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liquefac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풋마름병균의 생리적 성상에 관한 시험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Wilt Pathogen, Pseudomonas solanacearum E.F. Smith)

  • 최용철;조의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
    • /
    • 1972
  •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의 병원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가지과작물인 도마도(7), 가지(3), 고추(6),에서 분리한 16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에 따른 분해에서는 Glactose는 16균주가 전부 이용하였으나 Saccharose, Lactose, Starch는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이외의 탄소원에서는 균주에 따라 이용 반응이 각기 틀렸다. 3. 균주에 의한 탄소원의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Saccharose, Raffinose, Starch는 산성을 나타냈으나 Galactose, Salicin, Lactose, Dextrin, Mannitol, Esculin은 알카리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4. 생리적성질에서는 Gelatin 반응에서 균주에 따라 용해정도의 차가 나타났으며, methylene blue에서는 환원균주토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이외의 반응에서는 같은 성질을 보여주었다.

  • PDF

벼 흰빛잎마름병균의 생리적 성상에 관한 시험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Leaf Blight Pathogen of rice, Xanthomonas oryzae Dowson)

  • 최용철;이경휘;조의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7-101
    • /
    • 1971
  • 벼 흰빛잎마름병의 병원균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곁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본 병리 연구 담당관실 보존균주 및 일본, 비율빈에서 분양받은 균주와 최근 IR 계통품종과 이병성 품종에서 채집 분리된 10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의 분해 및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Galactose는 모든 균주가 이용하였고 Esculin, Mannitol, Raffinose Salicin, Saccharose는 몇몇균주가 이용했으며 lactose, Starch, Dextrin은 이용하지 못하였다. 3. 시험에 사용된 공시균주는 유화수소 및 암모니아를 생성하였으며 methylene blue 환원시험에서는 환인이 일어났으며 인돌생성은 하지 않았고 젤라틴은 서서히 액화시켰지만 균중간에는 액화정토가 서로 차이가 났으며 우유의 소화 및 응결은 없었으며 리트머스 우유를 청변시켰다.

  • PDF

생전분의 고농도 무증자당화법을 도입한 새로운 High Fructose Corn Syrup 제조공정 (An Innovative Process for High Fructose Corn Syrup Production Coupled with Direct Saccharification of Raw Corn Starch in a Bioattritor)

  • 박동찬;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7-444
    • /
    • 1992
  • 분쇄마찰매체함유 불균일상 효소반응계를 활용한 생전분의 무증자당화법은 고농도, 고순도의 포도당을 고효율로 직접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당화법으로 이를 high fructose corn syrup(HFCS) 제조공정에 응용코져 연구하였다. 400g/$\ell$ 생전분을 24시간 무증자당화시켜 이성화반응에 적합한 고농도인 398g/$\ell$와 고순조인 98 포도당 용액을 농축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얻을 수 있었다. 전분에 대한 포도당수율은 0.90으로, 미반응 잔유전분은 쉽게 원심분리되었으며, 재당화도 용이하였다. 또한 무증자당화액은 단백질성 변성물, 이온 등 불순물의 함량이 매우 적어, 이성화 반응 전단계인 분리 정제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었다. 생성된 당용액의 고정화 포도당 이성화효소 기질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생전분 직접당화법을 도입한 새로운 HFCS 제조공정은 액화/당화공정을 경유하는 기존의 공정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 산업적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요망된다.

  • PDF

고효율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위한 최적 전처리 공정 탐색 및 동시당화발효 공정 연구 (Study on Optimizing, Pretreatment &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Process for High-efficiency Bioethanol)

  • 최기욱;한민희;김율
    • KSBB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76-280
    • /
    • 2008
  • 동시당화발효 공정을 이용한 국내산 원료의 바이오 에탄올 생산성을 비교해 보았다. 먼저 바이오 에탄올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 에탄올 생산의 전처리 공정인 호화, 액화 공정의 최적조건을 탐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원료별 에탄올 생산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각 원료별로 모두 다른 최적의 전처리 조건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원료에 따른 전분 입자의 구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에탄올 생산성에 있어서도 원료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옥수수의 경우 에탄올 전환 수율이 90.45%로 가장 높았고 발효속도 면에서는 절간고구마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원료에서 전분함량이 높을수록 에탄올 생산량은 많았지만 발효 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원료에 포함된 다른 조효소나 보조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고효율의 바이오 에탄올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 원료에 따른 특성 파악이 중요하며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nhanced Production of Soluble Pyrococcus furiosus α-Amylase in Bacillus subtilis through Chaperone Co-Expression, Heat Treatment and Fermentation Optimization

