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lipid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19초

화학적 변성 및 생감자 전분이 고지방식이로부터 유도된 비만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Modified Potato Starch By Chemically Denatured Treatment and Potato Starch on the Weight Loss, Lipid Metabolism and Redox Antioxidant System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박수진;최미경;김진숙;임학태;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51-1257
    • /
    • 2008
  • AIN-93G 식이조성을 기본으로 corn starch를 potato starch로 100% 대치한 고지방식이를 42일간 rat에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 후, GPS군, SPS군, EZ군, H40군으로 나누어 70일 급여한 후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체중증가량은 GPS, EZ, H40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식이효율 또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혈중 혈당농도, TC, LDL-cholesterol 농도는 변성 전분 섭취 군(EZ, H40군)에서 높았고, atherogenic index는 H40이 다른 군에 비교해 높게 측정되어 H40군이 비만,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간과 신장 조직의 MDA 생성량은 H40군이 혈청 MDA 생성량이 다른 군에 비해 매우 높았고, 간과 신장 조직에서는 EZ, H40군이 낮았다. Glutathione 함량은 각 조직별로 경향이 달랐으나, GP-x활성은 SPS군에서 낮았다. 본 연구에서 전분을 달리하여 첨가한 고지방 식이가 비만한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알감자 전분을 100% 대치하여 제조한 SPS군 및 효소 처리한 변성전분(EZ)을 100% 대치하여 급여한 군에서 비만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변성전분의 심혈관계 질환 및 혈중 지질 패턴 변화에 관련된 기전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생리활성이 규명된 후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항전분이 인체내 영양생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stant Starch on Physic-Nutrition Availability in Human)

  • 오승호;신말식;최인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9호
    • /
    • pp.932-942
    • /
    • 2002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resistant starches on the physio-nutrition in women, ni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investigated using cellulose (CED), resistant starch 3 (RS3D) and resistant starch 4 (RS4D) diets. Each woman's daily intake and excretions of energy, protein and lipid were mesured together with the apparent digestibility and the amounts of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h are as follows. The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Resistant starch 4 diet) compared with the CED(Cellulose) and the RS3D (Resistant starch 3 diet). The metabolic energy in those periods with RS added to their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reas the metabolic energy in the period CED was significantly low. The daily protein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compared with the CED and the RS3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compared with the CED and the RS3D. The daily lipid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ED compared with the RS3D and the RS4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lipid was not significant in that period.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 of H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not significant in those period. As the above results indicate, while RS3 appear to have similar effect on energy consumption rate, apparent protein digestibility and content of cholesterol in plasma, compared with the CED, but energy consumption rate and apparent digestibility of protein a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compared with the CED. Thus, it appears that cellulose and RS 3 share similar effects on physio-nutrition in human, while RS4 does not have the similar effects. (Korean J Nutrition 35(9) : 932∼942, 2002)

녹두의 전분지질에 관한연구 (Compositions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in Lipids Extracted from Mung Bean Starch)

  • 엄수현;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3
    • /
    • 1990
  • 녹두전분으로 부터 유리지질과 저온 및 고온에서 결합지질을 추출한 다음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였으며 아울러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녹두전분에서 추출한 유리지질에서의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98.2%, 1.7%, 0.1% 이였으며 저온 및 고온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에서는 각각 84.3~85.7%, 10.5~11.0%, 5.2~3,3% 이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의 주된 성분은 triglyceride와 esterified sterol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총 중성지질의 90%를 차지 하였다. 당지질의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은 monogalactosyl diglycerides와 esteryl steryl glyceried가 주성분 이었다. 그리고 인지질의 경우 유리지질은 phosphatidyl ethanolamine (79.0%)이 그리고 결합지질은 phosphatidyl inositol등이 주성분이었고 고온추출 결합지질에서는 phosphatidyl giyeride 함량이 높았다. 또한 각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유리지질에서는 palmitic acid(50.2%), stearic acid(20.6%)이 주성분이었고 결합지질에서는 palmitic acid과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그리고 유 질에서는 arachidonic acid와 behenic acid가 또한 고온추출 결합지질에서는 behenic acid가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되어 있었다.

