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bility period

검색결과 1,554건 처리시간 0.027초

근기능요법을 통한 모야모야병 환자의 개방 교합 치료 (TREATMENT OF OPENBITE WITH MYOFUNCTIONAL THERAPY IN MOYAMOYA DISEASE PATIENT)

  • 이창근;김재곤;이대우;양연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2
    • /
    • 2017
  • 비골격성 전방부 개방 교합은 대부분 구강 주위 근육 기능의 부조화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근기능요법을 통한 치료가 추천된다. 그러나 근기능요법의 시행 시에는 환자의 협조도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협조도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습관 차단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습관 차단 장치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근기능요법을 병행할 수 있다면 장치 치료의 기간이 단축되고 치료 후의 안정성에도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와 미래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형태 변화 (Current and Future Changes in the Type of Wintertime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최광용;권원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최근 한반도 겨울철 강수현상에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을 밝히고, 21세기 후반 기후모델(GFDL 2.1)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겨울강수 변화추세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61개 지점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에 따르면, 지난 35년 동안$(1973/74\sim2006/07)$ 우리나라 겨울철($11\sim4$월) 총 강수량은 변화가 없었지만, 강설량은 약 4.3cm/10년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이후 강설일수가 감소하고, 강설강도가 약해지고, 강설계절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설수일율(전체 강수일 수에서 강설일이 차지하는 비율)도 낮아졌다. 이러한 패턴은 겨울철 강수형태가 점차 강설에서 강우의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 형태의 변화는 겨울철 양(+)의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에 의해 한반도 주변의 겨울철 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나타난 기온상승과 관련되어 있다. 1980년대 후반 이후의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압 상승은 한반도 주변의 대기와 해양 온도를 차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대기안정도 증가에 의한 눈구름 형성 감소와 관련된 대기-해양간 온도경도를 감소시켰다. 모델생산 미래$(2081\sim2100)$ 기후자료와 20세기 후반$(1981\sim2000)$ 기후자료 비교 분석 결과, 21세기 말에는 대기 중 온실기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온난화가 강화되어 겨울철 강설기간이 더 짧아지고 강설불가능일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Alveolar ridge preservation with an open-healing approach using single-layer or double-layer coverage with collagen membranes

  • Choi, Ho-Keun;Cho, Hag-Yeon;Lee, Sung-Jo;Cho, In-Woo;Shin, Hyun-Seung;Koo, Ki-Tae;Lim, Hyun-Chang;Park, Jung-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6호
    • /
    • pp.372-38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pilot study was to compare alveolar ridge preservation (ARP) procedures with open-healing approach using a single-layer and a double-layer coverage with collagen membranes using radiographic and clinical analyses. Methods: Eleven molars from 9 healthy patients requiring extraction of the maxillary or mandibular posterior teeth were included and allocated into 2 groups. After tooth extraction,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mixed with 10% collagen was grafted into the socket and covered either with a double-layer of resorbable non-cross-linked collagen membranes (DL group, n=6) or with a single-layer (SL group, n=5). Primary closure was not obtain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taken immediately after the ARP procedure and after a healing period of 4 months before implant placement.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made of the width and height changes of the alveolar ridge. Results: All sites heal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nd dental implants were placed at all operated sites with acceptable initial stability. The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reductions in width at the level 1 mm apical from the alveolar crest (including the bone graft) were $-1.7{\pm}0.5mm$ in the SL group and $-1.8{\pm}0.4mm$ in the DL group, and the horizontal changes in the other areas were also similar in the DL and SL groups. The reductions in height were also comparable between group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ingle-layer and double-layer coverage with collagen membranes after ARP failed to show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preservation of horizontal or vertical dimensions or in clinical healing. Thus, both approaches seem to be suitable for open-healing ridge preservation procedures.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금관 및 국소의치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using Monolithic surveyed restoration and electronic surveying in RPD metal framework fabrication: A case report)

  • 최영하;김형섭;권긍록;배아란;노관태;백장현;홍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43-249
    • /
    • 2018
  • 과도한 치아 마모를 가진 환자들을 치료를 시작할 때 수직교합고경의 상실과 수복을 위한 공간의 적절성으로 분류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80세의 여성으로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어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나고 잔존 치아의 마모 증가가 동반되어 보철을 위한 약간의 악간 공간의 상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부여하고 안정화기간을 거쳐 안정된 교합접촉을 제공한다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과 상악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하였고 이러한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해양점토와 현장토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Liquid Filler Using Marine Clay and In-situ Soil)

