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kelet number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6초

Rice cultivars adaptable for rice based cropping systems in a paddy field in the Yeongnam plain area of Korea

  • Kim, Sang-Yeol;Seo, Jong-Ho;Bae, Hyun-Kyung;Hwang, Chung-Dong;Ko, Jong-M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355-36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uitable rice cultivars for various rice based cropping systems in a paddy field in the Yeongnam plain area. Thirteen rice cultivars (5 early, 3 medium and 5 mid-late maturing cultivars) and three transplanting dates (June 5, June 25 and July 5)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mid-late and early maturing cultivars for the July 5 and June 25 transplanting headed before August 30 which is the safe heading date in the Yeongnam plain area, ranging from Aug. 26 - 28 and Aug. 18 - 23, respectively. The safe harvest time of rice for double and triple cropping systems should be before the middle of October for the cultivation of the succeeding winter crops. The rice yield was the highest for the June 5 transplanting regardless of the rice cultivars, and it gradually de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was delayed from June 5 to July 5 due to a decrease in the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number and in the ripened grain rate. In contrast, the other yield parameters that include the panicle number per $m^2$, the 1,000-brown rice weight, and the ripened grain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sult indicates that based on the milled rice, heading time and harvest time, a medium maturing cultivar (Haiami and Samdeog) would be applicable to a winter barley/wheat, garlic/onion-summer rice double cropping, while a mid-late cultivar (Saeilmi, Saenuri and Hyunpoom) would be suitable for a spring potato/waxy corn-summer rice double cropping in the Yeongnam plain area. On the other hand, an early maturing cultivar (Unkwang, Jokwang and Haedamssal) would be preferable for a triple cropping because of the short growth period of rice.

냉수관개가 벼 생육, 수량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d Water Irrigation on the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in rice)

  • 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54-559
    • /
    • 1993
  • 냉수관개가 벼 생육특성, 수량 및 미질관련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작물시험장 춘천출장소 냉수처리포장에서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수구에서는 자연구에 비하여 출수가 10~19일 지연되었고 간장과 수장은 17~31% 단축되었다. 수수는 일정한 경향이 없으며 품종간에 반응이 상리하였다. 2. 냉수구에서 영화수는 이삭당 10~35개가 감소되었고 등숙률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정조수량은 오대벼 치악벼등이 높은 수량을 나타낸 반면에 백암벼 소백벼 진미벼등은 낮은 수량을 보였다. 고중은 공시품종 모두 냉수구에서 높았다. 3. 현미 완전미율은 냉수구와 자연구간에 일정한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품종간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고, 청미율은 자연구에서 많은 경향이며 연색미는 냉수구에서 월등히 높았다. 4. 백미 투명도및 알칼리 붕괴도는 수구쪽에서 높은 경향이며, 아밀로스 함량은 자연구에서 높았다.

  • PDF

대맥의 주요생태 및 수량구성형질 연구 I. 파종기 이동에 따른 대맥주요품종의 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의 변이 (Effect of Major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Barley I. Variations of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n Different Seeding Dates)

  • 류용환;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4-92
    • /
    • 1985
  • 보리품종 강보리, 올보리 및 수원 18호를 공시하여 파종기를 달리하였을때의 생육시기별 주요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의 변이에 관한 일련의 시험을 수행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연차 및 파종기에 따라 7 $\pm$ 1 ~ 22 $\pm$ 7 일의 변이를 보였으며, 일평균 지중5cm의 온도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유수는 파종기에 관계없이 영화분화후기(X기)를 기점으로 급신장하여 출수기를 전후하여 완료하였는데 신장정도는 연차나 품종간 차이보다는 파종기의 조만이 더 크게 영향하였다. 3. 절간은 소수분화후기~영화분화전기에 걸쳐 신장을 개시하여 기부절간에서 상부절간에 이르는 단계적인 신장양상을 보였고 상부절간일수록 신장량도 많았다. 4. 초장의 중장에 따른 유수 및 절간의 신장경과는 초장이 20cm전후에서 유수장은 0.69~0.74mm이고 하부의 제4,5절간이 신장을 시작하였으며, 40cm에서 유수장은 10.2~18.6mm였으며 이때 전체절간의 신장양상을 보였다. 5. 수량구성요소인 수수는 파종기, 품종 및 연차의 순으로 영향하는 정도가 큰데 비하여 일수입수와 천립중은 연차, 품종 및 파종기의 순으로 이들 요소의 제한요인이 상이하였다. 6. 수량은 연차나 품종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종기차이에서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한국 재래 적미 수집 및 특성 검정 VI. 질소시비량에 따른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Red Rices VI. Nitrogen Response on Yield and Its Components)

