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e analysis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8초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udum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udum Causing Fusarium Wilt of Sunn Hemp in Korea)

  • 최효원;홍성준;홍성기;이영기;김점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8-68
    • /
    • 2018
  • 클로탈라리아는 국내에서 토양개량을 위한 질소고정, 토양침식 감소, 잡초 및 선충 억제를 위해 풋거름작물로 이용하고 있다. 2014년, 클로탈라리아를 풋거름작물로 재배하는 완주 지역의 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이 관찰되었다. 감염된 식물체의 잎은 아래잎부터 황화 되면서 시들기 시작하였고, 위쪽 잎도 황화 되었으며, 결국 식물체는 완전히 고사하였다. 감염된 식물체 줄기에서 어두운 색의 자낭각이 다수 관찰되었고, 이 자낭각으로부터 자낭포자를 단포자 분리하여 6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균학적 특성에 의해 분리균은 Fusarium udum(완전세대: Gibberella indica)로 동정되었다. 대형포자의 정단세포는 대부분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고, 소형포자는 단경자에서 false head 상으로 형성되었다. 후벽포자는 균사에서 단일 혹은 무리지어 풍부하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동정 결과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TEF), calmodulin (CAL), histone 3 (HIS3)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재확인되었다. 그 결과, 분리 균주는 NCBI GanBank에 등록된 F. udum과 TEF 유전자는 94.4~96.2%, CAL 유전자는 99.7%, HIS3 유전자는 99.6~99.8%의 상동성을 보였다. 클로탈라리아와 두 품종의 콩을 대상으로 포자현탁액을 토양에 관주 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접종 14~21일 이내에 접종한 클로탈라리아와 태광콩에서 병징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병을 F. udum에 의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하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Alkaline protease inhibitor를 생산하는 해양유래 방선균의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lkaline Protease Inhibitor-Producing Marine-derived Actinomyces.)

  • 강성일;공재열;최영준;김민용;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2-487
    • /
    • 2008
  • Alkaline protease는 식품 가공 공정에 있어 가공 원료의 선도 저하를 초래하거나 맛살류 제품 원료인 어류의 근육조직을 파괴하여 gel 구조를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해양으로부터 alkaline protease에 대한 저해력을 가지는 방선균들을 분리하여 그 중 저해력이 가장 높은 C12균주를 최종 선정하였다. 본 균주의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포자의 크기는 $2.0\;{\mu}m$로 외형은 원통형이고, 편모가 없으며, 포자형태는 smooth하였다. ISP 9배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배지에서 잘 성장하였다. 또한 $15{\sim}50^{\circ}C$에서 잘 성장하였으며, 9% (w/v) NaCl이 포함된 배지에서도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ram 양성, citrate 음성, catalase 양성이었으며, melanin 색소를 생성하지 않았다. Starch, casein 및 gelatin 분해능이 있었으며, gluc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fructose 및 mannse 등은 잘 이용하였지만, sorbitol과 sucrose는 이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본 균주는 Streptomyces sp.로 확인되었다. 보다 정확한 균주 동정을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C12 균주는 S. thermocarboxydus와 계통진화학적으로 가장 유연관계가 높았다.

검정해면으로부터 항균성을 가진 방선균의 분리 동정 및 항균물질의 구조 (Identification of an Actinomycetes Strain, MSA-1, Originated from Sponge, Halichondria okadai, and its Antimicrobial Component)

  • 이종수;최종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6-522
    • /
    • 1998
  • 검정해면 (Halichondlia okadai)에 공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항균성을 가진 방선균주를 분리하여 SEM, 형태학적, 화학 분류학적 방법에 의하여 균주를 동정하였으며, 이 균주를 marin broth 2216 배지에서 대량 b배양하여 균사체로부터 항균물질을 각종 HPLC에 의하여 분리하고 X선 결정 구조 해석. MS, NMR spectrum에 의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ISP 2 배지에서 $30^{\circ}C$, 7일간 배양 결과, 기질균사는 갈색을 띄었고 그 위로 ivory색의 기중균사를 형성하였다. spore chain은 flexibilis로서 10개 이상의 oval 형의 포자가 사슬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표면은 smooth하였다. 한편. 화학적 특성으로는 L-form의 DAP를 가지며 특징적인 당이 없는 cell wall type I 이었고. 인지질은 PII형 이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iso-14 : 0, anteiso-15 : 0, iso-16 : 0, 16 : 0 및 iso-17:0 이었다. 이들 결과와 Bergey's Manual에 의해 이 균주는 Strptomyces sp.로 동정하였다. 대량 배양한 동결 건조 균체 70g으로 부터 10mg의 연한 노란색의 항균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질량 분석에서 이 물질의 분자량은 466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benzene-acetone 용매중에서 결정화하여 X선 결정 구조 해석을 행한 결과 indolo[2,3-a]carbazole alkaloid의 staurosporine 으로 판명되었으며 proton 및 carbon NMR data도 이와 잘 일치하였다.

