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stical argument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고등학교 확률 수업의 '몬티홀 문제' 과제 맥락에서 나타난 논증과정 분석 (An Analysis on Argumentation in the Task Context of 'Monty Hall Problem' at a High School Probability Class)

  • 이윤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23-44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확률 수업의 '몬티홀 문제' 과제 맥락에서 나타난 논증과 정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상 수준 한 학급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와 학생 사이의 논증과정에 관한 수업담화를 Toulmin의 논증패턴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논증 중심의 담화 공동체로 만들기 위한 과제 맥락과 학생들이 질문하고 반박할 수 있는 안전한 교실 문화의 중요성이 밝혀졌다. 또한 복잡한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논증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수업에 더 몰입하게 되었으며, 실제적인 경험적 맥락은 개념의 이해를 풍부하게 해 주었다. 그러나 논증과정에서 나타난 추론은 통계적 추론이 아니라 대부분 확률 문제 풀이 위주의 수학적 추론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맥락에 따라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통계적 추론이 일어남을 교사가 이해할 필요가 있고, 과제 맥락과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논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확률 통계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통계적 논증활동을 강조한 통계수업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ffect of Statistics Class focusing on Statistical Argumentation)

  • 강현영;송은영;조진우;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399-422
    • /
    • 2011
  • 현대 사회에서는 실생활의 양적 정보를 합리적으로 다루는데 필요한 능력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시대적 요구에 적절하고 의미 있는 통계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통계적 소양'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많은 논의가 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비판적 사고능력과 통계적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통계적 논증에 따른 의사소통이 일어나도록 과제를 개발, 제공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장에 대한 정당화 및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관점의 변화나 개념의 형성을 분석하고 통계적 소양의 발전이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 PDF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Abduction Type in the Activities Exploring 'Law of Large Numbers')

  • 이윤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323-345
    • /
    • 2015
  • 본 연구는 통계적 추론과 가추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큰 수의 법칙' 탐구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Peirce의 가추법, Eco의 가추법 유형, Toulmin의 논증패턴을 바탕으로 통계 수업담화를 분석한 결과, 가추법에 해당하는 수업담화에는 과대 코드화된 가추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를 유도하는 과소 코드화된 가추법과 새로운 법칙이나 이론을 만드는 창조적 가추법은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추론과정에 사용된 계산기는 추상적 확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맥락을 통해 학생들이 추론을 중심으로 한 논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통계 수업에서는 가추법에 대한 이해와 함께 도구를 이용한 통계적 맥락 형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산후조리 인지도와 수행도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for postpartal Women in Postpartum Care Center)

  • 박심훈;김현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06-52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for postpartal wome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service in a postpartum care center.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100 women of 6 postpartum care centers within a C province from Oct. 20 to Dec. 10, 2000. The instruments of measure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Data analysis consisted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t-test, ANOVA which are calculated by Scheffe test and Cronbach's alpha which is used as a reliance level by using a SPSS-PC+.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The average score for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for postpartal women was $3.09{\pm}.31$, and they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The methods which were ranked were as follows; Protecting the body from a harmful state, invigorating the body by the argumentation of heat and avoidance of cold, handling with whole heart, and keeping clean, resting without working, eating well. 2. The average score for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Sanhujori) for postpartal women was $2.81{\pm}.31$, and they performed that it was important, too. The methods which were ranked were as follows; Protecting the body from a harmful state, invigorating the body by the augumentation of heat and avoidance of cold, eating well, handling with whole heart, and keeping clean, resting without working.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paired-t=-8.39, p=.000)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for the postpartal women. The degree of recognition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performance. So,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Sanhujori)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of it. 4.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among the postpartal women's age, religion, job, educational background, delivery frequency, delivery method or the sex of baby. 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not influenced as far as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among the 5 postpartum care centers except 1 postpartum care center(p<.01). So,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in the 5 postpartum care centers. But there was performed as good as recognition in only 1 postpartum care ce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