  • 하운구;서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4-138
    • /
    • 1993
  • 한국에서 수집된 장, 단입형 적미 각각 4계통과 삼강벼와 섬진벼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질소수준을 0, 7.5, 15.0, 22.5kg/10a 등 4수준으로 하여 수량구성 요소와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미의 수수와 이삭당 영화수는 질소수준이 0-22.5kg/10a으로 증가함에 따라 대조품종과 같은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2. 장입형 적미의 천입종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던 반면 대조품종인 삼강벼는 증가하였다. 단입형 적미와 대조품종인 섬진벼의 천입중은 질소 시비량 증가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3. 질소 시비량이 22.5kg/10a까지 증가함에 따라 장입형 적미의 수량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단입형 적미는 7.5kg/10a까지는 증가하나 그 이상의 질소 수준에서는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

  • PDF

Effect of different transplanting and harvest times on yield and quality of pigmented rice cultivars in the Yeongnam plain area

  • Kim, Sang-Yeol;Han, Sang-Ik;Oh, Seong-Hwan;Seo, Jong-Ho;Yi, Hwi-Jong;Hwang, Jung-Dong;Choi, Won-Yeong;Oh, Myung-Kyu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330-339
    • /
    • 2016
  • The effect of transplanting and harvest timing was evaluated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pigmented rice in the Yeongnam plain area. Rice was transplanted on June $2^{nd}$ and $14^{th}$ and harvested between 35 - 55 days after panicle heading at 5 - day intervals. Three black- and 3 red-pigmented rice cultivars (such as early cultivar : Josengheugchal, Jeogjinju; medium cultivar : Heugseol, Hongjinju; and mid-late cultivar : Sintoheugmi, Geongganghongmi) were studied. Yield components like spikelet number, ripened grain ratio, and 1,000 - grain weight of the black- and red-pigmented rice cultivars were similar for both the June 2 and June 14 transplantings but panicle number per $m^2$ was higher for the June 14 transplanting than for June 2. This contributed to a higher brown rice yield for the June 14 transplanting, by 6 - 19% for black-pigmented rice, and by 10 - 21% for red-pigmented rice than the yield for the June 2 transplanting. Total anthocyanin and polyphenol productions of the pigmented rice were also higher in the June 14 transplanting than that in the June 2 transplanting due to high brown rice yield. Based on the combined pigmented brown rice yield, we concluded that the optimal harvest timing would be 40 - 45 days after panicle heading (DAH) for the black-pigmented rice and 45 - 50 DAH for the red-pigmented rice. This study suggests that optimum transplanting and harvest timings play an important role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pigmented rice in the Yeongnam plain area.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can Control Weed and Increase Grain Yield in Organic Rice Culture