  • PDF

제주고사리삼을 중심으로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with special emphasis on genus Mankyua)

  • 선병윤;백태규;김영동;김찬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5-142
    • /
    • 2009
  • 엽록체 rbcL gene의 염기서열과 포자의 형태를 바탕으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과 제주고사리삼속의 계통학적 위치를 추정하였다. 엽록체 DNA rbcL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고사리삼과는 뚜렷하게 고사리삼계보 (Botrychioid lineage)와 나도고사리삼계보 (Ophioglossoid lineage)의 두 군으로 구분되었다. 고사리삼계보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Mankyua)은 Helmintostachys속과 함께 분계의 기저에서 고사리삼속(Botrychium)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으나, 이들 고사리삼속(Botrychium), 제주고사리삼속(Mankyua), 및 Helmintostachys속 사이의 계통적 유연관계는 결정되지 못했다. 고사리삼속의 경우 Sceptridium아속과 Botrychium아속이 뚜렷한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나, Botrypus아속에 속한 분류군들은 고사리삼속의 기저에서 다른 고사리삼속 분류군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면서 단계통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나도고사리삼계보를 형성하는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의 경우, Ophioglossum아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Ophioglossum아속에 대해 Cheiroglossa아속 및 Ophioderma 아속이 차례로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다. 염기서열 계통수, 포자의 형태 및 외부형태의 고찰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은 Helminthostachys와 유사하지만, 계통수에서 patristic distance 뿐 아니라 포자소엽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이들 2속은 독립된 속으로 판단된다.

Cold Shock Response of an Antarctic Streptomyces Strain Showing Demulsifying Ability

  • Lee Yoo Kyung;Kim Hyo Won;Hyun Kwang Soon;Lee Hong Kum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8-145
    • /
    • 2001
  • The hydrophobic spores of Streptomyces sp. AA8321 isolated from the Antarctic coast displayed demulsification ability. The aerial spores demulsified an emulsion of kerosene/$0.2\%$ Triton X-100 (2:1, v/v) to $50\%$ and $95\%$ within 1 min contact at the concentrations of $5.0{\times}10^7$ and $1.0{\times}10^8$ spores/ml, respectively. A cold shock protein (csp) gene was cloned from the hydrophobic spore- producing Streptomyces sp. AA8321 using PCR. It encoded a low molecular protein with 68 amino acids showing very low homology with previously reported csp genes. Only the sequence of the first six amino acids was just the same and yet others were different. RNA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sp gene was induced by cold shock, i.e., transferring from $30^{\circ}C$ to $10^{\circ}C$, and this cold shock response proposed that the isolated gene be a new type of csp gene.

  • PDF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Impact in Hoya Rincon de Parangueo, Guanajuato, Mexico

  • Park, Jung-J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45-254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paleoenvironmental study on Hoya Rincon do Parangueo, a maar lake in Valle de Santiago in Central Mexican Bajio. Maar lake sediments have been widely used for high-resolution reconstruction of paleoenvironment. Many different paleoenvironmental proxy data such as stable isotopes, pollen, sediment chemistry, and dung fungus spore were produced in this study. The pine-oak ratio, stable isotopes, and sediment chemistry help to reveal paleoenviromental changes throughout the whole period covered by sediment materials from this study site. The evidence I found indicates that during ca. 9,500 $\sim$ ca. 8,300 cal yr B.P. there was dry climate; during ca. 8,300 $\sim$ ca. 6,300 cal yr B.P. it was wetter; during ca. 6,300 $\sim$ ca. 4,000 cal yr B.P. drier and cooler; during ca. 4,000 $\sim$ ca. 1,100 cal yr B.P. milder and wetter. The presence of Chupicuaro culture between ca. 2,500 $\sim$ 1,100 cal yr B.P. is implied by the high frequencies of Amaranthaceae and Zea mars. It seems that man left this lake around 1,100 cal yr B.P. due to a dry climate after 1,300 cal yr B.P. Spanish arrival around 400 cal yr B.P. is implied by the fact that fe3 mars reappears and Sporormiella spp. become significant around 120 cm, whereas Poaceae drops sharply.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a Local Milk Product, Kwacha Golla, of Bangladesh

