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9초

Maltitol 첨가와 가래떡의 노화억제 (Suppression Effect of Maltitol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Karedduk))

  • 박정욱;박현정;송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5-180
    • /
    • 2003
  • Maltitol 첨가가 가래떡의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노화현상은 시차주사열량기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전분의 재결정화, 색깔의 변화정도를 측정, 비교 하였다. 그 결과 maltitol 첨 가량이 증가할수록 노화가 억 제되었는데 특히 실온에서는 냉장조건에서보다 엔탈피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SC 흡열곡선의 경우 호화개시온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경시적으로 증가하였다. 최대호화온도(Tp)의 경우에는 maltitol 첨가량을 증가할수록 최대호화온도는 낮아졌다. 용음 엔탈피의 경우는 실온, 냉장조건에서 maltitol을 첨가했을 때 다소 감소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 X-ray의 회절도 실험에서도 maltitol을 첨가했을 때 가래떡은 crystalline region이 나타나지 않아 가래떡의 노화가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altitol 첨가에 따른 가래떡 색깔변화를 보면 maltitol을 첨가한 경우에는 가래떡의 관능적 품질의 안정화 즉 색깔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부와 녹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lperties of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 윤계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46
    • /
    • 1989
  • Mung bean starch gel (Mook) and gel made from starch of cowpea are similar properties in texture. In order to elucid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starch gels,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wpea starch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ung bean starch. Water bildings capacity of cowpea starch (183.6%) was a little low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184.2%). The solobility, swelling power and optical transmitance of the cowpea starch showed a smiliar pattern to mung bean starch, but cowpea starch had a little lower solubility than mung bean starch. Amylogram of mung bean strach (4, 5, 6, 7%) shoved no peak viscosity but cowpea starch (4, 5, 6%) showed peak viscosity and both starches showed high viscosities when cooling.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had the blue value of 0.41 and 0.47, the alkali number of 8.4 and 8.0, the amylose content of 30.5 and 32.1%, the molecular weight of amylose of 30,000 adn 29,258 and glucose unit per segment of amylopectin of 27.6 and 26.8 respectively. The shape of cowpea and mung bean strach granules were round and elliptical, and the mean vlalue of major axis, minor axis and the ratio of these were 20.7 and 21.8 ${\mu}{\textrm}{m}$, 14.6 and 14.4 ${\mu}{\textrm}{m}$ and 1.42 and 1.51, respectively. The extent of retrogradation determined by the glucoamylase digestion method and syneresis showed that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syneresis showed than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gel. The redults of X-ray diffraction studies showed A pattern for two starches, Diffraction peak of gels disappeared with gelatinization of starches but that of two starch gels storaged for 2 days at 5$^{\circ}C$ showed a similar patterm.

  • PDF

습식법과 예열처리법 및 Extrusion 공정에 의해 제조한 초산전분의 이화학적 성질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Acetates Prepared by Conventional, Preheat Treatment and Extrusion Process)

  • 김종태;류기형;김동철;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59-667
    • /
    • 1990
  • 옥수수전분을 무수초산과 아세틸화반응을 시켜 슬러리상태의 재래적인 방법과 예열처리에 의한 방법 및 extrusion 공정에 의하여 초산전분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하였다. 재래적인 방법으로의 초산전분을 제조(CSA)할 경우 최고의 치환도를 갖는 반응 최적조건은 반응온도 $35^{\circ}C$와 반응 pH8.5이었다. Anhydrous glucose unit에 대하여 무수초산의 mole비를 0.03에서 0.2로 증가시킬 경우 최적조건에서의 치환도는 0.019에서 0.082로 증가한 반면 아세틸화반응 수율은 31.6%에서 20.5%로 감소되었다. 예열처리를 $65^{\circ}C$$90^{\circ}C$에서 처리하여 초산전분제조(PSA)시 치환도는 각각 0.027과 0.040 이었다. Extrusion 공정에 의한 초산전분제조(WESA)시 치환도는 0.02이었다. 초산전분의 호화개시온도와 호화 enthalpy는 치환도가 증가함에 따라 원료전분보다 낮아졌다. 모든 초산전분시료가 원료전분에 비하여 투명도가 증가되었고 색도에 있어서 명도는 감소되었고 황색도는 증가되었다. WESA 시료는 원료전분, CSA 및 PSA 시료에 비해 낮은 곁보기점도를 보였으며 뉴우톤성 유체에 접근하였다. 고유점도는 CSA와 WESA 시료가 원료전분보다 낮았으나 PSA 시료는 약간 큰 값을 보였다. 초산전분겔의 노화시간상수는 모든 초산전분시료가 원료전분보다 큰 상수값을 보였다.