  • Yan, Yong-Feng;Fu, Jin-Dong;Lee, Byun-Woo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79-85
    • /
    • 2007
  • Rice bran application just after transplanting has been increasingly practiced as an herbicide-substitute for organic rice production in Korea. However, this practice is frequently reported to be unsatisfactory in weed suppression. An experiment with five treatments that combines flooding depth, rice bran application dose, and herbicide treatment was done in the paddy field to evaluate whether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can lead to a successful weed control in compensation for the single practice of rice bran application. Rice bran was broadcasted on the flood water surface just after deep flooding of 8 to 10cm that was started at seven days after transplanting. In the shallow flooding plot without herbicide six weed species were recorded: Monochoria vaginalis, Echinochloa crus-galli, Ludvigia prostrate, Cyperus amuricus, Aneima keisak, and Bidens tripartite. Among the first four dominant weed species, deep flooding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occurrence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Cyperus amuricus while did not suppress the occurrence of Monochoria vaginalis and Ludwigia prostrate. On the contrary,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suppressed significantly Monochoria vaginalis and Ludwigia prostrate while didn't exert an additional suppression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Cyperus amuricus compared to deep flooding alone. Rice bran application and deep flooding suppressed complimentarily all the six weed species to a satisfactory extent except for Monochoria vaginalis of which suppression efficacy was 31.9%. Deep flooding reduced the panicle number substantially by inhibiting the tiller production, increased the spikelet number per panicle slightly, and leaded to a lower rice grain yield compared to shallow flooding with herbicide.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mitigated the panicle reduction due to deep flooding, increased the spikelets per panicle significantly, and thus produced even higher grain yield in the rice bran application of 2000kg $ha^{-1}$ as compared to the shallow flooding treatment with herbicide. In conclusion, this practice applying rice bran under deep flooding would be promising to be incorporated as an integral practice for an organic rice farming system.

  • PDF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처리(處理)가 벼(Oryza sativa L.) 냉해경감(冷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in Minimizing Low Temperature Stress in Rice(Oryza sativa L.))

  • 윤종연;이상철;최장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43-54
    • /
    • 1993
  • 본(本) 실험(實驗)은 벼에 있어서 냉해(冷害)로 인(因)하여 매년(每年) 막대한 수확량(收穫量)의 감소(減少)를 생육시기별(生有時期別)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處理)에 의한 재배적(栽培的) 방법(方法)을 통하여 그 피해(被害)를 감소(減少)시키고,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에 대한 벼의 생리학적(生理學的) 활동(活動)과 농업적(農業的) 특성(特性),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근활력(根活力), Chlorophyll 함량(含量) 등(等)의 변화(變化)를 통하여 수확량(收穫量)에 관계(關係)는 요소(要素)를 규명(糾明)하고, 벼 재배(栽培) 방법(力法)에 있어서 기초(基礎) 자료(資科)로써 이용(利用)하고자 실시(實施)하여 얻은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저온(低溫)조건하에서 처리(處理)된 모든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는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초장(草長), 분니 등의 벼 생유지연(生有遲延)을 다소 경감(輕減)시켰으며, 특(特)히 ABA는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초장(草長), 분니수등에 있어서 다른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보다 그 효과(效果)가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온(低溫) 조건하(條件下)에서의 chlorophyll함량(含量)은 무처리구(無處理品)에 비하여 감소(減少)되나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를 처리(處理)함으로써 Chlorophyll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고, 또한 근활력(根活力)도 chlorophyll함량(含量)과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생육(生有) 초기(初期)의 생장(生長) 조절제(調節劑)의 처리(處理)는 수량(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의 감소(減少)를 경감(輕減)시켜 주었으며, 이는 수량(收量)에 직후(直接) 영향(影響)을 미쳐 냉해(冷害)로 인(因)한 수량감소(收量減少)를 경향(經向)시켰으며, 특(特)히 Abscissic acid처리(處理)의 효과(效果)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온하(低溫下)에서 수잉기때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處理)는 영양생장(營養生長)에 별다른 효과(效果)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는 다소 영향(影響)을 미쳐 수량(收量)에 관여(關與)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조건하(低溫條件下)에서의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의 처리(處理)는 처리시기(處理時期)에 따라 다소 차이(差異)가 있지만 수량손실(收量損失) 경감(輕減)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한국산(韓國産) 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수집종(蒐集種)의 잡초생태학적(雜草生態學的) 분류(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第)II보(報) 다변량(多變量) 해석법(解析法)에 의한 수집종(蒐集種) 피의 분류(分類) (Weed-Ec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L.) Beauv.] in Korea - II. Classification of collected barnyardgrass in growth pattern by multivariate clustering)

