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e densit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초

해안(海岸) 간척지(干拓地)에서 Arbuscular Mycorrhizae(AM)에 관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y on Arbuscular Mycorrhizae(AM) at Coastal Reclaimed Lands)

  • 고성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4-409
    • /
    • 1994
  • 간척년도가 다른 두 간척지의 고등식물 근권에 존재하는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의 포자밀도, 공생강도 및 소포밀도, 그리고 숙주식물인 산조풀, 띠, 비쑥, 갯개미취 및 사데풀의 식물량과 그외의 요소인,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Zn 함량 및 식물체속 아연의 함량 등을 조사하여 AMF의 생물학적 특성과 식물의 아연 흡수에 미치는 AMF 공생활성의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 간척지 식물을 토양의 염분함량에 따라 분류하면 염생식물, 임의염생식물, 중성식물의 순으로 AMF 공생활성이 높았고 생활형으로 분류하면 1, 2, 다년 생식물로 감에 따라 AMF 공생활성이 높았다. AMF 공생활성의 계절 변화는 포자밀도가 고등식물의 생육말기부터 봄까지 커짐으로써 가을에 번식함은 알았고, 공생률은 봄, 여름에 높았고 가을에 낮았다. AMF의 공생활성인 포자밀도와 공생강도 사이는 높은 양의 상관이 나타났지만 소포밀도와 포자밀도 또는 소포밀도와 공생강도 사이에는 상관이 없었다. 식물량과 AMF 포자밀도 또는 공생강도 사이에는 높은 양의 상관이 나타났고, 식물량과 소포밀도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이 없었다. 이 결과로 간척지의 식물량은 AMF 공생에 의하여 증가되고 포자밀도와 공생강도가 AMF 공생활성의 중요한 척도임을 알았다. 아연 흡수는 AMF 공생활성이 높은 식물이 낮은 식물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을 흡수하였다.

  • PDF

시설재배지 무경운 토양에서 녹비작물별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감염양상과 포자밀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Spore Density and Colonization Patter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the No-tillage Soil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양승구;서윤원;김병호;손보균;위치도;이정현;정우진;박노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3-355
    • /
    • 2011
  • 월동 녹비작물 재배가 시설 토양과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균근균 포자밀도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월동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기주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수는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기주 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쇠별꽃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에 고추를 무경운 정식하여 재배한 토양의 AMF 포자 밀도는 대조구와 녹비작물 종류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AMF 밀도보다 후 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AMF밀도는 감소되었으나, AMF 밀도의 균일도는 증가되었다. 한편 보리 녹비작물을 예취하여 제거한 토양의 AMF포자 밀도는 제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 균근균의 기주작물별 포자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녹비작물 재배 후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에서 분리된 AMF포자 형태와 크기도 동일하였다. 녹비 작물별로 뿌리의 내생 균근균 감염율이 쇠별꽃,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낮은 경향이었으나, 보리 녹비의 감염율은 유의성 있게 높았다. 고추 뿌리 내의 AMF 감염율은 녹비작물의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보리 녹비를 예취하여 제거한 처리의 감염율은 보리 녹비작물을 전량 토양에 투입한 처리 보다 높았다. 녹비작물 뿌리와 고추 뿌리의 내생 균근균의 주요 감염구조는 뿌리의 내부균사(Internal hyphae)로 균사간의 Network가 매우 발달되었다. 그리고 녹비작물과 고추 뿌리에서 Arbuscule이 형성되었으며, 근권 토양의 AMF포자밀도와 고추 뿌리 감염율의 상관관계도 파악할 수 없었다.

