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content

검색결과 1,013건 처리시간 0.024초

앙가케(あんがけ) 소스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Angake Sauce)

  • 이정기;유승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5-330
    • /
    • 2011
  • The results from quality measurements of Angake sauce are as followings. The content of solids increased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added starch. The pH increased with the quantity of added starch,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The viscosity increased as the quantity of added starch increased. The preference was the highest for the group with 6% added starch, and preference was shown in order of 6% > 7% > 5% > 8% > 4%. The addition of 6~7% starch to Angake sauce is considered to be most appropriate.

동부와 녹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lperties of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 윤계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46
    • /
    • 1989
  • Mung bean starch gel (Mook) and gel made from starch of cowpea are similar properties in texture. In order to elucid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starch gels,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wpea starch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ung bean starch. Water bildings capacity of cowpea starch (183.6%) was a little low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184.2%). The solobility, swelling power and optical transmitance of the cowpea starch showed a smiliar pattern to mung bean starch, but cowpea starch had a little lower solubility than mung bean starch. Amylogram of mung bean strach (4, 5, 6, 7%) shoved no peak viscosity but cowpea starch (4, 5, 6%) showed peak viscosity and both starches showed high viscosities when cooling.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had the blue value of 0.41 and 0.47, the alkali number of 8.4 and 8.0, the amylose content of 30.5 and 32.1%, the molecular weight of amylose of 30,000 adn 29,258 and glucose unit per segment of amylopectin of 27.6 and 26.8 respectively. The shape of cowpea and mung bean strach granules were round and elliptical, and the mean vlalue of major axis, minor axis and the ratio of these were 20.7 and 21.8 ${\mu}{\textrm}{m}$, 14.6 and 14.4 ${\mu}{\textrm}{m}$ and 1.42 and 1.51, respectively. The extent of retrogradation determined by the glucoamylase digestion method and syneresis showed that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syneresis showed than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gel. The redults of X-ray diffraction studies showed A pattern for two starches, Diffraction peak of gels disappeared with gelatinization of starches but that of two starch gels storaged for 2 days at 5$^{\circ}C$ showed a similar patterm.

  • PDF

호화전분의 쌍축형 압출성형에서 전분액화 및 체류시간 분포 (Starch Liquefaction and Residence Time Distribution in Twin-Screw Extrusion of ${\alpha}$-Starch)

  • 김성욱;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69-373
    • /
    • 2009
  • 전분액화에 호화찰옥수수전분가 쌍축형 압출성형의 원료로 직접 사용되었다. 그 액화 효과와 체류시간분포를 분석하였다. 내열성 ${\alpha}$-amylase(Bacillus licheniformis로부터 분리)를 함께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전분액화는 환원당측정,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배럴온도와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고, 호화전분의 경우 생전분보다 더 많은 환원당이 생성되었다. GPC에서 호화전분의 사용에 의한 저분자화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효소 첨가없이 압출성형하는 경우에는 일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의 미세구조에서는 호화전분을 쓸 경우 그 표면이 더 불규칙하고 침식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호화전분의 사용이 전분액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류시간분포에서는 호화전분을 원료로 할 경우 그 분산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화전분은 압출성형의 흐름이 원만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였으나, 배럴온도와 수분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그 분산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화에 따른 옥수수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tarch Oxidized with Sodium Hypochlorite)

  • 한진숙;안승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9-195
    • /
    • 2002
  • 전분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기능 특성을 개선하여 식품에서의 이용성을 확대하고자, 0.25, 0.5, 0.75, 1.0과 1.5% active Cl/g starch를 포함하는 NaOCl 용액으로 pH 7.0, $25^{\circ}C$에서 10분간 처리하여 산화 전분을 제조한 후 산화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산화전분은 입자의 형태와 크기에 차이가 없었고, 뚜렷한 복굴절 현상을 보였다. 무처리 전분과 산화전분의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가용성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산화됨에 따라 X-선 회절도의 피크 강도와 위치가 변하여 상대적 결정화도가 감소하였고, 용해도와 팽윤력이 증가하였다. 아밀로그램에서 산화전분은 호화 개시 온도가 무처리 전분과 차이가 없었으나 산화제의 처리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최고 점도와 setback이 감소하였다.

음이온성 PAM과 양이온성 전분으로 도포된 경질탄산칼슘에 의한 종이 강도 향상 (Paper Strength Improvement by Anionic PAM and Cationic Starch Adsorbed PCC)

  • 최도침;최은연;원종명;조병욱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1호
    • /
    • pp.59-66
    • /
    • 2013
  • Fillers have been used for printing paper to improve printability, sheet formation and optical properties and to reduce production costs by replacing expensive wood pulps. However, an increased filler content will decrease paper strength because filler particles interfere with fiber-fiber bonding. In order to increase filler content without sacrificing too much paper strength in high filler content papers, the surface of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PCC) has been modified by adsorbing anionic polyacrylamide and cationic starch in series. The adsorbed polymer layers would enhance interactions between the filler surface and the fiber surface, improving internal bonding. It was found that the modified PCC increased paper strength at a given filler content compared to the coventional method. Negligible differences in optical properties and formation of paper, filler and fines retention and drainage on the wire section were observed between the modified and the conventional PCC. However, the decreased bulk of paper was observed when the modified PCC was used.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옥테닐호박산 쌀전분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ctenyl Succinated Rice Starches Based on Amylose Content)