  • 임일빈;구자옥;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
    • /
    • 1989
  • 1986년(年)에 전국적(全國的)으로 수집(蒐集)한 피 [E. crus-galli(L.) Beauv.]를 '87년(年)에 2회(回)에 걸쳐 증식(增殖) 및 선발(選拔)하였으며, 선정(選定)된 강피 6종(種)과 피 17종(種)을 '88년(年)에 공시(供試)하였다. 시험(試驗)은 PE film house 내(內)의 1/5000a의 Wagner pot에 의하여 수행(遂行)되었으며, 피 수집종(蒐集種짧)에 대한 잡초(雜草)로서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파악(把握)할 목적(目的)으로 이루어졌다. (1) 초형관련형질(草型關聯形質) 가운데서도 초장(草長), 최고분얼수(最高分蘖數), 입형(立型), 간장(稈長) 및 수형(穗型)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5개군(個群)으로의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2) 종(種) 식별형질(識別形質) 가운데서는 색깔 유무(有無), 제(第) 1 포영형태(苞潁形態), 입상(立狀) 등에 의하여 3 집단군(集團群)과 2 단독군(單獨群)의 분류(分類)가 되었다. (3) 신장관련형질(伸長關聯形質) 가운데서는 초장(草長), 간장(稈長), 수장(穗長), 엽장(葉長), 엽폭(葉幅), 절간장(節間長) 및 소수장(小穗長)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4 개(個) 집단군(集團群)으로 종(種) 특이성(特異性)을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4) 생장량형질(生長量形質) 가운데서는 초장(草長), 간장(稈長), 수장(穗長), 절간장(節間長), 엽초장, 분얼수(分蘖數), 수수(穗數), 소수장(小穗長), 제(第) 1 포영장(苞潁長), 과장(果長) 및 과중(果重)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4개(個) 집단군(集團群)과 1개(個) 단독군(單獨群)으로의 분류(分類)가 되었다. (5) 생장속도관련형질(生長速度關聯形質) 중(中)에서는 일당(日當)의 초장신장속도(草長伸長速度)(유묘(幼苗) 및 성묘(成苗)), 건물중증가속도(乾物重增加速度), 분얼수증가속도(分蘖數增加速度) 및 초장대건중비(草長對乾重比)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4개(個) 집단군(集團群)과 1개(個) 단독군(單獨群)으로 분류(分類)될 수 있었다. (6) 유묘생장관련형질(幼苗生長關聯形質) 가운데서는 치묘(稚苗)의 제(第) 1 엽장폭(葉長幅),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건물중(乾物重)과 중묘(中苗)힘의 초장(草長) 및 분얼수(分蘖數)에 의하여 4개(個)의 특이유형집단분류(特異類型集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7) 파종기(播種期) 차이(差異)에 따라 출수기(出穗期)가 달라지므로써 어느 경우에나 빠른 감온성군(感溫性群)과 늦고 일정(一定)한 감광성군(感光性群) 및 중간현군(中間型群)의 구별(區別)이 가능(可能)하였다. (8) 양적(量的) 및 질적형질(質的形質)의 종합분석결과(綜合分析結果), 종적생장(縱的生長)이나 횡적생장습성(橫的生長習性), 체색유뮤(體色有無) 및 잎형(立型)에 의하여 4개(個)의 집단군(集團群)과 2개(個)의 단독군(單獨群)으로 분류(分類)가 되었다.

