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 commentato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퍼지 AHP를 이용한 축구방송 해설자의 공신력 평가요소 중요도 결정 (Deciding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in Evaluating Public Trust of Soccer Commentators Using Fuzzy AHP)

  • 유강원;최경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6호
    • /
    • pp.779-789
    • /
    • 2010
  • 스포츠 중계방송의 상업성이 커지면서 해설자의 역할이 더욱 증대되었다. 해설자의 자질이라 할 수 있는 공신력을 평가하는 요소에는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화술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하위요소의 중요도를 결정함에 있어 퍼지 AHP 기법을 활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아울러 도출된 중요도를 토대로 SBS에서 중계한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중계방송의 해설자들에 대한 공신혁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 모두에서 전문성과 화술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나아가 해설자 평가에서는 해설자 1이 높게 평가된 가운데, 전문가 집단은 해설자 2를 반면에 일반인 집단은 해설자 3을 비교적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E-sports Broadcasting Commentator's Attributes on Broadcasting Attitude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 Kim, Se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209-21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broadcasters' broadcasting commentators' attributes on broadcasting conditions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viewing of e-sports competition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 watching e-sports competition broadcasting. The final 295 copi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valid samples and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Using SPSS 23,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irst, reliability and attractiveness among the sub-factors of commentator attributes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oadcasting conditions. Second, reliability and attractiveness among the sub-factors of commentator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of continuous viewing. Third, broadcasting condi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viewing.

NBCSN과 MBC의 평창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해설에 대한 비교분석: 피겨 스케이팅 중계방송 해설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A Comparative Study of Figure Skating Commentary on NBCSN and MBC's Coverage of 2018 Olympic Games)

  • 송영주;김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94-105
    • /
    • 2022
  • 이 연구는 NBCSN과 MBC의 평창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경기 중계방송의 해설 내용을 비교분석해 도출해낸 차이점을 통해 국내 피겨스케이팅 해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동일한 경기에 대한 두 개의 중계방송 텍스트를 정보의 유형과 기술방식으로 코딩한 후 각 코드의 비중과 코드 간의 관계를 양적으로 분석했다. 양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분류의 내용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해 특징적 차이점들을 도출해 냈다. 국내 해설은 단조롭고 반복적인 감정표현과 맥락화되지 않은 정보가 기계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특징적이었으며, 경기를 극화하는 능력이나 설명의 전문성에서도 차이가 드러났다. 국내에서는 선수소개와 기술요소, 채점과 관련해 중립적으로 기술되던 정보를 미국의 해설에서는 정보를 맥락화하고, 여러 가지 기술방식과 결합해 경기를 극화시키는 방식으로 활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