  • PDF

거두와 적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및 Gel 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wo Small Red Bean ( Black and Red ) Starches and Gels)

  • 채선희;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14
    • /
    • 1990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wo small red bean starches. Some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tarch gels were also studied by experiments of various starch concentrations. Water binding capacity of black bean starch was 172.3% and that of red bean starch was 199.0%. Black bean starch had lower swelling power than red bean starch, but the solubility of the black bean starch was higher.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d from 60$^{\circ}C$ to 70$^{\circ}C$, the transmittance of two starches rapidly increased. The gelatinized temperature in DSC for black bean was 66.2$^{\circ}C$ and that for red bean was 66.0$^{\circ}C$. Black bean and red bean starches had the blue vlaues of 0.55 and 0.56 and the alkali numbers of 4.40 and 4.13. The molecular weight of amylose was 40,000 and 33,611. The amylose contents of two starches were same at 52%. Brabender Amylographs of two small red bean starch pastes showed C pattern, which is stable. The results of compression test pointed out that TPA parameters varied with the change of storage time, and black bean starch gels had the higher TPA value. The retrogradation study by glucoamylase digestion method revealed that red bean starch gels were more easily retrogradated than black bean.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wo small red bean starches were A pattern, and diffraction peaks disappeared with gelatinization of starches.

  • PDF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 Processed by Ultra-Fine Pulverization

  • Han, Myung-Ryun;Chang, Moon-Jeong;Kim, Myung-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34-238
    • /
    • 2007
  • The effects of ultra-fine pulveriz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 (RS) were investigated using a high impact planetary mill. After pulverization, RVA characteristics, peak viscosity, break down, and set back values of RS decreased from 274.75 to 9.42 RVU, 214.46 to 6.17 RVU, and 87.80 to 17.00 RVU, respectively. The pasting properties also changed significantly. X-Ray diffractogram revealed RS had four A-type peaks, which disappeared after pulverization. The peak temperature and gelatinization enthalpy of RS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were 13.99 J/g at $75.14^{\circ}C$, whereas the pulverized RS (PRS) had two peaks, 0.13 J/g at $63.88^{\circ}C$ and 1.23 J/g at $101.24^{\circ}C$. DSC measurement showed the retrogradation degree of PRS was lower than that of RS after storage at 4 and $25^{\circ}C$. The enzymatic (${\alpha}$-amylase) digestibilities of RS and PRS were 72.7 and 77.3%, respectively.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자포니카 벼 품종의 전분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in Japonica Rices of Differenct Amylose Content)

  • 송진;김재현;김덕수;이춘기;윤종탁;김선림;서세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85-291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starch properties of rice grains in thre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Ilpumbyeo (non-waxy), Goami2 (high amylose), and Hwasunchalbyeo (waxy rice).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s, but Goami 2 showed $2{\sim}3$ folds higher crude fat (1.36%) than Ilpumbyeo. Pasting properties of RVA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maximum viscosity, breakdown, and final viscosity in Ilpumbyeo. A similar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amylopectin was found in Ilpumbyeo and Hwasunchalbyeo, indicating that DP 12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Goami 2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DP 14, and showed the lower percent (14.1%) than other rice cultivars. Thermal properties of DSC showed that the values of Tc and Tp of Hwasunchalbyeo were similar to Ilpumbyeo, whereas a slightly higher Tc was observed. The absorbtion enthalpy was also the highest (11.1 mJ/mg) in Hwasunchalbyeo. Goami 2 showed higher To, but the lowest enthalpy (6.52 mJ/mg) compared to Ilpumbyeo (7.92 mJ/mg). Retrogradation properties, which were measured with the gelatinized rice sample used for DSC, and stored in $4^{\circ}C$ during 6 days, indicated that retrogradation absorbtion peak was the first peak at $52.6{\sim}55.2^{\circ}C$, and the second peak above $95^{\circ}C$. Retrogradation enthalpy of Goami 2 was the highest value (5.12 mJ/mg).

산화에 따른 옥수수 전분의 분자량 분포 양상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attern in Oxidized Corn Starch)

  • 한진숙;안승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0-205
    • /
    • 2002
  • 본 연구는 옥수수 전분의 기능 특성을 개선시키고자, 다양한 sodium hypochlorite(NaOCl)농도에서 산화시킨 산화 전분의 분자 구조적 변화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전분의 분자량 분포에서 산화 전분은 고분자량의 피크가 점차 작아지고 저분자량 부분의 피크가 높아져 전체적 분자량 분포가 낮은 쪽으로 이동하였고, 요오드 최대 흡수 파장이 감소되면서 색깔이 변화하였다. 무처리 전분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량이 큰 부분의 용출이 증가하였다. 산화전분의 경우 아밀로펙틴이 산화에 의해 분해되어 전분 입자내에 큰 분자량을 가진 분자가 감소되면서 작은 분자량을 가지는 분자가 증가되기 때문에 가용성 탄수화물의 양이 증가하였다. DSC 특성에서는 상전이 온도 범위와 엔탈피의 차이는 없었으나 산화 전분이 무처리 전분보다 노화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산화전분용액의 광투과도는 증가하였다.

