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ech sound development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2초

의사소통장애인의 조음치료를 위한 한국형 전자구개도의 구현 (Preliminary study of Korean Electro-palatography (EPG) for Articulation Treatment of Person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우승탁;박영빈;오다희;하지완
    • 센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99-304
    • /
    • 2019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medical technology has resulted in an increased interest in speech therapy equipment. In particular, research on articulation therapy for communication disorder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Existing method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eech disorders have many limitations, such as traditional tactile perception tests and methods based on empirical judgment of speech therapists. Moreover, the position and tension of the tongue are key factors of speech disorders with regards to articulation. Thi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distinction of Korean characters such as lax,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Korean electropalatography (EPG) system to easily measure and monitor the position and tension of the tongue in articulation treatment and diagnosis. In the proposed EPG system, a sensor was fabricated using an AgCl electrode and biocompatible silicon. Furthermore, the measured signal was analyzed by implementing the bio-signal processing module and monitoring program. In particular, the bio-signal was measured by inserting it into the palatal from an experimental control group.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applied to clinical treatment in speech therapy.

청각 자극용 전기자극기 개발 (Development of Electrical Stimulator for Auditory Stimulation)

  • 허승덕;정동근;김리석;김광년;강명구;김재룡;김기련
    •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201-211
    • /
    • 2004
  • This paper introduces a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timulator for auditory stimulation. The electrical stimulator is useful in neurotological diagnosis, audiological evaluation, candidate selection for cochlear implantation, optimal device selection and decision making of MAP strategy for severe-to-profound hearing impaired persons. The development was based on sound parameters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nd auditory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 such as effective firing of auditory nerve and recording evoked potentials during refractory period of neuron. Besides pulse parameter could adjustable by programming for more varied electrical stimulation evoked response audiometry. Using the electrical stimulator, electrical square pulse was applied to promontory, and electrically evok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nd electrically middle latency response were successfully recorded in cats.

  • PDF

심한 소음환경에서 언어장애인 음성 인식률 향상을 위한 단어선정 방법 및 장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d Selection Method and Device Improvement for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Rate of Speech-Language-impaired in Severe Noise Environment)

  • 양기웅;이형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555-567
    • /
    • 2019
  • 언어장애인, 언어 사용이 불편한 분들의 경우 조금의 잡음 환경에도 음성인식률이 저하되어 사회 생활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언어 사용 시 불편함을 장치로 개선시킴과 동시에, 언어 장애인의 발음 특성을 고려하여 단어 선정 시 자체 개선한 단어 선정 방법을 사용하여 280개 단어를 선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MEMS 개발 장치는 재질, 유도선 종류, 길이, 방향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며 잘못된 발음으로 인한 음성과 심한 소음에서 음성 인식률 향상을 위하여 개발된 MEMS 장치와 개발된 단어 선정 방법을 사용하여 개선시켰다. 개선 방법으론 새로운 단어 선정 방법과 mems 장치를 개선하여 진행하였으며 결과를 포함하였다.

한국어 음운체계를 고려한 화자적응 실시간 단모음인식에 관한 연구 (Speaker Adapted Real-time Dialogue Speech Recognition Considering Korean Vocal Sound System)

  • 황선민;윤한경;송복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01-207
    • /
    • 2013
  •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발전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과 차량의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정보기기에서의 적용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음성인식 연구에서 한국어의 음운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것도 현실이다. 디지털 콘텐츠에서 일반적으로 립 싱크의 제작은 애니메이터의 수작업을 반드시 필요로 하며, 이는 시간의 투입을 요하는 지루한 작업이다. 립 싱크를 자동 생성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도 하나 반드시 수작업으로 수정과 보정 단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영어 기반으로 제작된 립 싱크 자동생성 소프트웨어를 적용하므로 한국어 음운체계가 달라 자연스러운 립 싱크를 얻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운체계를 고려한 가상 오브젝트들의 립 싱크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화자 독립 기반 한국어 단모음 실시간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을 목표로 하며, 그 인식 결과는 립 싱크의 애니메이션 키로 활용하고자 한다.

독립적인 센서쌍 배열에 기반한 음원 위치추정 기법 (Source Localization Based on Independent Doublet Array)

  • 최영두;이호진;윤경식;이균경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164-17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독립적인 센서쌍 배열(Doublet Array)을 이용하여 근거리 단일 음원의 방위와 거리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방위각 추정 기법의 경우 주로 선형 배열 (Uniform Linear Array) 혹은 환영 배열 (Uniform Ciucular Array) 등을 이용하나 배열 구조상 근거리 음원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개구간(Aperture)을 확보하는데 제약이 있다. 최근 독립적인 센서쌍 배열을 이용하여 넓은 개구간으로 근거리 단일 음원의 방위와 거리를 추정하는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센서쌍이 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로 제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일반화 하여 다양한 배열 구조에서도 근거리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서브밴드 필터 뱅크를 이용한 강인한 음원 추적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obust Sound Localization System Using Subband Filter Bank)