  • Rahman, M.M.;Rahman, M.Mashiar;Arafat, S.M.;Rahman, Atiqur;Khan, M.Z.H.;Rahman, M.S.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251-257
    • /
    • 2008
  • Different types of milk products, such as kwacha golla, mawa, cheese, curd, and chocolate are popular in Bangladesh. However,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se products is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kwacha golla, a local milk product. Kwacha goll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en different areas of Rajshahi and Kushtia regions, and the quality of the each sample was assessed using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standard plate count,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total fungi, and spore-forming bacteria, as well as food-borne microorganisms. Out of 300 samples, total coliform was detected at 56.66% (n= 300), exceeding the minimum allowable limit of 36.66%. Similarl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fungi and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 and Staphylococcus aureus. Results revealed 85.33, 53, and 49.33% of the samples were contaminated by fungi, E. coli, and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However, all samples showed no contaminations of Salmonella sp. and Staphylococcus sp. Therefor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the people of Bangladesh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y of a major health problem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kwacha golla.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근권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Rhizo-bacterium Inhibiting Diaporthe citri Causing Citrus Melanose)

  • 남명흔;신진호;최재필;홍석일;김영권;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2-335
    • /
    • 2009
  • 유기농 인증을 받아서 3년 이상이 경과한 농가의 토양을 수집하여 근권 세균을 450균주 분리하였고, 여러 가지 식물 병원균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세균 KB-401 균주를 선발하였다. KB-401 균주는 특히 감귤 검은점무늬병균(Diaporthe citri)의 균사 생장과 포자 발아를 억제하며, 발아하는 포자에 처리하였을 때 발아관의 선단이 팽윤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균주는 생리적인 특성과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Cohnella damensis sp. nov., a Motile Xylanolytic Bacteria Isolated from a Low Altitude Area in Tibet

  • Luo, Xuesong;Wang, Zhang;Dai, Jun;Zhang, Lei;Fang, Chengxi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410-414
    • /
    • 2010
  • A bacterial strain, 13-$25^T$ with xylanolytic activity isolated from a single soil sample, was characterized with respect to its phenetic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The cells of the isolate are Gram-staining variable rods, but spore formation was not observed. This strain is catalase- and oxidase-positive, and able to degrade starch and xylan. The predominant fatty acids are anteiso-$C_{15:0}$, $C_{16:0}$, and iso-$C_{16:0}$. The major respiratory quinone is menaquinone 7(MK-7), with a polar lipid profile consistent with the genus Cohnella. The DNA G+C content is 54.3 mol%. The 168 rRNA gene sequence analysis indicates that this organism belongs to the genus Cohnella, with Cohnella panacarvi as the closest phylogenetic neighbor. Low levels of 168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97.0%) with respect to other taxa with published names and the identification of distinctive phenetic features in the isolate indicate that the strain 13-$25^T$ represents a novel species of the genus Cohnella, for which the name Cohnella damensis sp. novo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13-$25^T$ (=CCTCC AB $208103^T$=KCTC $13422^T$).

Inhibition of the Aspergillus flavus Growth and Aflatoxin B1 Contamination on Pistachio Nut by Fengycin and Surfactin-Producing Bacillus subtilis UTBSP1

  • Farzaneh, Mohsen;Shi, Zhi-Qi;Ahmadzadeh, Masoud;Hu, Liang-Bin;Ghassempour, Alirez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09-215
    • /
    • 2016
  • In this study, the treatment of pistachio nuts by Bacillus subtilis UTBSP1, a promising isolate to degrade aflatoxin B1 (AFB1), caused to reduce the growth of Aspergillus flavus R5 and AFB1 content on pistachio nuts. Fluorescence probes revealed that the cell free supernatant fluid from UTBSP1 affects spore viability considerabl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method, 10 fractions were separated and collected from methanol extract of cell free supernatant fluid. Two fractions showed inhibition zones against A. flavus.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the both antifungal fractions revealed a high similarity between these anti-A. flavus compounds and cyclic-lipopeptides of surfactin, and fengycin families. Coproduction of surfactin and fengycin acted in a synergistic manner and consequently caused a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 flavus R5. There was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duction of A. flavus growth and the reduction of AFB1 contamination on pistachio nut by UTBSP1.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ngycin and surfactin-producing B. subtilis UTBSP1 can potentially reduce A. flavus growth and AFB1 content in pistachio n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