  • 오세욱;방성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9호
    • /
    • pp.25-32
    • /
    • 2020
  • 지반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하매설물은 중요한 토목구조물로서 상·하수도관, 지중전력선, 각종 통신선로, 도시가스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지중매설물들은 시공 시 집중강우, 차량하중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뒤채움재의 선정과 시공이 중요하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공법으로는 지하매설물 주변을 흙으로 메우고 다짐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매설관 하부의 다짐이 어렵고 다짐효율이 떨어져서 지하매설물의 안정성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해 각종 파손이 발생한다. 또한 개착 시 원지반 교란에 따라 지반의 강도가 저하되고 시공 과정이 복잡하며 공기가 길어져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유동성 채움재를 활용하는 것이다. 유동성 채움재는 자기 수평능력, 자기다짐, 유동성, 인위적인 강도조절, 유지보수를 위한 재굴착이 가능한 저강도 발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매설물을 설치한 후 되메움을 하는 재료로서 해양점토와 고화재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과 유동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동결에 의한 강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였고 채움재가 지중배관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시험과 pH시험을 수행하였다.

Suitability of Sainfoin (Onobrychis viciifolia) Hay as a Supplement to Fresh Grass in Dairy Cows

  • Scharenberg, A.;Kreuzer, M.;Dohme, Frigg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7호
    • /
    • pp.1005-1015
    • /
    • 2009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utility of sainfoin hay, a temperate tanniferous forage legume, as a dietary supplement for grass-fed cows. The condensed tannins (CT) of sainfoin might counteract the typical metabolic ammonia load of cows in intensive grazing systems. Furthermore, the physical fibrousness of sainfoin might improve ruminal pH stability.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eating rate of non-lactating Holstein cows of two tanniferous hays, sainfoin and birdsfoot trefoil, was compared to that of a grass-clover hay after specific periods of time (n = 4). The eating rate of sainfoin was superior to that of the other forages. In the main experiment, designed as a re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six ruminally-cannulated, lactating Red Holstein cows received grass, concentrate and either no supplementation, 3 kg/d of grass hay or 3 kg/d of sainfoin hay (n = 6). Measured intakes of the grass hay and the sainfoin hay were 2.0 and 1.5 kg DM, and two cows entirely refused to eat the sainfoin hay and had to be excluded from data analysis. Grass DMI was similar for cows supplemented with sainfoin hay and cows fed only grass whereas intake of concentrate was higher (p<0.01) for the latter treatment. Continuous measurement of ruminal pH showed that the minimum pH at night tended to be lower (p<0.10) with grass-only feeding compared to sainfoin supplementation, but pH did not decline below the threshold of subacute acidosi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lightly higher intake of nitrogen (N) for cows supplemented with sainfoin hay (413 g/d) compared to cows fed only grass (399 g/d)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d (p<0.05) fecal N excretion and a tendency for an increased (p<0.10) urinary N excretion.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 as well as plasma and milk urea, were not affected by sainfoin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the lack of positive effects typical for CT might be explained either by the limited CT content of this plant species (55 g/kg DM) or the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sainfoin in the total diet or both. Moreover, due to the unexpected low grass quality, the general ammonia load might have been too low for CT to have an impact.

보존적으로 치료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 (Natural History of Conservatively Tre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안진환;서희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2007
  • 목적: 동반 손상이 없는 급성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있어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 후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진단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21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초기 진찰과 추시 관찰시 이학적 검사, KT-2000TM 관절검사(arthrometer) 및 후방십자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를 관찰하기 위한 MRI 촬영을 시행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knee score와 대퇴 사두근 근력 정도, 수상 전 운동 능력으로의 복귀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초기 진찰시와 추시 관찰시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보존적 치료를 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평균 추시 기간은 22.7개월이었다. 결과: 초기 진찰시 이학적 검사에서 관찰된 후방 불안정성은 Grade I이 14례, Grade II가 6례, Grade III가 1례였으며, 추시는 Grade I이 18예, Grade II가 3예였다. KT-2000TM 관절검사는 초기 진찰시 건측과 평균 5.7 mm($3{\sim}12\;mm$)의 차이에서 추시에서는 평균 2.7 mm($0{\sim}7\;mm$)의 차이를 보였고, MRI 촬영을 통한 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는 48.1%에서 69.7%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대퇴 사두근 근력은 평균Good등급이었고, 평균 IKDC knee score는 A등급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급성기 초기에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저장조건(貯藏條件)이 들깨유(油) 및 참깨유(油)의 산패도(酸敗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Rancidity of Perilla and Sesame Seed Oils)

