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ir method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5초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tellofemoral disability index as a measure of function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ain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Alshaharani, Mastour Saeed;Lohman, Everett Bernell;Bahjri, Khaled;Harp, Travis;Alameri, Mansoor;Daher, Noha S.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7권2호
    • /
    • pp.61-66
    • /
    • 2018
  • Objective: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is a condition that is characterized by patellar discomfort or pain that is aggravated during certain activities such as ascending/descending stairs. The Patellofemoral Disability Index (PDI) was developed to assess the effect of pain on functional activities in individuals with PFPS.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deter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index.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Forty-one subjects who had PFPS with a mean age of $28.8{\pm}5.0years$ and a mean body mass index of $25.6{\pm}4.7kg/m^2$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concurrently enrolled in a clinical trial for which they were instructed to complete hamstring-resistance exercises for 4 weeks. Over the course of the intervention, they completed both the PDI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t baseline after two weeks, and after four week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ssess the criterion validity. Cronbach's ${\alpha}$ was used to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95% confidence interval were computed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Subjects' responses within both the PDI and the ODI yield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that were positive and highly significant (range, 0.73-0.97; p<0.001). There was a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geq}0.8$), with the exception of stair climbing (Cronbach's ${\alpha}=0.65$). Intraclass correlation ranged from 0.87 to 0.92, indicating high levels of test-retest reliability. Conclusions: The PDI is a valid, reliable, and feasible method of assessing pain and functional ability in patients with PFPS.

The Effect of adding Hip Abductor Strengthening to Conventional Rehabilitation on Muscular Strength and Physical Function following Total Knee Replacement

  • Kim, San-Han;Park, Hye-Kang;Lee, Wan-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6-2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ng hip abductor strengthening to conventional rehabilitation on muscle strength and physical function following total knee replacement (TKR) for knee osteoarthriti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fiv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ercise groups I (n=18) and II (n=17). Group I underwent hip abductor training an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for 30 min per day, 5 days per week for 4 weeks. Group II underwent conventional rehabilitation for 30 min per day, 5 days per week for 4 weeks. The participants in both groups also received continuous passive motion therapy for 15 min per day, 5 days per week for 4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the Biodex dynam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peak torque of both knee extensors and hip abductors. This study used the Knee Outcome Survey-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OS-ADLS) to assess physical function, as well as the figure-of-8 walk test (F8W) and the stair climb test (SCT). Result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s, exercise groups I and II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muscle strength and KOS-ADLS, F8W, and SCT scores (p<0.001). Compared with that of exercise group II, exercise group I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hip abductor strength (p<0.001) and KOS-ADLS, F8W, and SCT scores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ombination of hip abductor strengthening an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is an effective exercise method to increase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and physical function after TKR.

Prediction of non-exercise activity thermogenesis (NEAT)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 healthy Korean adults: a preliminary study

  • Jung, Won-Sang;Park, Hun-Young;Kim, Sung-Woo;Kim, Jisu;Hwang, Hyejung;Lim, Kiwon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29
    • /
    • 2021
  • [Purpose] This preliminary study aimed to develop a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non-exercise activity thermogenesis (NEAT) of Korean adults using various easy-to-measure dependent variables. [Methods] NEAT was measured in 71 healthy adults (male n = 29; female n = 42).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velop a NEAT estimation regression model using the stepwise regression method. [Results] We confirmed that ageA, weightB, heart rate (HR)_averageC, weight × HR_averageD, weight × HR_sum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 HR_restF, fat mass ÷ height2G, gender × HR_averageH, and gender × weight × HR_sumI were important variables in various NEAT activity regression mode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NEAT values obtained using a metabolic gas analyzer and the predicted NEAT. [Conclusion] This preliminary study developed a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NEAT in healthy Korean adults. The regression model was as follows: sitting = 1.431 - 0.013 × (A) + 0.00014 × (D) - 0.00005 × (F) + 0.006 × (H); leg jiggling = 1.102 - 0.011 × (A) + 0.013 × (B) + 0.005 × (H); standing = 1.713 - 0.013 × (A) + 0.0000017 × (I); 4.5 km/h walking = 0.864 + 0.035 × (B) + 0.0000041 × (E); 6.0 km/h walking = 4.029 - 0.024 × (C) + 0.00071 × (D); climbing up 1 stair = 1.308 - 0.016 × (A) + 0.00035 × (D) - 0.000085 × (F) - 0.098 × (G); and climbing up 2 stairs = 1.442 - 0.023 × (A) - 0.000093 × (F) - 0.121 × (G) + 0.0000624 × (E).

