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ophore growth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양송이 균사(菌絲) 생장(生長)과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園)의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Mycelial Growth and Mushroom Yield of Agaricus bisporus)

  • 차동열;박종성;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2
    • /
    • 1981
  • 앙송이 복토후(覆土後) 재배실온도(栽培室溫度), $CO_{2}$ 및 복토수분함량(覆土水分含量)이 복토층(覆土層)의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복토후(覆土後) 균사(菌絲)의 영양생장(營養生長) 기문중(期聞中) 재배실온도(栽培室溫度)는 $30^{\circ}C$일때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빠르고 25, 20, $15^{\circ}C$로 온도(溫度)가 낮아질수록 감소(減少)하였다. 자실체(子實體)의 형성(形成)및 수량(收量)은 $52^{\circ}C$에서 최대(最大)였고 온도(溫度)가 그보다 높거나 낮으면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복토(覆土)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70%일 때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빠르고 수분함량(水分含量)의 감소(減少)에 비례(比例)하여 감소(減少)하였다. 자실체(子責體)의 형성(形成) 및 수량(收量)은 균사생장최적수분함량(菌絲生長最適水分含量)보다 낮은 60%구(區)에서 최대(最大)였다. 3. 복토후(覆土後) 7일간(日間)의$CO_{2}$농도(濃度)가 0.16%일때는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자실체(子實體)의 형성(形成)이 양호(良好)하였으나 $0.5%{\sim}2.0%$에서는 균사생장(菌絲生長)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급감(急減)하였다. 4. 자실체(子叢體)의 개체중량(個體重量)은 재배실온도(栽培室溫度) $20^{\circ}C$, 복토수분(覆土水分) 70%에서 최대(最大)였다.

  • PDF

표고 버섯(Lentinus edodes)의 영양생리 및 기질개발 (Nutritional Physiology and improvement of substrate of Lentinus edodes)

  • 박원목;송치현;현재욱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82
    • /
    • 1992
  • 자실체 생장을 위한 액체 정치 배양에서 탄소원, 질소원, pH의 효과를 검출한 결과 dextrin, aspartic acid, pH 4.0에서 각각 가장높은 건물중을 보였으며, 0.8% triacylglycerol 첨가시 자실체 생장이 촉진되었다. 고체배지 사용시 포플라, 백양나무, 참나무 톱밥 그리고 coffee waste 중 coffee waste에서 가장높은 자실체 건물중을 얻었으며 0.1% tannic acid의 첨가시 자실체 및 균사체 생장에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

느타리 버섯(Pleurotus sajor-caju) 재배를 위한 기질 및 재배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Substrate and Cultural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sajor-caju)

  • 홍범식;김세진;송치현;황세영;양한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4-359
    • /
    • 1992
  • P.sajor-caju의 균사체 생장에 oil 첨가효과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식물성 oil 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그 중 cotton seed oil을 배지 100ml에 2.5ml 첨가하였을 때 균체량이 무첨가구에 비하여 약 4배정도 이었다. 자실체 생산 기질로 농산 및 산업폐기물인 볏짚, 땅콩박, 왕겨, 톱밥 ,코코아박, 맥주박, 커피박 등을 사용한 결과 볏짚의 biological efficiency(B.E.)가 36.4%였으며 땅콩박은 32.6%로 나타났다. 또한 볏짚(50%)과 맥주박(50%)을 혼합하였을 경우 B.E가 109.6%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땅콩박(50%)과 맥주박(50%)을 혼합하였을 경우에도 B.E.가 74.5%로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었다.

  • PDF

식용버섯 재배시 초고흡수성 폴리머의 효과 (Application of Super Water Absorbent for Edible Mushroom Production)

  • 김명곤;윤숙;문성필;김형무;장태복;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1
    • /
    • 2000
  • 식용버섯 인공재배시 수분조정제로 아크릴아미드와 아릴설폰산염의 공중합물의 가수분해물인 CPAM-AS-hyd-1의 흡수겔을 첨가하여 각종 식용버섯의 균사생장 및 자실체 수량에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배지 100cc에 200g까지의 첨가는 균사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많았다. 식용버섯 생산을 위한 흡수겔의 적정 농도는 배지 100 cc에 대하여 느타리버섯의 경우는 200 g, 노루궁뎅이버섯은 $200{\sim}250\;g$, 팽이버섯은 200 g 첨가시 양호하였으며, 팽이버섯 재배시 폴리머 흡수겔과 10%(v/v)의 평화왕겨 첨가가 수량증대에 효과적이었다.