사구식물(砂丘植物)과 Arbuscular 내생균근(內生菌根) 균(菌)의 공생(共生) 특성(特性) (Symbiotic Proper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Sand Dune Plants)

  • 김준태;리기현;정병철;김종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5-245
    • /
    • 1993
  • The symbiotic proper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such as the absence and/or presence of symbiosis, spore density, and six factors of phy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investigated in the rhizosphere of seven sand dune plants and three control plants around Kum river. The infection of AMF was confirmed in all plants. Three genera, nine species of the AMF spores were identified in the sand dune; Ac. scrobiculata, G. aggregatum, G. convolutum, G. diaphanum, G. dimophicum, G. geosporum, G. vesiculiferum, G. tortuosum, S. pachycaulis. All of them were also found in the control, but S. pachycaulis were only separated in the sand dune. In the control, three genera,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G. flavisporum, Gi. margarita, Sc. gregaria. Sc. persica. The species specificity was not found between the sand dune plant and AMF. However, the AMF was thought to be correlated with the soil factors. The spore density was stimulated with increase of the organic matter and the nitrogen content, but inhibited with the water content and the phosphorus content. In respect of the seasonal factor, the spore density was increased in the late growth period of plants.

  • PDF

Flusulfamide입제에 의한 배추무사마귀병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Flusulfamide GR on Chinese Cabbage Clubroot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 장현철;이선욱;김점순;윤여순;최근숙;김학기;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43-47
    • /
    • 2005
  • Flisulfamide 입제의 포장에서 방제효과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강릉신의 배추 뿌리혹병에 오염된 고랭지 포장에서 본 시험을 진행하였다. Flisulfamide 입제는 84.6% 의 방제가로 무처리구와 기타 대조약제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면포자의 감소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포장의 모든 처리구의 각 반복당 임의의 5개 지점에서 약제 처리 전 토양과 약제 처리 후 토양을 채집하여, 토양내의 휴면포자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처리 전 시험 포자으이 휴면포자 밀도는 균일하지 않았으므로 포장 시험시 처리전 휴면포자 밀도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휴면포자의 감소율을 조사한 결과, flisulfamide 분제와 입제를 처리한 후 휴면포자 밀도는 처리전에 비하여 63.7% 와 64.2% 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방제효과와 휴면포자의 감소율간에는 유효적인 상관관계가 있게 나타났다. 그리고 약제 처리에 의한 수확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약제 처리 45일 후, 각 처리구에서 20주의 배추를 수확하여 지상부 무게를 측정하였다. Flisulfamide 분제, fluazinam 분재와 flisulfamide 입제의 처리구에서 수확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4.3%, 13.8%와 13.0% 의 수확량 증가율을 나타냈고, trifloxystrobin 액상수화제의 처리구에서 수확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3.8%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대조구를 포함한 각 처리평균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lisulfamide 입제가 배추 뿌리혹병의 방제에 있어서 우수한 방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휴면포자의 밀도를 감소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고추 탄저병균의 포자 발아와 부착, 균사 생장에 미치는 화합물의 활성 검정법 확립 및 살균제의 효과 (Development of assay method for the activities of new compounds, and the effect of several fungicides against spore germination, adhesion, and myceial growth of Colletotrichum sp. causing red pepper anthracnose)

  • 김재정;김준태;박성우;박은숙;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microtiter plate를 이용하는 실내 검정법을 이용하여 고추 탄저병균의 기주체 침입 초기에 볼 수 있는 형태 변화인 포자 발아 및 부착과 균사 생장에 미치는 다양한 화합물의 활성을 대량으로 검정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였고, 기존의 몇 가지 살균제가 가지는 고추 탄저병균의 초기 형태 분화 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실내 검정법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MTT와 propanol 처리, 접종하는 포자의 농도, 배양 시간들이 병원균의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TT를 12 시간, propanol을 1 시간 처리하였을 때, 그리고 JC24 의 포자를 $1\times10^5$개/mL의 농도로 접종하고 36 시간 배양하였을 때, 병원균의 흡광도가 일관성 있고 높게 나타났다. 살균제의 작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6종의 보호용 살균제, 6종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 살균제, 1종의 호흡저해제를 선발하여 microtiter plate 대량 검정 방법에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보호용 살균제 중에서 mancozeb, chlorothalonil, dithianone 등은 $6.25{\mu}g/mL$ 처리구에서도 포자의 발아, 부착과 균사의 생장을 모두 80% 이상 억제하였으나, propineb, iminoctadine, fluazinam 등은 $100{\mu}g/mL$의 처리를 2 시간만에 세척하였을 때 흡광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포자 부착 억제 효과는 적었다. 6종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중에서 hexaconazole, tebuconazole, myclobutanil 등은 포자의 발아와 균사 생육을 억제하고, 세척할 경우 JC24의 생육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아 부착 억제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Nuarimol 은 $100{\mu}g/mL$로 처리한 고농도에서만 부착에 대한 억제 효과가 54.7%로 다른 억제 효과보다 우수하였으나, $6.25{\mu}g/mL$의 저농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부착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Kresoxim-methyl은 6.25와 $100{\mu}g/mL$의 농도에서 포자 부착에 대한 억제율이 27.3%와 54.4%로 나타났는데, 처리하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효과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때 microtiter plate를 사용하여 병원균이 식물체를 침입하는 초기에 나타나는 포자 발아와 부착, 그리고 균사 생장을 검정할 수 있었으며, 본 실험 방법을 통하여 Kresoxim-methyl은 탄저병균의 포자 부착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iodiversity, Spore Density and Root Coloniz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t Expressway Cut-slopes in Korea