  • 박규식;박재현;온승엽;오상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42
    • /
    • 2001
  • 본 연구는 폐쇄된 사무 공간상에서 2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발생한 음성 및 음향의 방향성 (방향각)을 추적하는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ubband CPSP (Cross Power Spectrum Phase) 알고리듬은 기존의 CPSP 알고리듬을 개선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폰에 수신된 2개의 입력 신호에 대해 서브밴드 필터 뱅크를 이 용하여 대역 분할하고 각 서브밴드 대역에서 구해지는 대역별 CPSP 결과의 평균값을 제공한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 분할방식은 잡음의 영향을 각 대역으로 한정 분산시켜 사무 공간내 잡음의 영향을 각 대역으로 한정하여 음원의 방향각 계산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다 강인하고 정확한 음원 추적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의 CPSP 와 Subband CPSP 알고리듬의 실시간 음원 추적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된 Subband CPSP가 CPSP에 비해 평균 5% 이상의 성능 향상을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마찰음에 나타난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Acoustic Pho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ricative Sounds Pronounced by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 김윤하;김은연;장승진;최예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73-79
    • /
    • 2014
  • Alveolar fricative sounds /s/ and /s'/ are learned last for normal children in the speech development process for Koreans. These are especially difficult to articulate for hearing-impaired children often causing articulation errors. The acoustic phonetic evaluation uses testing tools to provide indirect and object information. These objective resources can be compared with standardized resources on speech when interpreting the results of a test.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in Korea did not consider acoustic studies that used the spectrum moment value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impaired children's pronunciation of fricative sounds using spectrum moment valu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a total of 10 hearing-impaired children (5 boys and 5 girls) currently in 3rd or 5th grade and attending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or Gyeonggi-do. For the selection process, their age, type of hearing aid, implantation of hearing aid (CI) before two years of age, hearing capacity (dB)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hearing aid, duration of speech rehabilitation, and time of learning alveolar fricative sounds were all considered. Also, 10 normal children (5 boys and 5 girls) were selected among 3rd or 5th grade students attending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or Gyeonggi-do.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carrier sentence, "I say _______," including a list of 12 meaningless syllables composed of CV and VCV syllables, including alveolar fricative sounds /s/ and /s'/ and vowels /a/, /i/, and /u/. The recorded resources were processed through the Time-frequency Analysis Software Program to measure M1 (mean), M2 (variance), M3 (skewness), and M4 (kurtosis) of the fricative noi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en comparing spectrum threshold values in the acoustic phonetic characteristic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alveolar fricative sound pronunciation according to vowels /a/, /i/, and /u/, alveolar fricative sounds /s/ and /s'/, and syllable structure (CV, VCV) other than, for M3 in the comparison of groups according to disability. In the comparison of syllable structur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1, M2, M3, and M4 with clinical significa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when comparing the alveolar fricative sounds according to the vowels.

학령 전기 경도 및 중등고도 대칭성 고음급추형 감각신경성 난청의 청각학적 평가 해석 증례 (A Case of Interpretation for Audiological Evaluation in Preschool Child with Mild-to-Moderately Severe Asymmetric Ski-Slop Sensorineural Hearing Loss)

  • 김나연;소원섭;하지완;허승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4
    • /
    • 2017
  • 학령 전기 아동은 옹알이 단계부터 8세까지 모국어의 음운 체계를 습득하고 정상적으로 산출한다. 이 시기 청력손실은 외부 소리 자극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청각적 수용의 문제는 언어 습득 및 발달을 지체시키고, 의사소통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외에도 학습, 사회성, 정서 발달 등에도 영향을 준다. 청력 손실은 조기 선별과 진단 및 중재가 중요하다. 그러나 그 정도가 낮거나 특정 음역에 국한된 경우 발견이 어려울 수 있고, 발견하더라도 재활 중재로 연결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학령 전기 아동에서 나타난 경도 및 중등고도 대칭성 고음급추형 감각신경성 난청의 사례를 청각학적 평가 결과 해석과 함께 의사소통 관련 문제를 분석하고, 청각 언어병리학적 재활 방향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및 음운인식 능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Working Memory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betwee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박유린;권도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25-5032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과 음운인식능력이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D시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1~3학년에 재학중인 다문화 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이었다. 작업기억을 검사하기 위하여 K-TTFC-2를 실시하였고, 음운인식능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아동들의 연령을 고려하여 음소수준의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식능력 중에서 음소 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아동과 일반아동의 하위과제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음 짝짓기(어중 종성), 단음절 단어에서 중성 대치하기, 음 전환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아동의 음운 및 작업기억 결과를 고려한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 유아 대상의 체감형 게임 설계 : 신체 놀이 활동 중심 (Interactive Game Designed for Early Child using Multimedia Interface : Physical Activities)

  • 원혜민;이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6-12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유아를 위한 체감형 게임 개발에 필요한 요소로 콘텐츠, 디자인, 음향, 동작인식, 음성인식 기술을 제안하였다. 유아용 체감형 게임은 유아의 감성에 맞춘 교육적 요구가 반영된 콘텐츠와 밝고 친근감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디자인 요소들이 반영되어야 하고 유아가 친숙하고도 쉽게 게임을 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는 배경음악과 설명 대사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만약 동작 인식과 음성인식 시스템을 유아용 체감형 게임에 사용할 경우 게임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동작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사용해 인식률을 높여야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피부색과 유아 신체 모델을 사용하여 유아의 얼굴과 손을 인식한 후 그 위치를 고려하여 유아의 동작을 인식하였고 유아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해 신경망을 이용한 음성인식 기술을 게임에 적용해 신체 놀이 중심 활동의 줄넘기 게임인 '신나게 폴짝'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