  • PDF

고아밀로오스전분의 섭취가 흰쥐의 지방대사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Amylose Starch on Lipid Metabolism and Immune Response in Rats)

  • 설소미;방명희;최옥숙;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50-457
    • /
    • 2003
  • 본 연구는 SD계 흰쥐를대상으로 전분을 식이 무게의 50%로 주면서 일반 옥수수전분을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으로 대치시 켜 RS양을 증가시켰을 때, 지방대사와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식이섭취량이나 식이 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HA100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맹장무게와 하루 변배설량은 식이내 HAS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맹장내용물의 pH는 식이 내 HAS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내 총 지방,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량은 HAS섭취가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량과 간내 총 지방,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량은 HAS섭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변을 통한 총 콜레스테롤의 배설량은 HA50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면역 기관인 흉선과 비장의 무게와 혈장의 Ig G와 $C_3$농도는 식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비장세포의 증식 능력을 보았을 때 PHA에 의한 자극에는 식이의 영향이 없었으나 저용량의 Con A로 자극하였을 때 HA25, HA50에서 증식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배양액 내 PGE$_2$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HAS의 섭취는 체중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맹장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맹장 내 pH를 낮추고, 혈액내 지방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소화성전분의 섭취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장 기능과 혈액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t Starch on Gut Functions and Plasma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 Fat Diet)

  • 정미경;김명환;강남이;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1-276
    • /
    • 2002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 섭취시 RS섭취가 장기능 및 혈액지방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후 4주된 실험동물을 구입하여 6주간 고지방식이로 사육하여 성장 시킨 후 RS함량이 다른 실험식이로 4주간 더 사육한 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주간의 실험식이를 섭취하였을 때 식이 섭취량과 식이효율은 실험군간의 차 가 없었고, 대조군에 비해 RS30군에서 체중과 부고환지방무게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소장과 대장의 길이, 맹장의 무게는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분변내 수분함량을 보면 RS를 30%섭취한 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하였고, 실험식이 섭취후 3주째 측정한 장통과시간은 RS 30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장세포의 증식은 RS30 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RS섭취량에 따라 총지방량, 중성지방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을 섭취한 성장이후의 쥐에서 RS섭취는 유의적 이지는 않으나 체중과 체내 저장지방, 장통과시간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 혈액 내 총지방량과 중성지방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난소화성전분의 섭취는 저열량원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 고지방식이시 혈액내 총지방량과 중성지방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dose dependent 하지는 않았으며 난소화성 전분을 식이무게의 30%로 섭취할 경우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Studies for Physicochemical and In Vitro Digestibility Characteristics of Flour and Starch from Chickpea (Cicer arietinum L.)

  • Chung, Hyun-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39-347
    • /
    • 2011
  • Flour and isolated starch from chickpea (desi type, 328S-8) were evaluated for their in vitro digesti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protein content, total starch content and apparent amylose content of chickpea flour and isolated starch were 22.2% and 0.6%, 45.8% and 91.5%, and 11.7% and 35.4%, respectively. Chickpea starch granules had an oval to round shape with a smooth surface.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chickpea starch was of the C-type and relative crystallinity was 24.6%. Chickpea starch had only a single endothermic transition (13.3 J/g) in the DSC thermogram, whereas chickpea flour showed two separate endothermic transitions corresponding to starch gelatinization (5.1 J/g) and disruption of the amylose-lipid complex (0.7 J/g). The chickpea flour had a significantly lower pasting viscosity without breakdown due to low starch content and interference of other components. The chickpea starch exhibited significant high setback in the viscogram. The average branch chain length, proportion of short branch chain (DP 6~12), and long branch chains (DP${\geq}$37) of isolated chickpea starch were 20.1, 20.9% and 9.2%, respectively. The rapidly digestible starch (RDS), slowly digestible starch (SDS) and resistant starch (RS) contents of chickpea flour and starch were 9.9% and 21.5%, 28.7% and 57.7%, and 7.1% and 9.3%, respectively. The expected glycemic index (eGI) of chickpea flour (39.5), based on the hydrolysis index,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isolated chickpea starch (69.2).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는 종실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Tropical Legume Seeds)

  • 김정교;제미공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2-78
    • /
    • 1988
  •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는 18종의 콩종자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류하기 위하여 그 미세구조를 주로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vicieae에 속하는 종실들은 많은 단일전분입자들로 구성된 자엽세포구조를 갖는 starch-rich legume이였으며, phaseoleae중에서는 benas(phaseolus), cow pea, green gram(vigna), hyacinth bean(dolicholus)이 starch-rich legume이였다. 한편 soybean(glycine), winged bean(psophocarpus)는 자엽세포가 대부분 protein body로 구성된 protein-rich legume이고 yam bean (pachyrrhizus)와 cluster bean(cyamopsis)에서는 protein body 보이는 구형물질로 이루어진 자엽세포 구조를 볼 수 있었다. 또한 green gram과 winged bean은 soybean에 비하여 두꺼운 세포벽을 갖고 있었으며 pit-pair가 관찰되었다. Lipid body는 winged bean과 soybean에서 볼 수 있었다. starch-rich legume들은 팥고물 제조과정에서 전분입자들이 파괴되지 않음으로써 특징적인 조직감을 부여하는 red bean이나 benas와 같은 phaseolus의 대체 자원으로 제시될 수 있었다.