  • 정명훈;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77-582
    • /
    • 2012
  • 쌀 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차이에 따른 옥테닐호박산(OSAn) 변성전분의 제조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Jinsumi가 15.42%, Milyang 261은 34.21%였으며 전분 추출 후의 Jinsumi가 20.31%, Milyang 261은 39.32%였다. 치환도 및 반응효율은 Milyang 261이 각각 0.0137, 89.89%였으며 Jinsumi는 0.0144, 95.92%로 Jinsumi가 Milyang 261보다 높았다. 점도는 Jinsumi와 Milyang 261이 각각 30.1 cP 및 7.8 cP이었으며 옥테닐호박산을 이용한 변성전분의 경우 240.5 cP 및 162.6cP으로 상승하였다. 변성전분의 유화안정성은 두 품종 모두 대체적으로 안정하였으며 특히 Jinsumi는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으며, 변성전분을 부형제로 이용하여 미세캡슐화한 후의 코팅효율은 Jinsumi가 65.70-73.54%, Milyang 261이 29.45-36.98%로 나타나 분무건조를 통한 미세캡슐 효율은 Jinsumi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분무건조를 통한 미세캡슐화의 피복물질 소재로서 변성을 통한 쌀 전분이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Jinsumi가 Milyang 261에 비하여 높은 활용도를 가질 것이라 판단된다.

두류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4-339
    • /
    • 1993
  • 전분입자의 크기는 동부와 녹두가 좀 작았으며, 강남콩과 팥은 약간 더 컸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녹두와 강남콩이 시료 중 약간 더 많았으나 모두 $25{\sim}29%$의 범주였다. 강남콩전분의 팽윤력은 전 온도범위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아주 낮았다. Brabender Visco/amylo/Graph 결과는 동부, 녹두, 팥은 호화 점도도 크고, 노화시점도의 증가도 크지만, 강남콩은 점도의 증가가 아주 낮았다. 아밀로그램에서 점도의 변화양상은 아밀로오스 함량과는 관계가 없고, 아밀로오스의 크기나 전분립의 형태, 결정화 정도 등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DSC에 의해 조사한 호화 양상에서 강남콩이 호화 개시온도가 다른 시료보다 더 높았으며 동부와 녹두는 대체로 낮은 편이었으나 이들의 호화엔탈피는 거의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부와 녹두전분의 특성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강남콩은 이들과 많은 차이를 보였고, 팥은 중간적 특성을 나타냈다.

  • PDF

Glucoamylase 및$\alpha$-Amylase의 분쇄마찰매체 효소반응계에서의 생전분 효소분해 Mechanism (Mechanism of Enzymatic Hydrolysis of Raw Corn Starch by Purified Glucoamylase of $\alpha$-Amylase in an Agitated Bead Reaction System)

  • 박동찬;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0-267
    • /
    • 1990
  • 분쇄마찰매체 함유 효소반응계에서 순수분리된 glucoamylase 또는 $\alpha$-amylase에 의한 옥수수 생전분의 효소당화 mechanism을 규명코자, 생성된 당조성, SEM을 이용한 전분입자의 구조, 효소흡착량 그리고 amylose 함량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성당 조성은 분쇄마찰매체 효소반응계에서도 큰 변화없이 glucoamylase의 경우 반응초기부터 glucose가 주로 생성되었고, $\alpha$-amylase의 경우에는 maltopentaose (G5)를 포함한 oligosaccharide(G2-G8)가 주고 생성되었고 약간의 glucose가 포함되었으며, 당조성은 경시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았다. SEM으로 전분입자의 구조를 관찰한 결과, 효소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분쇄마찰매체의 기계적 충격은 전분입자의 구조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고 다만 전분입자를 균열시켰다.

  • PDF

가열방법에 따른 효소저항전분 생성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the Resistant Starch Formation)

  • 이신경;문세훈;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20-224
    • /
    • 1997
  •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옥수수 전분에 전분과 물의 비율을 1:3.5와 1:9로 조절하고 $100^{\circ}C$$121^{\circ}C$에서 가열-냉각 처리를 4회까지 반복한 후, 효소-중량법과 ${\alpha}-$아밀라아제(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효소법으로 효소저항전분을 분리하여 수분함량과 가열-냉각 방법에 따른 효소저항전분의 수율을 비교하였다. 같은 처리를 한 경우에는 효소-중량법이 ${\alpha}-$아밀라아제를 사용한 효소법보다 효소저항전분의 분리능이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분리 방법에 상관없이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고, 가열-냉각 처리 횟수를 증가시키면 효소저항전분의 수율도 증가하였으며, 가열온도는 $100^{\circ}C$보다 $121^{\circ}C$에서, 수분함량은 전분과 물의 비을이 1:9보다 1:3.5의 조건에서 높은 수율을 보였다.

  • PDF

감자의 썩힘 중 녹말의 성질 변화 (Changes of Starch Properties during Steeping of Potato)

  • 김경애;이성우;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1-696
    • /
    • 1989
  • 감자를 물에 침지시켜 썩히고 전분을 분리 이용하는 것은 우리나라 특유의 식문화이다. 본 실험에서는 감자를 $30^{\circ}C$의 물에 7일간 침지시키면서 전분의 성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침지 중 큰 입자$(61-70\;{\mu}m)$는 침지 1일에 크게 감소하였고 침지 2일 이후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전분입자는 침지 2일부터 구멍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침지 중 수침액의 pH는 감소하였고, 총 당과 환원당은 증가하였다. 전분입자의 밀도, 아밀로오스 함량, 인 함량 및 지방질 함량은 감소하였다. 전분의 상대결정도는 증가하여 침지 4일에서 가장 높았고 다시 감소하였다. 호화엔탈피의 변화도 비슷한 결과이었다. 침지전분은 산 또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정도가 낮았고, 팽윤력, 아밀로그라프의 점도 등도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