  • 김혜경;이양자;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1호
    • /
    • pp.51-58
    • /
    • 1979
  • It is a general trend everywhere that the uses of vegetable oils are increasing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effective in curing and preventing symptoms of high blood pressure and various heart failure conditions.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that oxidative rancidity is caused by the oxid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moieties whose subsequent decomposition gives rise to various undesirable, sometimes toxic compounds is now well accepted. Linolenic acid (C, 18:3) is one of highly unsaturated and readily oxidizable fatty acid. The content of this essential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 perilla seed oil (PSO) was found to be as high as 48% while only 1.5% in sesame seed oil (SSO). In this experiment the oxidative stability of PSO was compared with that of SSO. The experimental test group were as follows: A)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namely $4^{\circ}C,\;30^{\circ}C,$ and $60^{\circ}C,$ B)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pm}5^{\circ}C)$ ; a. protected from sunlight and air, b. exposed to air without sunlight c. exposed to sunlight but protected front air, d. completely exposed to both air and sunligh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t was found to be most stable against oxidation to store both PSO and SSO under the low temperature $(4^{\circ}C)$ condition. According to P.V. measurements it was found to be safe to keep both oils up to $30^{\circ}C$ for at least 8 weeks. When exposed to air, sunlight and high temperature $(60^{\circ}C)$, P.V. of PSO reached there peak values,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SSO. This explains much of its instability as compared to SSO against oxidation. 2)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60^{\circ}C)$ on A.V. was found to be more striking than those of all the other storage conditions. The condition of refrigeration was most effective in keeping A.V. low for both oils as was the case in P.V. 3) For both oils, I.V. decreas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8 weeks). The range of decrement was larger for PSO than SSO. 4)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s of SSO caused by various experimental storage conditions. But for PSO the compositions of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 were decreased, whereas linolenic acid was increased proportionally.

  • PDF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fermented soybean meal, and Saccharina japonica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Yun, Ahyeong;Kim, June;Jeong, Hae Seung;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26.1-26.8
    • /
    • 2018
  •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SBM) and fermented SBM (FSM)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was compared in abalone farm. Dietary inclusion effect of the combined macroalgae (MA) (Undaria pinnatifida and Hizikia fusiforme) and a single Saccharina japonica on abalone was also compared. Three thousand six hundred juvenile abalone were purchased from a private hatchery and acclimat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2 weeks. Six 5-ton flow-through raceway tanks were used, and abalon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anks (n = 600 per tank).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n duplicate. Fish meal, FSM, corn gluten meal, and shrimp meal and wheat flour and dextrin were used as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sources, respectively, in the FSM diet. MA was also included in the FSM diet. FSM and MA in the FSM diet were substituted with SBM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and S. japonica, referred to as the SBM and SJ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elletized by an extruded pelleter. Water stability of nutrients in the experimental diets was monitored at 12,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to satiation with a little leftover for 120 days. The retained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truded pellets were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SBM diet were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and SJ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J diet were also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diet. The longest shell length, widest shell width, highest shell height, and greatest soft body weight were obtained in abalone fed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SJ and FSM diets.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In conclusion, SBM was a superior protein source to FSM in extruded pellet for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Dietary inclusion of a single S. japonica was superior to the combined inclusion of U. pinnatifida and H. fusiforme in the production of abalone.

상완골 소두 골절의 치료결과 (Treatment Results of Capitellum Fractures)

  • 박진수;정영기;유정한;노규철;정국진;정성욱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6-121
    • /
    • 2005
  • 목적: 상완골 소두 골절은 매우 희귀한 골절의 형태인데 관절면의 침범으로 인해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요한다. 이러한 상완골 소두 골절의 관혈적 정복 후 내고정 후의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4년 까지 상완골 소두 골절로 수술 시행받은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Morrey의 분류법 상 제 1형이 3례, 제 3형이 1례였다. 전 례에서 주관절의 외측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관혈적 정복후 유관 나사못 고정을 실시하였다. 수술후 주관절의 부목등의 고정은 4일에서 28일 까지 소요되었다. 최종 추시 판정 시 Mayor의 주관절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주관절 운동 범위, 주관절의 안정성, 동통 유무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기간은 12개월에서 36개월이었으며 평균 15개월(12개월-36개월) 이었다. 3례의 경우 견고한 골고정을 얻었으며 우수한 관절 운동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만성 소두골 골절 및 부정유합으로 내원하였던 1 례의 경우 추시 관찰동안 재활에 순응하지 않아서 40도-100도의 운동범위만을 보여주었다. 전 례에서 무혈성 괴사나 주관절 관절염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소두 골절은 희귀하지만 적극적으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시 우수한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