  • Zhang, Kang;Tan, Ruiting;Yao, Dongbang;Su, Lingqia;Xia, Yongmei;Wu, J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70-583
    • /
    • 2021
  • Pyrococcus furiosus α-amylase can hydrolyze α-1,4 linkages in starch and related carbohydrates under hyperthermophilic condition (~ 100℃), showing great potential in a wide range of industrial applications, while its relatively low productivity from heterologous hosts has limited the industrial applications. Bacillus subtilis, a gram-positive bacterium, has been widely used in industrial production for its non-pathogenic and powerful secretory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production of P. furiosus α-amylase in B. subtilis through three strategies. Initial experiments showed that co-expression of P. furiosus molecular chaperone 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through genomic integration mode, using a CRISPR/Cas9 system, increased soluble amylase production. Therefore, considering that native P. furiosus α-amylase is produced within a hyperthermophilic environment and is highly thermostable, heat treatment of intact culture at 90℃ for 15 min was performed, thereby greatly increasing soluble amylase production. After optimization of the culture conditions (nitrogen source, carbon source, metal ion, temperature and pH), experiments in a 3-L fermenter yielded a soluble activity of 3,806.7 U/ml, which was 3.3- and 28.2-fold those of a control without heat treatment (1,155.1 U/ml) and an empty expression vector control (135.1 U/ml), respectively. This represents the highest P. furiosus α-amylase production reported to date and should promote innovation in the starch liquefaction process and related industrial productions. Meanwhile, heat treatment, which may promote folding of aggregated P. furiosus α-amylase into a soluble, active form through the transfer of kinetic energy, may be of general benefit when producing proteins from thermophilic archaea.

Extrusion of Ginseng Root in Twin Screw Extruder: Pretreatment for Hydrolysis and Saccharification of Ginseng Extrudate

  • Han, Jae-Yoon;Kim, Mi-Hwan;Tie Jine;Solihin Budiasih W.;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318-322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rusion of ginseng roots in twin screw extruder on susceptibility of ginseng starch toward hydrolysis by ${\alpha}-amylase$ BAN 480L (Novozyme, Denmark) and cellulase Celluclast 150L and saccharification by amyloglucosidase AMG-E (Novozyme, Denmark). The extrusion was conducted at 22% and 30% moisture contents of feed at screw speed 300 rpm. Barrel temperature at zone 1 was adjusted at $100^{\circ}C$ and $120^{\circ}C$. The results showed that extrusion process improved the ginseng ${\alpha}-amylase$ susceptibility as compared to traditionally dried ginseng (white and red ginseng). Reducing sugar of hydrolyzed extruded samples was 2,500% of its initial concentration, whereas the reducing sugar of hydrolyzed non-extruded sample was only 200% of its initial concentration. However, addition of cellulase during liquefaction lowered the saccharification yield of both non-extruded and extruded samples as well.

제조 방법에 따른 쌀 조청의 특성 및 수율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Jochung Processed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최윤희;백지은;박신영;최혜선;송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14-420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yield and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s for the preparation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rice jochung, a traditional food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jochung, the viscosity, color value, mineral contents and the sensory evaluation were measured. Jochung is prepared from steamed rice (STR), wet-milled rice flour (WRF) and dry-milled rice flour (DRF) by processing methods of rice and reacting times (6 hours or 13 hours) of liquefaction and saccharification. There is commonly added liquefying enzyme for rice liquefaction (0.4%/10 kg rice, at $85{\sim}90^{\circ}C$ for 1 hour or 4 hours) and saccharogenic enzyme with malt (2.5% or 4.5%/10 kg rice, at $56{\sim}60^{\circ}C$ for 5 hours or 9 hours). The inner structural properties of WRF showed the more distinct shape regular structure of uncombined starch particles but the DRF closely maintained particles of rice flour observed by SEM. If processing times for liquefation and saccharification were reduced from 13 hours to 6 hours, the yield of jochungs prepared with WRF increased 8%, the DRF 7%, and the STR 3% respectively and the sensory evaluation as well as color values and overall desirability received high scores. The viscosity, color a and b values of jochung processed with WRF for 6 hours were lower than that processed for 13 hours. The viscosity and color a, b value and Ca content were decreased in the jochung processed with WRF or DRF for 6 hours, but Mg, P and K were increased than that of STR. Jochung processed by 0.4% liquefying enzyme and 2.5% malt with WRF for 6 hours will increase the yield, save manufacturing times and costs and will thereby enable cost-effective techniques.

