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quid viscera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The Storage Property of Squid Viscera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 Lee, Min-Kyung;Yoo, Hong-Suk;Pack, Hyun-Duk;Chun, Byung-So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59
    • /
    • 2007
  • The oil and concentrated protein powder from squid viscera was extracted and recovered by a semi-batc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O_2$) extraction system and the degree of oxidation in the extracted oil was measured in order to compare with extracted oils using organic solvents. The degree of storage in treated squid viscera by $SCO_2$ extrac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compare with untreated squid viscera. As results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 auto-oxidation of the oils using $SCO_2$ extraction occurred very slowly compared to the oils by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the treated squid viscera by $SCO_2$ extraction was reached the point of initial rottenness slowly than untreated squid viscera.

  • PDF

Accelerating Effect of Squid Viscera on the Fermentation of Alaska pollack Scrap Sauce

  • Kim, Sang-M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3-106
    • /
    • 1999
  • Fish sauce is a liquid form of salt-fermented fish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dietary life. Fish sauce was manufactured by utilizing Alaska pollack scrap from Himedara(seasoned and dried Alaska pollack tail) processing . In addition, the effects of squid viscera as a fermentation enhancer were also evaluate.Ph of Alaska plllack scrap sauce with squid viscera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over the entire fermentation process. Squid viscera acceleraged the production of amino-nitrogen, VBN , TBA and free amino acids, and the degradation of IMP and Inosine. The addition of squid viscera and koji at 5% concentration, respectively , also accelerated the digestion of Alaska pollack scrap and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squid viscera at 10% concentration.

  • PDF

Fatty Acids and Protein Recovery of Squid Viscera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Park, Ji-Yeon;Back, Sung-Sin;Chun, Byung-So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06-212
    • /
    • 2006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O_2$) extraction was investigated as a method for protein-sourcing material from squid viscera.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s, the extraction of squid viscera using $SCO_2$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temperature range from 35 to $45^{\circ}C$ and constant pressure 25 MPa using Hewlett-Packard 7680T. Also from result of SDS-PAGE, the protein denaturation was minimized when using $SCO_2$ extraction. And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squid viscera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glycine, isoleucine, and valine. The main fatty acids from squid viscera were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heneicosanoic acid, palmitoleic acid, elaidic acid, oleic acid, eicosenoic acid,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 PDF

Stabilit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Essential Amino Acids in Squid Viscera Hydrolysate Produced using Subcritical Water

  • Kim, Ryoung-Hee;Asaduzzaman, A.K.M.;You, Chi-Hong;Chun, Byu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71-78
    • /
    • 2013
  •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was carried out in a batch reactor to produce valuable materials, such as low-molecular weight (MW) peptides and essential amino acid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from heat-dried squid viscera. Hydrolysis of squid viscera was performed at 160 to $280^{\circ}C$ for 3 min. The yield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while the protein content of squid viscera hydrolys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Low-MW peptides were detected in all hydrolysates by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highest yields of free and structural amino acids in heat-dried squid viscera hydrolysate were at $160^{\circ}C$ and were $411.95{\pm}1.15$ and $346.62{\pm}1.25$ mg/100 g, respectively. All essential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viscera hydrolysates; leucine was the most abundant. Antioxidant activities of hydrolysates were highest at $220^{\circ}C$. Greater than $98{\pm}0.26%$ of the ABTS antioxidant activity was retained in hydrolysates after long-term heat treatment.

Koji를 첨가하여 발효한 오징어 내장 조미료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Squid Viscera Product with Aspergillus oryzae Koji and Its Seasoning)

  • 최승화;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4-101
    • /
    • 2011
  • 본 연구는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내장에 koji를 첨가하여 속성 발효한 천연조미료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휘발성 염기질소량과 trimethylamine은 대조군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서서히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pH의 변화량이 적었다. 반면, 산도는 pH 감소와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아미노질소는 식염 5% 첨가군이 가장 짧은 기간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식염 10, 15% 첨가군은 식염 5% 첨가군과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발효기간이 길어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식염 5% 첨가군이 조미료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식염 5%의 농도에 14일 간 발효시킨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이 가장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alanine과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항산화와 항대장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positive control에 비하여 활성이 떨어졌다. 관능검사 결과는 시판 천연조미료와 비교하여 관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은 천연조미료 등 식품첨가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내장으로부터 Endoprotease의 분획 (Fractionation of Endoprotease from Viscera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 김혜숙;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6-181
    • /
    • 2008
  • To evaluate the effective use of endoprotease from squid viscera as a food processing aid, various methods of fractionating endoprotease from viscera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were evaluated. The endoprotease-positive fractions of each fractionation were fraction II (30-40%, w/w) with cold acetone, fraction IV (50-60% saturation) with ammonium sulfate, fraction UF with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fraction II (15-24 kDa) with gel filtration. The specific activities (approximately 25 U/mg) of the fractions using ammonium sulfate and gel filtration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otal azocaseinolytic activity and recovery of the positive fraction using gel filtration were 806.95U and 37.82%, respectively, and were the highest among the positive f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gel filtration was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fractionating endoprotease from the viscera of Illex argentinus.

