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ggered truss syste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3초

트러스 형태에 따른 스태거드트러스 골조시스템의 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Staggered Truss System by the Shape of Truss)

  • 나창순;홍윤수;유은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199-20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약진 지역에서 적용되는 스태거드트러스 골조시스템의 수평하중에 대한 구조특성을 분석하였다. 스태거드트러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랫, 하우, 와렌, K형, 비렌딜의 대표적인 트러스 형태를 기준으로 10층과 20층의 예제 건물에 대한 해석과 설계를 수행하여 트러스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설계에서 기둥 및 트러스 부재는 같은 부재를 몇 개 층씩 그루핑하여 사용하였으며 부재의 효율성은 그루핑된 부재의 평균 내력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으며 시스템의 경제성은 전체 골조물량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효율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10층의 예제에서는 프랫트러스를 사용한 시스템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층의 예제에서는 와렌트러스를 사용한 방식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러스 형태에 따른 스태거드트러스 골조시스템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taggered Truss System by the Shape of Truss)

  • 홍윤수;유은종;나창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397-4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트러스의 형태를 바꿔가며 엇갈린 트러스(STF) 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제 구조물은 10층의 철골조 사무실 건물이며, 시스템별로 각각 프랫트러스, 하우트러스, 와렌트러스, 케이트러스와 비렌딜트러스를 적용하였다. 중력하중, 풍하중, 지진하중을 고려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부재에 높은 DCR을 만족하는 단면을 산정한 후 고유주기, 밑면전단력과 층간변위를 산출하였다. 그 후, 역량스펙트럼법을 통해 1.2배의 설계지진(DE)과 최대고려지진(MCE)에 대한 성능점을 산정하고, STF 시스템의 항복여부 및 소성힌지의 분포를 파악하여 구조기준에서 제시한 목표성능수준을 만족하는지 살펴보았다. 평가 결과, 모든 시스템이 해당 목표성능수준을 만족하였으며, 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따져보았을 때, PR10이나 VR10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좌굴 가새를 이용한 스태거드 트러스 시스템의 내진성능향상 (Seismic Improvement of Staggered Truss Systems using Buckling Restrained Braces)

  • 김진구;이준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1-1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4층, 10층, 30층 스태거드 트러스 시스템 (STS)의 비탄성 정적해석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와 비탄성거동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STS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동일한 규모의 모멘트골조 및 가새골조의 거동과 비교함으로써 STS의 횡력 저항 능력을 파악하였다. 해석결과에 따르면, STS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구조시스템에 비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내진성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층 이상의 STS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비렌딜 패널 상.하현재에 소성변형이 발생한 후 인접한 수직 가새가 항복함으로써, 다른 층으로 소성변형이 전이되지 못하여 약층의 형성에 의한 취성적인 거동을 보인다. 그러므로 스태거드 트러스 시스템의 연성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비렌딜 패널의 수직 가새를 보강하여 비렌딜 패널 상하현재에 발생한 소성변형을 다른 층의 비렌틸 패널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