  • Lee, Kyung Joon;Lee, Kyu Hwa;Tamolang-Castillo, Evangeline;Budi, Sri Wilars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39-54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biodiversity, spore density and root colonization in relation to site ages at expressway cut-slopes in Korea. Stabilization of exposed surface involved soil amendments and spraying seed mixture of turf grasses and/or nitrogen-fixing shrub species. Eighteen sites were selected with varying ages (2 to 16 years). Soil samples collected in October from each site were analyzed for fungal diversity and spore counts. Fine root samples from the plants were assayed for fungal colonization. Of the total 37 plants inspected in the sites, 26 species had endomycorrhizal colonization with an average root colonization rate of 18%, and with a range from 1 to 67%. The average endomycorrhizal colonization rate of initially introduced Festuca arundinacea which became the most dominant grass in later stage showed 22.8%, while that of Lespedeza bicolor which became the most dominant woody species were 21.6%. Naturally-invading Robinia pseudoacacia showed higher colonization rate in the old sites. Although site ag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fungal diversity, the root colonization rates of initially introduced plants decreased with the site aging, while those of invading plants increased with aging of the sites.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pH, N, and P cont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pore density, root colonization and endomycorrhizal species diversity. A total of forty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species in seven genera were identified. Of the 40 species, Acaulospora lacunosa, Glomus aggregatum, Glomus constrictum, Scutellospora erythropa, and Acaulospora spinosa were the fiv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decreasing order.

가잠에서 분리된 새로운 미포자충(S85)의 특성 및 분류학적 위치(1) - 포자의 미세구조 - (Characterization and Taxonomic Classification of S85, a new Microsporidia, isolated from the Silkworm, Bombyx mori L.)

  • 조세윤;손해룡;임종성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3-120
    • /
    • 1989
  • 가잠에서 분리된 새로운 미포자충(S85)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포자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포자는 전자밀도가 상이한 3층의 피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각은 전자밀도가 높고 요철이 다소 심한 편이고 내각은 전자밀도가 낮으며 포자피각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극막층은 그 배열이 조밀하고 성긴 두 부분의 Lamellae 구조로 되어 있었다. 3. 극사는 13개의 coil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8개의 동심원층으로 되어 있었다. 4. 포자는 1개의 핵을 가지고 있으며 다포자아막을 형성하고 막내에 16개 이상의 포자를 가지고 있었다. 5. 포자의 표면은 거칠고 주름이 있으며 다포자 아막은 고무풍선처럼 생긴 얇은 막구조로서 표면에는 약간의 주름이 있었다.

  • PDF

고농도 세포배양에서 Bacillus thuringiensis의 세포 성장과 포자 형성 속도 (Growth Kinetics and Sporul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n High Cell Density Culture)