  • PDF

양송이 마이코곤병(病)의 방제약제(防除藥劑)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emical Control of Mycogone perniciosa Magn in Cultivation of Mushroom Agaricus bisporus(Lang) Sing)

  • 전창성;김광포;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5-87
    • /
    • 1991
  • Prochloraz of fungicide was applied on Mycogone perniciosa causing wet bubble in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In vitro, Prochloraz was an excellent fungicide on two strains of Mycogone, tolerant and non-tolerant to Benomyl, respectively. At the low dosage, Prochloraz more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mushrooms than Benomyl. At the higher dosage, Benomyl more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than prochloraz. The higher yield of sporophore of the mushroom with low inferction rate was abtained from several trial of Prochloraz. Prochloroz was concluded to be effective fungicide on Mycogone perniciosa on Agaricus cultivation.

  • PDF

Streptomyces sp. A252의 배양적 특성 및 항진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ptomyces sp. A252)

  • 이용세;최장원;라경수;백형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4
    • /
    • 1999
  • A252 균주의 항균성물질의 생성 및 균주의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균체의 생장은 TSB와 malt extract-yeast extract (ISP-2) 배양기가 좋았으며, 배양여액의 항균활성은 TSB와 nutrient broth에서 효과적이였다. TSB 배지에서 균사생장 및 배양여액의 항균활성은 $25^{\circ}C$와 pH 6.5에서 최적화 되었으며, 2$\%$ TSB 농도에서는 1$\%$에 비해 생장은 좋았으나 배양여액의 항균활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A252 균주의 균사 생장은 접종 72시간 후에 최대치에 달하였으며 반면 배양액의 항균력은 접종 60시간 후인 idiophase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96시간 후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양여액의 항균활성은 $121^{\circ}C$ 고온에서도 안정하였으며, pH에 대한 안정성은 4.0 - 9.0의 범위였다. A252 균주의 생리적 특성 및 분생자경의 형태 등을 관찰한 결과 Streptomyces sp.로 동정되었다.

  • PDF

여름느타리버섯의 교배계(交配系) 및 교배균주(交配菌株)의 유전(遺傳) 분석(分析) (Incompatibility Factors and Genetic Analysis of Pleurotus sajor-caju)

  • 고승주;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3
    • /
    • 1986
  • 여름느타리버섯 Pleurotus sajor-caju은 2개(個)의 불화(不和) 합성(合性) 인자(因子)를 가진 4극성(極性) 교배계(交配系)를 가지고 있으며, 2핵균사체(核菌絲體)는 단핵균사체(單核菌絲體)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빨랐으나 상호(相互)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없었다. 여름느타리버섯은 2핵균사체(核菌絲體) 뿐만아니라 단핵균사체(單核菌絲體)도 agar배지(培地) 상(上)에서 원기형성(原基形成)이 잘되는 특징(特徵)이 있으며 2핵균사체(核菌絲體)에서 그 형성수(形成數)가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단핵균사체(單核菌絲體)의 자실체(子實體)는 그 형태(形態)가 기형(奇型)이었으며 성숙(成熟)하지 못하고 사멸(死滅)되었으나 2핵균사체(核菌絲體)의 자실체(子實體)는 정상(正常)으로 생장(生長)하였다. 교배균주(交配菌株) 중(中) D-5 균주(菌株)는 모균주(母菌株) 보다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이 높았다. Agar배지(培地) 상(上)에서 2핵균사체(核菌絲體)의 균사생장(菌絲生長)과 원기형성(原基形成) 수(數)는 톱밥 병재배(甁栽培)로 얻은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과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은 산(傘)의 직경(直徑)과 줄기의 길이와도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송이균(松茸菌) (Tricholoma matsutake)의 배양환경(培養環境)에 대한 증식반응(增殖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Multiplication Response of "Tricholoma matsutake" (Pine Mushroom) Conidio to Cultural Media Environment)