참깨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및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g. vasinfectum)에 길항적인 Streptomyces spp.의 분류 동정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Streptomyces Species on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and Fusarium oxysporum sporum f. sg. vasinfectum Causing Sesame Wilt and Blight)

  • 정봉구;서상오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5-71
    • /
    • 1992
  • 참깨 역병(疫病) 및 시들음병에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우수(優秀)한 2균주(菌株)에 대하여 형태적(形態的), 배양적(培養的) 및 생리적(生理的) 특징(特徵)에 근거하여 동정하였다. 형태적(形態的)특정으로서 포자(胞子)사슬모양이 공시균(供試菌) St-11은 꾸불꾸불한 모양(Rectus-flexibilis)인 반면(反面) 분리균주(分離菌株) St-20은 고리모양(Rectinaculum-apertum)이었다. 포자(胞子)의 세포벽표면(細胞壁表面)의 모양은 St-11이 매끄러운 모양(Smooth form)이었으나 St-20은 바늘모양(Spiny form)이었다. 배양적(培養的) 특징(特徵)으로서 기중(氣中) 균사체(菌絲體)의 색깔은 뒷면과 함께 모두 회색계통(灰色系統)이었으며 대체로 공시배지(供試培地)에서 균(菌)의 생장(生長)은 양호(良好)하였다. Soluble pigment 는 공시균주(供試菌株) St-11과 St-20 모두에서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공시균(供試菌) St-11은 의 분해능(分解能)과 Gelatin 액화능(液化能)은 음성 반응을 보인 반면 St-20은 전분(澱粉)의 분해능(分解能)은 양성반응, Gelatin 액화능(液化能)은 음성이었다. 이상의 여러 시험결과에 따라 공시균주 St-11은 Streptomyces bikiniensis로 St-20 은 Streptomyces echinoruber로 동정하였다.

  • PDF

Screening of Endophytic Antagonistic Bacterium from Phellodendron amurense and Their Biocontrol Effects against Canker Rot

  • Li, Shujiang;Fang, Xinmei;Zhang, Hanlian;Zeng, Yanling;Zhu, Tianhu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234-242
    • /
    • 2019
  • Thirty-four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Phellodendron amurense. Using Nectria haematococca as an indicator strain, the best strain, B18, was obtained by the growth rate method.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ain B18 and its 16S DNA gene sequence were identified, and the biocontrol effect of strain B18 was assessed in pot and field tests, as well as in a field-control test. Drilling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abolites from strain B18 and their effects on the growth of pathogen mycelia and spores. The best bacteriostatic rate was 85.4%. B18 can hydrolyse starch and oxidize glucose but does not produce gas; a positive result was obtained in a gelatine liquefaction test. According to 16S DNA gene sequencing, strain B18 is Bacillus methylotrophicus (GenBank accession number: MG457759). The results of pot and field-control trials showed 98% disease control when inoculating $10^8cfu/ml$ of the strain. The disease control effect of the B18 culture liquid (concentrations of $10^8$, $2{\times}10^6$, $10^6$, $5{\times}10^5$ and $2.5{\times}10^5cfu/ml$) in the field-control test was higher than 80%, and the cure rate of the original delivery solution was 96%. Therefore, in the practical forestry production, a $2.5{\times}10^5cfu/ml$ culture liquidshould be applied in advance to achieve good control effects.

한국인유래의 Amylolytic Bifidobacterium 에 의한 쌀발효 (Rice Fermentation by Korean Amylolytic Bifidobacterium spp.)

  • 박종현;송혜경;안준배;지근억;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81-587
    • /
    • 1997
  • 쌀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쌀전분에서 직접 발효가능한 amylolytic Bifidobacterium을 한국인에서 분리하여 쌀발효를 통한 bifidus발효식품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한국인 38명으로부터 한천배지에서 amylolytic Bifidobcterium 18균주를 선발하였고 이중 amylase 활성이 높은 4균주를 최종선발하였다. Bif. sp. FBD-12는 세포외 amylase역가가 0.17 U/mg였고 세포내 역가는 1.8 U/mg로 가장 우수한 균이었다. 그리고 이중 Bif. sp. FBD-12, Bif. sp. FBD-16, Bif. sp. FBD-17은 산에 대한 내성이 강했으나 Bif. sp. FBD-6는 내산성이 비교적 약해 pH 5.0배지에서의 생육이 대조구의 $10^2$로 감소하고 있었다. 이들을 이용하여 쌀을 발효한 결과 초기균수 $10^6\;CFU/mL$에서 $10^9\;CFU/mL$까지 생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았다. 발효물의 기호와 기능을 제고하기 위하여 배지환원제인 cysteine대신 ascorbic acid를 0.1%첨가했을 때 같은 생육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분리대두단백첨가 쌀배지에서 발효시켰을 때 3%첨가시가 가장 좋았다. 쌀배지에 0.1%의 ascorbic acid와 3% 분리대두단백을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때 발효가 빨리 일어나 초기 $10^7\;CFU/mL$에서 12시간만에 $10^9\;CFU/mL$까지 증가하였고, pH는 초기 6.5에서 3.8로 저하되었다. 산도도 $0.8{\sim}1.0%$로 증가하였으며 환원당도 증가하였는데 Bif. sp. FBD-6은 2mg/mL에서 15.5 mg/mL이 생성되어 cysteine만을 첨가했을 때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발효특성을 보여주었다. 발효물에 대한 관능검사결과 Bif. sp. FBD-12에 의한 발효물은 기호도가 양호하게 나타나 Bifidobacterium에 의한 쌀식품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