  • 강병철;장호남
    • KSBB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30-35
    • /
    • 2001
  • 유가식배양과 세라믹 막을 장착한 생물반응기에서 운전인 TCRC 조업을 통해서 Bacillus thuringiensis의 고농도 세포배양을 실시하였다. 유가식 배양에서 B. thuringiensis의 세포 성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이것은 세포성장 모델리의 결과와 잘 맞았다. 낮은 세포 성장속에도 불구하고 유가식 배양동안에 포자형성은 관찰할 수 없었고, 이것은 연속배양의 결과와는 반대였다. 유가식 조업 후에 회분식 배양으로 바꾸면 300 g/L의 포도당 공급 농도를 사용했을 때 2.7$\times$$10^9$ CFU/mL 의 포자농도를 얻었다. 생물반응기내에 세라믹 막을 장착한 TCRC 조업에서 포도당 공급 농도의 영향을 결정하였다. 50 g/L의 포도당 농도를 사용했을 때 TCRC 조업에서 82.5 g-cell/L에 해당하는 최대 세포농도 1.8$\times$$10^{10}$ CFU/mL 를 얻었다. TCRC에서 세포성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포도당 농도는 제한되었는데 이것은 세포성장은 모델링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1 g/L의 포도당을 공급한 경우 이외에는 TCRC 조업 동안에 포자형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50 g/L의 포도당을 공급한 경우 TCRC조업 후에 회분식 배양으로 전환시키면 1.2$\times$$10^{10}$ CFU/mL 의 포자농도를 얻었고, 이것은 연구된 여러 배양형태 중에 가장 높은 포자농도이다. 이 때 최적의 포도당 공급속도는 0.55 g glucose/h로 공급하였을 때였다.

  • PDF

Forecasting the Pepper Gray Mold Rot to Predict the Initial Infection by Botrytis cinerea in Greenhouse Conditions

  • Park, Seon-Hee;Lee, Joon-Taek;Chung, Sung-Ok;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158-161
    • /
    • 1999
  • We determined threshold environmental factros to initiate infection of pepper plants by Botrytis cinerea, a fungal pathogen of pepper gray mold, in two greenhouse conditions. A new efficient spore-trapping method was developed to estimate population density of airborne conidia in the greenhouses, and spore release was measured using a Kerssies' selective medium. At a given day, spores were released greater during daytime (mostly from 7:30 am to 10:30 am and at 4:30 pm) than nighttime. Diurnal and nocturnal temperatures in the greenhouse-1 were about $25^{\circ}$ and $17^{\circ}$,and relative humidity was 100% for prolonged 24 h due to rain on December 17, 1997. Population density of air-borne conidia was 3.0$\times$103 conidia/ $0.5\textrm{m}^3$ after two days, and the initial infection occurred in ten days.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in the greenhouse-2, diurnal temperature was about $25^{\circ}$ and nocturnal temperature was below $15^{\circ}$, and population density of air-borne conidia was 104 conidia/ $0.5\textrm{m}^3$. Under these conditions, the initial infection started in three days. This indicates that the early infection occurs under which diurnal temperature is approximately $25^{\circ}$, nocturnal temperature is maintained below $15^{\circ}$, and population density of air-borne conidia is 104 conidia/ $0.5\textrm{m}^3$ at saturated relative humidity condition.

  • PDF

사과 겹무늬썩음병에 걸린 가지로부터 분산되는 병포자의 정량적 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ycnidiospore Dispersal from the Apple Tree Stems Infected by White Rot)

  • 양희정;최창희;우현;김대희;엄재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5-330
    • /
    • 1998
  •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pycnidiospore of Botryosphaeria dothidea, the causal fungus of apple white rot is a typical water borne spore, a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ycnidiospore dispersal from the warts produced on the diseased apple tree stem was developed. The warts on which cracks developed either on or around them were cut off at the base, and shaked in the water for 4hours at 2$0^{\circ}C$, in which condition the maximum number of spores were released. The volume of shaking solution was calculated as 1 ml per one wart. At the end of shaking, Trio, a household detergent was added to the shaking solution to the concentration of 0.1%, and shaked for additional 10 minutes at 35$^{\circ}C$ to take off the spores attached on the glass ware. One milliliter of the spore suspension thus prepared were passed through transparent membrane filter (pore size : 3.0 ${\mu}{\textrm}{m}$), and the spores attached on the filter were counted under a microscope ($\times$200) after staining them with lactophenol supplemented with aniline blue. The results thus obtained were statistically consistent when at least 30 warts were used simultaneously in single shaking. This method can be applicable in the elucidation of ecology of sporulation and spore dispersal, and also in the screening of the sporulation inhibitor which can be used in the control of the disease by reducing the inoculum dens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