  • PDF

결착제 조성이 견과-깨 엿강정의 저장 중 지방질 산화와 산화방지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nder composition on the stability of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s of nut-sesame yeotgangjeong (Korean traditional candy bar))

  • 오보영;신말식;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80-285
    • /
    • 2018
  • 결착제의 조성을 달리하여 제조한 견과-깨 엿강정의 저장 중 지방질 산화 정도와 산화방지제 함량을 평가하였다. 엿강정 제조시 결착제를 물엿 대신 꿀, 조청, 그리고 설탕 대신 트레할로스로 전부 또는 일부 대체하였을 때 엿강정의 저장 중 지방질 산화가 증가, 가속되었으며 트레할로스에 의한 산소 퍼짐도 증가가 일부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엿강정을 저장하였을때 산화방지제 중 리그난의 안정성이 가장 높았으며, 토코페롤 분해속도는 설탕을 트레할로스로 대체한 엿강정에서 낮아 트레할로스가 토코페롤의 지방질 산화방지작용을 억제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염분과 온도의 동시 영향에 따른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granulata와 Chlorella vulgaris의 중성지질 및 녹말 축적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Effect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Neutral Lipid and Starch Accumulation by Ocean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granulata and Chlorella vulgaris)

  • 고경준;이치헌;문혜나;이연지;양진주;조기철;김대경;여인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6-245
    • /
    • 2016
  • 미세조류는 육상 식물과 비교하여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며 다량의 지질과 탄수화물을 축적할 뿐 아니라 카로테노이드, 폴리페놀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을 체내에 축적하므로 바이오 에너지 및 기타 산업의 유망한 재료로 인식 되어왔다. 미세조류의 온도, 염분, 빛 등 비생물적 스트레스와 다양한 배양 조건에 따른 생화학 물질의 축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한 조건들의 동시적인 효과에 따른 성장과 생화학물질 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두 해양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와 Nannochloropsis granulata의 염분(10, 30, 50 psu) 및 온도(20, 25, $30^{\circ}C$)의 동시 배양 조건에 따른 바이오 매스의 변화와 바이오 에너지에 사용되는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변화를 회분배양의 실험적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circ}C$, 30 psu 조건에서 C. vulgaris 및 N. granulata 모두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 a 및 carotenoid의 축적 양상이 온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중성지질과 녹말의 축적은 염분과 온도의 조합에 따라 두 종의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세조류의 염분에 의한 성장과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양상은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 따라 그 변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지 및 지질첨가 강남콩, 녹두와 옥수수 전분의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fatted and Lipid-reintroduced Kidney Bean, Mung Bean and Corn Starches)

  • 이상금;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0-715
    • /
    • 1993
  • 강남콩, 녹두, 옥수수전분을 99% 메탄올로 탈지시키고 추출된 지질을 에테르로 탈지시료전분에 첨가한 다음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양상을 알아보았다. 전분입자의 형태는 강남콩전분과 녹두전분이 둥근타원형이었고 옥수수전분은 다각형이었으며 시료처리 후에도 모양은 변하지 않았다. X-ray 회절도에 나타난 결정형은 모두 Ca형을 보였고 탈지전분의 결정성의 정도는 생전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지질을 첨가한 전분은 증가하였는데 옥수수전분인 경우는 생전분보다 낮게 강낭콩전분과 녹두전분은 더 높게 증가하였다.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탈지 후 증가하였으나 지질을 첨가한 다음에는 감소하였고, 물결합능력에서는 지질첨가전분이 생전분과 탈지전분보다 높게 나타났다. 팽윤력과 용해도는 모든 시료전분에서 온도증가에 따라 상승하였고, 강남콩전분과 녹두전분은 탈지전분, 생전분, 지질첨가전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옥수수전분만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호화온도는 강남콩, 녹두, 옥수수전분이 각각 $87,\;67,\;80^{\circ}C$였으며 강남콩전분을 제외한 탈지시료전분에서는 최고점도, 냉각점도, consistency, setback 모두 생전분보다 감소하였고 지질첨가전분에서는 녹두전분은 생전분보다는 낮게 탈지전분보다는 높게 증가하였으며 옥수수전분인 경우 최고점도는 생전분과 유사하였으나 다른 특성치들은 생전분과 탈지전분보다 더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