  • PDF

온도 상승 조건이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Air Temperature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 이규종;뉴안덕;최덕환;반호영;이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6-164
    • /
    • 2015
  •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미래의 고온 환경은 벼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벼 생산성의 신뢰성 있는 영향평가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고온 환경에서의 벼의 수량과 수량 구성 요소의 반응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은 1/5000a 와그너 포트를 이용하여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서울대학교 부속실험농장($37^{\circ}16^{\prime}N$, $128^{\circ}59^{\prime}E$)의 온도조절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실시되었다. 2008년에는 자포니카계의 화성벼를 공시품종으로 이용하였으며, 시비수준을 $120kg\;N\;ha^{-1}$$180kg\;N\;ha^{-1}$로 하였다. 온도처리는 대기온도, 대기온도 대비 $+1.5^{\circ}C$, $+3.0^{\circ}C$의 세 수준으로 하였다. 2009년에는 화성벼와 통일계의 다산벼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120kg\;N\;ha^{-1}$ 수준으로 시비하였다. 온도처리는 대기온도, 대기온도 대비 $+1.5^{\circ}C$, $+3.0^{\circ}C$$+5.0^{\circ}C$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의 온도처리에 따른 영향은 품종별로 상이한 반응을 보였다. 이삭수와 이삭당 영화수는 두 품종 모두 온도처리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천립중과 등숙률에 대해 화성벼는 $5.0^{\circ}C$, 다산벼는 $1.5^{\circ}C$ 이상의 온도처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포트당 수량은 화성벼의 경우 $5.0^{\circ}C$, 다산벼는 $3.0^{\circ}C$$5.0^{\circ}C$ 온도처리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등숙기간 동안의 평균기온에 대한 천립중과 등숙률 반응 또한 품종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다산벼의 경우 $23^{\circ}C$ 이상의 평균 온도에 대해 등숙률과 천립중이 급격히 감소한데 반해, 화성벼는 $23^{\circ}C$부터 $27^{\circ}C$ 범위에 대해 등숙률과 천립중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기후변화에 의한 지속적인 기온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온도상승에 따른 등숙률과 천립중의 감소는 미래 기후 환경에서의 벼의 수량 감소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예측된다. 다만, 상승된 기온에 대한 벼의 반응은 품종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고온에 둔감한 품종의 도입 또는 그러한 특성을 지닌 품종의 육종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수량 감소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봄철 저온장해가 맥류 수량에 미치는 영향 (Spring Freezing Injuries and Their Effects on Yield of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Wheat (Triticum aestivum L.))

  • 구본철;박문웅;김기준;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7-28
    • /
    • 2007
  • 비닐피복을 이용, 보리, 밀 품종의 봄철 저온장해의 대규모 유도와 품종간 차이로 선발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포장의 비닐 피복을 이용한 저온처리시험을 실시하였다. 저온에 대해 보리, 밀 모두 가장 민감한 생육시기는 수잉기였고 영화 분화기 > 화기발육기 순이었다. 같은 생육정도라도 맥종간 장해정도에 차이를 보였는데 보리, 밀 각각 고사이삭비율 28%, 59%, 고사개체비율 10%, 44%, 퇴화이삭비율 18%, 44%였다. 저온장해 저항성 품종은 없었으나 품종간 장해 정도는 차이를 보여 보리에서는 찰보리가, 밀에서는 그루밀, 조광밀 등이 안정적인 수량을 보였다. 저온스트레스는 수량구성요소중 주로 수수와 일수립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리품종중 수원 259호와 강보리 수량이 수수와 밀접한 상관을 보였으나 일수립수와는 상관이 없었다. 밀은 대부분의 품종들이 세 시기 모두 수수와 밀접한 상관을 보였고 생육이 진전된 시기에는 일수립수와도 상관을 보였다. 저온장해에 대한 유전자형을 구분하기 위해 포장에서 비닐피복이라는 간단한 처리에 의해 저온저항성 품종이나 계통의 선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시험기간의 $2{\sim}4$월의 저온내습일수와 온도하강 정도에 변이가 있어 최소 2년 정도의 검정기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