율무와 염주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ullmoo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stapf.) and Yeomjoo (Coix lachryma-jobi L.) Starches)

  • 우자원;윤계순;김형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1985
  • 율무와 염주 전분을 분리하여 입자의 형태와 몇가지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학 현미경으로 본 입자의 외형은 6각형, 8각형, 구형이었고, 평균직경은 율무와 염주 모두 $12.0{\mu}$이었다. 2. X-선 회절에 의한 결정구조는 A-type이었고, amylose함량은 율무전분이 0%, 염주전분은 23%였다. 3. 요오드 친화성은 율무전분이 0.08%, 염주전분은 4.2%이었고, blue value는 각각 0.13과 0.43이었다. 4. 다율무전분의 amylopectin분자의 1 segment 당 D-glucose 평균 중합도는 23이었고, 율무 및 염주전분의 alkali number는 각각 2.4와 7.2였다. 5. 팽화력은 율무와 염주 전분에서 각각 280과 20이었고, 가열에 의한 팽윤 현상은 율무전분이 염주전분보다 2배 높았으나, 융해도는 1/2배로 낮았다. 6. 0.1% 전분농도의 광투과도는 율무와 염주 전분 모두 $60^{\circ}C$에서 증가하는 호화양상을 보였고 amylogram에 의한 호화개시온도는 율무전분이 $68.5^{\circ}C$, 염주전분이 $78^{\circ}C$이었고 최고점도는 920 B.U.와 310 B.U.였으며 율무부분은 set back이 아주 낮았다. 7. 고유점도는 율무와 염주전분에서 각각 1.49, 1.77이었고 점조도지수는 0.67과 0.56이었다. 8. 전분 gel의 노화양상은 율무전분에서는 $2^{\circ}C$에서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 염주전분은 완만하게 노화되었다.

  • PDF

각종 전분으로 만든 교질상 식품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녹두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 (Characterization of Mungbean (Phaseolus aureus L.) Starch)

  • 김완수;이혜수;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3호
    • /
    • pp.166-172
    • /
    • 1980
  • 광학 현미경 및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로 관찰한 녹두 전분 입자는 타원형 및 구형으로서 너비는 $8{\sim}13{\mu}m$, 길이는 $18{\sim}30{\mu}$이었다. X-ray 회절도는 $2{\theta}$$16.9^{\circ}$에서 약간의 결정성을 보였다. 전분의 blue value는 0.36, 아밀로스 함량은 22.7%, 알카리 수는 8.52, ferricyanide 수는 1.06물 결함 능력은 81.6%이었다. 전분의 팽윤은 $50^{\circ}C$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전분 현탁액(0.3%)의 광 투과도는 $65^{\circ}C$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65{\sim}90^{\circ}C$에서는 Single stage의 호화 양상을 보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전분의 호화는 농도(건물중으로 6,7 및 8%)에 관계없이 최고 점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분 gel(건물중으로 40% 농도)의 retrogradation시 시간상수는 $21^{\circ}C$에서 1.99일이었다.

  • PDF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뿌리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제2보 : 전분의 물리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Root Starch - II. Physical Properties-)

  • 조재선;김성곤;이계호;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3-141
    • /
    • 1981
  • 고사리뿌리 전분의 이화학적인 특성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된 물리적 특성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분입자의 미셀구조의 결합력을 보기 위한 흡수도, 팽윤력, 용해도 시험결과 감자전분이나 타피오카전분 보다 강한 결합을 하고 있으며 곡류전분보다는 약하며 팽윤력이 single-stage pattern을 이루고 있었다. 가열에 의한 전분입자의 복굴절성 상실, ${\alpha}$-아밀라아제에 의한 소화성 및 X-선 회절등으로 전분의 호화과정을 살펴본 결과 $55{\sim}60^{\circ}C$에서 호화가 시작되고 $60{\sim}70^{\circ}C$에서는 95%이상 호화되었다. 또한$3{\sim}6%$전분용액의 가열에 따른 점도변화률 amylograph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pasting temperature $62{\sim}68^{\circ}C$, 최고정도 $80{\sim}840\;BU$, $50^{\circ}C$로 냉각후의 점도는 $110{\sim}555\;BU$였다. 따라서 다른 전분에 비해서 점도가 낮으나 setback이 현저히 느렸다. 수분함량 50%의 전분겔의 경도는 팥 전분보다는 약하고 감자나 밀전분에 비해서는 현저히 높았다. 전분겔의 저장중 노화속도는 밀 전분보다는 느리고 타피오카 전분보다는 빨랐다. 고사리뿌리 전분은 팥 전분겔특성에 큰 변화를 주지않지만 노화를 억제하였고 밀 전분겔에 첨가시에는 겔의 경도가 저하되어 부드러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