Multi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MDCT) Coronary Agniography에서 Arrhythmia Correction이 영상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Arrhythmia Correction for the Image Quality in the Multi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MDCT) Coronary Angiography)

  • 김현수;김긍식;김태훈;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7권2호
    • /
    • pp.7-12
    • /
    • 2004
  • MDCT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관상동맥 질환을 검사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영상의 질에 있어서 환자의 심장박동이 결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거나 조기 심실수축 환자일 경우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있어 왜곡 현상이 증가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최근 본원에서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환자에서 영상 재구성시 불규칙한 R-R 간격을 조정한 후 얻은 영상이 artifact가 감소하는 현상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정 방법(disable, inesrt, R-R interval 교정)이 영상의 질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심박동이 불규칙한 24명의 환자에서 교정방법에 따라 영상을 재구성한 결과 R-R Interval 조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5). 본 연구에서는 R-R Interval 조정에서 가장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향후 심장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그 가치가 충분하리라 사료된다.

  • PDF

Cut Cell 방법을 활용한 공정별 주조유동해석 적용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asting Flow Simulation with Cut Cell Method by the Casting process)

  • 최영심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302-309
    • /
    • 2023
  • 일반적으로 주조품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한 제품 내에서 두께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는 경우가 있어 시뮬레이션을 위한 격자를 생성할 때 어려움이 있다. 주조 유동은 이상유동으로 수치해석을 할 때 공기와 용탕의 경계면을 추적해야하며 밀도차에 의한 압력장 계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주조유동해석에는 직교격자가 주로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직교격자는 형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곡면에서 나타나는 계단형상 격자로 인해 모멘텀 손실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용탕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잘못된 주조 방안 설계를 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직교격자계에서 형상을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격자를 생성하여 해석을 한다. 또는 직교격자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수치적으로 보완하는 Cut Cell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교격자계에서 주조유동해석을 할 때 격자수에 따른 해석결과와 Cut Cell 방법을 적용한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주조공정별로 실제제품을 주조유동해석을 하고 공정별로 Cut Cell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5축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한 쾌속 임의형상제작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n Agile SFFS Based on 5DOF Manipulator)

  • 김승우;정용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1호
    • /
    • pp.1-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재료의 시트(Sheet)를 각각 절단하여 적층하는 방법으로 기존 적층조형법과는 다른 쾌속 임의형상제작 시스템인 CAFL/sup VM/(Computer Aided Fabrication of Lamination for Various Material)을 제안한다. 이러한 조형 방법은 가공 속도를 빠르게 하며 복잡한 후처리 과정을윽 대폭 줄일 수 있고,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2자유도의 X-Y테이블 형태의 CAFL/sup VM/은 레이저빔으로 시트(Sheet)를 절단, 적층하여 조형물을 완성하는 새로운 고속적층 시스템으로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하지만 2자유도 시스템은 X-Y 평면을 이동하는 작업공간에 수직으로 레이저 가공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조형된 사물의 표면에 계단 형상이 나타나는 표면정밀도상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2자유도에 3자유도를 추가한 5자유도 시스템을 제안하여 레이저의 경사절단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조형된 사물의 표면 정밀도를 높이고, 일정한 패턴의 모양을 갖는 조형물 가공의 경우 여러 시트(Sheet)가 적층되는 부분을 한번에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빠르고 정밀한 5자유도 매니퓰레이터 CAFL/sup VM/ 시스템을 설계한다. 즉, 정속경로제어와 경사각절단제어를 구현하고 그 외에 수반된 자동화 CAFL/sup VM/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고령자를 위한 거주지 외부환경 평가 - 대전시 거주 준고령자 이상을 대상으로 - (An Evaluation of Outdoor Living Environments for Senior Citizens - Focused on the Prospective Seniors and Senior Citizens in Daejeon -)