  • 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33-41
    • /
    • 1984
  • 송이(松茸)는 적송(赤松)의 세근(細根)에 활물기생(活物寄生)한다고 하나 그 본질(本質)이 아직 구명(究明)되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공재배(人工栽培) 확립(確立)이 모색(模索)되고 있는 중이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일차적(一次的)으로 송이(松茸)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균(菌)을 배양(培養)하여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인공원기(人工原基)를 만들어 인공적(人工的)인 송이재배(松茸栽培)의 본질(本質)을 구명(究明)하여 송이재배(松茸栽培) 방법(方法)을 돕고자 송이균(松茸菌)의 생리특성(生理特性)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의 송이균계(松茸菌系)의 발육(發育)은 봉밀(蜂蜜)+송이발생토양전즙(松茸發生土壤煎汁)+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건조효모(乾燥酵母)+$KH_2PO_4$+Inositol+엽산(葉酸)+Biotin의 배지(培地)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송이포자(松茸胞子)의 발아(發芽) 및 균계배양(菌系培養)에서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4^{\circ}C$, 최적(最適) pH는 4.5였다. 3) 송이균계배양(松茸菌系培養)에 있어서 송이자실체(松茸字實體)의 조직(組織)에서 분리(分離)한 것과 포자(胞子)에서 분리(分離)한 것은 그 발율(發育)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4) Hamada 배지(培地)에 각종(各種) 미량중금속염류(微量重金屬鹽類) $ZnSO_4$, $MnSO_4$, $MgSO_4$, $CaCl_2$ 구연산철(枸櫞酸鐵) 등(等)의 첨가(添加)는 별효과(別效果)가 없었다. 5)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첨가(添加)는 균계발육(菌系發育)에 확실(確實)한 효과(效果)가 있었다. 적송(赤松)에는 송이균계(松茸菌系)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는 인자(因子)가 존재(存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송이균계(松茸菌系) 배양용(培養用)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의 C원(源)으로서 glucose보다 봉밀(蜂蜜)의 효과(效果)가 크다. 7) Fairy Ring이 가장 많이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인 Mortierlla spp의 배양여액(培養濾液)을 송이균계(松茸菌系)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에 첨가(添加)한 것이 대조치(對照値)에 비(比)하여 균계(菌系)의 발육(發育)이 양호)良好)하였다. 8) 송이인공원기(松茸人工原基)의 배지(培地)에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lnsitol Biotin 엽산(葉酸)의 첨가(添加)는 효과(效果)가 크다. 균계(菌系)의 만연(蔓延)된 후(後) 온도(溫度)를 내려서 $19^{\circ}C$로 유지(維持)할 때 primordium의 형성(形成)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양송이 합성배지(合成培地) 제조(製造) 및 균배양(菌培養)을 위한 Bulk Pasteurization System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ulk Pasteurization System for Composting and Spawn Running of the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 신관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69-274
    • /
    • 1982
  • Bulk pasteurization system을 농가(農家)에 보급(普及), 실용(實用)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 동(同) system을 이용(利用)한 퇴비배지(堆肥培地)의 발효방법(醱酵方法)을 확립(確立)하기 위(爲)한 실험(實驗)을 실시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양송이배지(培地)의 후발효과정(後醱酵過程)은 bulk pasteurization system으로 실시(實施)하는 것이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우수(優秀)하여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높았다. 2. Bulk pasteurization system으로 균배양(菌培養)을 한 결과(結果)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불량(不良)하고 수량(收量)이 낮았는데 이것은 송풍기(送風機)의 결함(缺陷)과 불완전(不完全)한 작업(作業)에 기인(基因)하였다. 3. 기존(旣存) 양송이재배사(栽培舍)를 개수(改修)한 간이(簡易) bulk pasteurization system은 배지(培地)의 발효(醱酵)가 불량(不良)하여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낮고 재배(栽培)의 안정성(安定性)이 적었다. 4. 배지(培地)의 후발효(後醱酵)를 bulk pasteurization 방법(方法)으로 할때 정열도달시간(頂熱到達時間), 후발효시간(後醱酵期間) 및 배지(培地)의 성분변화(成分變化)는 기온(氣溫)의 영향(影響)을 받았으나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는 현저(顯著)한 안정성(安定性)을 보였다. 5. 시설(施設)이 잘된 bulk pasteurization system으로 후발효(後醱酵)할 때 입상시(入床時) 배지(培地)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발효(醱酵)에 큰 影響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배지(培地)의 성분(成分)에 약간 차이(差異)가 있었다.

  • PDF

표고 톱밥배지의 성숙도와 자실체형성 포텐셜 (Culture Maturity of Lentinula edodes on Sawdust-Based Substrate in Relation to Fruiting Potential)

  • 오가 쇼지;민두식;구창덕;최태호;안드레 레오노비치;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2000
  • 본 연구는 표고의 톱밥재배시 재배배지의 숙도, 자실체 발생단계 및 버섯생산 수량을 정량화하고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지의 성숙도는 자실체 발생시기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로서, 균주, 영양생장기간,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이 관여하며, 배지내의 성분변화, pH 변화 및 수분포텐셜 등이 영향한다. 자실체발생 초기에 배지내의 glucosamine 의 함량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자실체 발생후 신속히 감소하였다.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도 버섯원기 형성 시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자실체 발생직전 최고값에 달하였다. 따라서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이 배지의 숙도 및 자실체형성을 예측하는 주요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질내의 pH는 종균접종전 6.3으로부터 자실체형성단계에서 4.0으로 변화하였으며, pH측정으로 자실체수량을 예측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pH를 bromphenol blue(BPB)의 스프레이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질의 수분포텐셜과 관련하여, -0.5MPa 정도의 수분포텐셜감소가 생장 및 자실체형성에 크게 영향하였으며, 우수한 숙도외 버섯재배 기질이 가지는 수분포텐셜은 버섯발생 전후 각각 -0.7MPa, -4.0MPa 였다. 높은 수분포텐셜은 고밀도의 균체콜로니를 만들 수 있었으며 균주 및 배양기간중의 상호작용이 기질의 수분포텐셜에 현저히 영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