오징어 내장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잔류물로부터 인지질의 분리 (Phospholipids Isolation from Squid Viscera Residues After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 유병욱;전병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741-746
    • /
    • 2010
  • 오징어내장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잔류물에 에탄올을 이용하거나 초임계 처리를 하지 않은 오징어내장에서 다양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인지질을 추출하였다. 초임계이산화탄소 추출은 동결 건조된 오징어 내장 시료를 이용 $45^{\circ}C$ 20 MPa 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무극성 지질의 추출에 사용되었다. 동결 건조된 오징어 내장은 클로로포름, 헥산, 메탄올, 에탄올을 이용해 인지질 추출을 시행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거친 내장 시료는 에탄올 처리하여 인지질을 추출하였다. 각 인지질 추출과정에서 pH는 5.7로 고정하여 시행하였다. 각각의 인지질의 조성을 검출하기 위하여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ELSD)를 이용하여 HPLC 분석을 행하였다. 포스파티딜 콜린(PC)과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I)은 초임계이산화탄소 잔류물을 에탄올 추출한 것에서 동결건조물을 에탄올만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보다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하지만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E)과 포스파티딕 에시드(PA)의 경우 동결 건조된 오징어내장을 에탄올만을 사용하여 추출한 인지질에서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 후 회수된 추잔 물질에 에탄올을 사용하여 인지질 혼합물을 분리 후 분리된 인지질 혼합물에 대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docosahexanoic acid(DHA)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어유의 효소적 에탄올화 반응 특성 (Fish Oil Variation during Enzymatic Ethanolysis)

  • 신상규;류홍석;박현덕;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11-316
    • /
    • 2006
  • Enzymatic ethanolysis of fish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fish oil. Ethanolysis reactions were carried out in erlenmeyer flask (25ml) containing a mixture of squid viscera oil and 99.9% ethanol using 1% (based on w/w squid viscera oil) immobilized lipase. The reaction mixtures were incubated at $50^{\circ}C$ and shaken at 100rpm. Ethanol was added into the mixture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9]. Measurement of free fatty acid molar amounts was studied by Acid Value.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transesterification was studied by TLC method. Enzymatic ethanolysis composed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ing free fatty acid contents. Also, selective ethanolysis by Lipozyme TL-IM and Lipozyme RM-IM mostly did not react at the sn-2 position of squid viscera oil. Lipozyme RM-IM was more suitable enzyme to reduce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by ethanolysis than Lipozyme TL-IM. Squid viscera oil was transformed into suitable properties (5 in Acid Value) for functional fish oil production.

  • PDF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in Fish Burger by Addition of Squid Viscera Oil)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8-322
    • /
    • 1997
  • 오징어 내장유를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젤라틴, 물 및 정제 오징어 내장유로 형성된 유화물의 첨가에 의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다. 과산화물값, 갈변도, 헌터색조, 젤리강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등어버거의 기능성 개선을 위한 유화물의 적절한 첨가량은 마쇄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로 판단되었다. 채육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에 해당하는 유화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등어버거는 휘발성 염기질소, 총균수 및 히스타민함량이 각각 19.0 mg/100g, $6.2{\times}10^4CFU/g$ 및 50.7 mg/100g으로 그 함량이 낮아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유화물 첨가 고등어버거의 포화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3이었다. 색조, 젤리강도, 지방산조성 및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유화물 첨가에 의해 고등어버거의 색조, 조직감 및 지질의 기능성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오징어 내장유의 정제 (Refining of Squid Viscera Oil)

  • 하진환;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294-300
    • /
    • 1997
  • 수산가공 부산물을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오징어 내장유의 정제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징어 내장유 100ml에 대하여 인산 3ml를 첨가하고 $60^{\circ}C$에서 30분간 교반하여 탈검한 다음 이것에 20% 수산화나트륨을 0.6% 과잉첨가한 후 탈산처리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탈산유에 대하여 10%에 해당하는 활성백토를 가한 후 감압하에 $100^{\circ}C$에서 20분간 탈색처리한 후 압력을 4torr 이하의 감압하에서 수증기증류법으로 $180^{\circ}C$에서 60분간 처리한 오징어 내장유가 물리, 화학적 성상이 가장 우수하였다. 정제유의 산값, 과산화물값 및 색도는 각각 0.20, 0.8 meq/kg 및 0.019이었다. 정제유의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28이었고, 주요 구성 지방산은 16 : 0, 18 : 1n-9, 20 : 5n-3 및 22 : 6n-3 등으로 기능성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