數增大) 요인(要因)이 가장 컸다. 4. Carbofuran 처리(處理)는 감수분열기(減數分裂期)와 출수기(出穗期)의 저온피해(低溫被害)와 침관수(浸冠水) 피해경감효과(被害輕減効果)가 있었으며 주요(主要) 생육증진요인(生育增進要因)으로는 임실비율(稔實比率), 등숙비율(登熟比率) 및 광합성능력증진(光合成能力增進)에 있었다.

  • PDF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알칼리자극제 기반의 보강그라우트재 개발 (Development of Alkali Stimulant-Based Reinforced Grouting Material from Blast Furnace Slag Powder)

  • 서혁;정수근;김대현
    • 지질공학
    • /
    • 제31권1호
    • /
    • pp.67-81
    • /
    • 2021
  • 그라우팅 공법은 연약지반의 보강과 방수 및 지하수위저하 또는 상승과 진동으로 인한 침하 및 부등침하로 손상된 구조물의 지지력을 높이고 차수를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보강섬유를 이용하여 그라우트재료의 강도와 경화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로슬래그 기반의 무시멘트 그라우트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3종 미분말의 알칼리 자극제인 수산화칼슘을 미분말 형태로 배합하여 사용하였고 수산화칼슘의 함유량은 고로슬래그 미분말 대비 10, 20, 30%까지 치환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강섬유 유무에 따른 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섬유를 0.5%씩 추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보강섬유인 아라미드 및 탄소섬유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그라우트재 내에 섬유에 의한 가교작용이 일축압축강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자극제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순수한 시멘트 100%일 때 보다는 낮은 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알칼리자극제인 수산화칼슘이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반응했을 때 강도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시멘트와 비교하였을 때 미분말형태보다는 용액의 형태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Bioluminescence Single-Site Immunometric Assay for Methamphetamine Using the Photoprotein Aequorin as a Label

  • Kim, Hyun-Sook;Paeng, Insook-Rh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407-412
    • /
    • 2006
  • Bioluminescence single-site immunometric assay for methamphetamine (MA) using the native aequorin, a photoprotein, as a signal generator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MA is a potent sympathomimetic amine with stimulant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 abuse induces hallucinations and, thus, may cause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single-site immunometric MA assay was optimized and its dose-response behavior was examined. The dose-response curve shows that the detection limit is 1.1 ${\times}$ $10^{-10}$ M and a dynamic range is four orders of magnitude with 15 $\mu$g/mL BSA-MA conjugate and 1.0 ${\times}$ $10^{-8}$ M anti-MA antibody-biotin conjugate. In order to evaluate this assay, the structurally similar compounds, amphetamine, ephedrine, norephedrine, benzphetamine and N-4-(aminobutyl)methamphetamine were examined for their crossreactivity. None of these five compounds showed any cross-reactivity. Additionally, an artificial urine solution spiked with MA was analyzed by the MA assay,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present assay for the determination of MA in urine.

Hirudin 약침(藥鍼)이 뇌허혈(腦虛血)을 유발(誘發)시킨 흰쥐의 신경전도물질(神經傳達物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Hirudin Herbal-acupuncture on Neurotransmitters against Middle Cerebral Artery Occulsion(MCAO) Rats)

  • 석재욱;정태영;임성철;서정철;한상원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9-41
    • /
    • 2004
  • Objective : This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prove the effect of Hirudin Herbal-acupuncture by using rats that had neuronal damage due to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ulsion(MCAO). Method : We observed the change of extracellular concentrations(${\mu}M$) of dopamine, DOPAC, HVA, HIAA, glutamate, aspartate, GABA, glysine, taurine, alanine, and tyrosine as extracted by vivo microdialysis, in the Hirudin Herbal-acupuncture administrated rats($240{\sim}260g$, Sprague-Dawley) subjected to the MCAO. The dialysates were extracted three times before the MCAO and six times after the MCAO every 20 minutes, and analys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Results : Hirudin Herbal-acupuncture significantly inhibited glutamate, aspartate, and tyrosine which are stimulant neurotransmitters at brain ischemia, and it significantly decreased glycine, GABA, taurine, and alanine which are inhibitory neurotransmitters at brain ischemia. Conclusion : Hirudin Herbal-acupuncture may prevent delayed neuronal death(DND) in selectively vulnerable focal areas of the brain effectively.

암백신 (Cancer Vaccines)

  • 손은화;인상환;표석능
    • IMMUNE NETWORK
    • /
    • 제5권2호
    • /
    • pp.55-67
    • /
    • 2005
  • Cancer vaccine is an active immunotherapy to stimulate the immune system to mount a response against the tumor specific antigen. Working as a stimulant to the body's own immune system, cancer vaccines help the body recognize and destroy targeted cancers and may help to shrink advanced tumors. Research is currently underway to develop therapeutic cancer vaccines. It is also possible to develop prophylactic vaccines in the future. The whole cell approach to eradicate cancer has used whole cancer cells to make vaccine. In an early stage of this approach, whole cell lysate or a mixture of immunoadjuvant and inactivated cancer cells has been used. Improved vaccines are being developed that utilize cytokines or costimulatory molecules to mount an attack against cancer cells. In case of melanoma, these vaccines are expected to have a therapeutic effect of vaccine. Furthermore, it is attempting to treat stomach cancer, colorectal cancer, pancreatic cancer, and prostate cancer. Other vaccines are being developing that are peptide vaccine, recombinant vaccine and dendritic cell vaccine. Out of them, reintroduction of antigen-specific dendritic cells into patient and DNA vaccine are mostly being conducted. Curr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are underway to develop therapeutic cancer vaccine such as DNA vaccine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forms of can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