  • 이시영;이희정;임병호;심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48
    • /
    • 2011
  • 한국은 빠르게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고령자들의 현 주거지의 외부환경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고령자 친화형 외부공간에 주요한 요소들을 파악하여 이들의 평가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환경요소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서 먼저 기존 선례와 관련연구의 조사를 통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증연구로서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준고령자 이상 주민의 외부환경 이용실태와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전반적으로 현 거주지의 외부환경이 큰 문제가 없이 중간 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평가요소들중 비교적 저평가된 요소들은 고령자 친화형 공간요소로 개선이 필요되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산책하기 위해서 '산책길의 이용'이 가장 높았고, 한번에 1~2시간동안 외부에 머무르며, 주차된 차량이 많음이 가장 불편한 사항이었다. 둘째, 외부환경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사회성'이 기장 낮게 평가되었다. 셋째, '카트/휠체어 이용편리성', '조명에 의한 야간 식별성',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 '나무 화초 쾌적성'의 4 개 항목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불만족하고 있었다. 66세 이상의 응답자들이 '바닥의 미끄러움', '계단난간',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 '단지배치의 방향성' 항목에서 더 불만족하고 있었으며, '바닥 미끄러움',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의 두 개 항목에서는 80대 이상의 응답자들이 더 불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현 거주지 유형에 따른 평가는 22개 중 20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바, 아파트 거주자의 평가가 더 높게 나왔다. 전반적으로 현거주지 주변환경에 있어 고령자들의 입장에서 크게 문제로 대두된 것은 없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향후 10년 내에 고령화가 더욱 진행된다고 가정할 때, 기술통계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과 80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 특히 불편을 야기하고 있는 낮은 평가항목에 대하여 주거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피난계단 출입구 유효너비가 수용인원의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ffective width of the Exit of the Evacuation Stairs on the Evacuation Time of the Occupants)

  • 양성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73-79
    • /
    • 2022
  • 연구목적: 건축법에 따라 설치되는 피난계단 출입구의 최소 유효 폭(90cm) 기준이 해당 층을 사용하는 전체 재실자의 피난 시간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피난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출입구 폭의 변화에 따라 재실자의 피난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피난 시뮬레이션(Pathfinder)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출입구의 유효 폭이 최소기준 90cm보다 커지면 커질수록 피난계단으로의 피난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더불어 출입구의 너비가 일정 크기 이상 되면 피난 시간은 더는 단축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는 해당 층 전체 재실자의 수에 따라 피난계단 출입구의 유효 너비를 적정하게 달리 적용할 수 있다는 방증(傍證)이기도 한 것이다. 결론: 앞으로는 재실자의 피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용도별 전체 수용인원을 고려한 피난 계단 출입구 유효 폭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연구 및 실험을 통해 용도별 수용인원에 따른 다양한 출입구 유효 폭 기준이 만들어진다면 재실자의 피난 효율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규모 고시원의 피난계단 폭의 변화에 따른 피난소요시간 분석 (Analysis of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Variation of Evacuation Stairs' Width in Large-Scale Goshiwons)

  • 오수철;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641-651
    • /
    • 2022
  • 이 연구는 숙박시설이 있는 특정소방대상물 수용인원의 산정 방법에 따라 피난가능시간을 기준으로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고시원 화재 발생 시 계단 폭의 변화에 따른 피난소요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현재 숙박시설로 분류하는 고시원(바닥면적 합계 500m2 이상)은 소방시설법, 건축법, 주차장법이 정하는 맹점을 이용, 적은 면적의 대지 위에 고층으로 건축물을 신축하여, 적지 않은 양의 호실을 만들어 대다수의 고시원이 학생과 고시생을 위한 곳이 아닌 변형된 숙박시설의 형태로 변질되어가고 있다. 이는 건축주의 영업이익에 부합하므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고시원 피난 시간의 골든타임 확보는 우리 사회의 경제적 약자에 속하는 고시원 재실자의 최후의 보루로 본 연구가 사회적 안전망 구축을 위한 관계법령의 개정 논의에 시발점이 되길 바라며, 피난시뮬레이션 분석의 결과 피난훈련이 실행된 집단과 피난계단의 폭을 200cm로 확장한 경우에 피난소요시간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기존 건물의 계단 폭의 변화 없이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한 피난소요시간이 648.4초와 시나리오 6을 비교하면 최대166.3초가 단축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하여 고시원의 피난안전성 개선을 위해 피난계단의 폭을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안전시설 등 종류에 추가하여 관련 법령의 개정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