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aking

검색결과 1,195건 처리시간 0.039초

A Study of Apology Strategies between Genders in EFL College Students

  • Shim, Jae-Hwa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225-243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different speech act of apology strategies between male and female EFL college students by comparing the components of intensity, stylistic competence, and semantic formula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7 participants who were studying freshmen English reading course at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of C University in Seoul. Most students were English majors taking pre-teacher course of teaching English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ender groups of male and female.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which was revised from the speech act of apology by Olshtain and Cohen (1990) was provided with the participants after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speech act of apology in ten situations. The speech act of apology depends on situation variables: social solidarity, severity of offense, and social statu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preference of intensity, male and female have almost the similar ratio in high (female: 24.7%, male 24%) and low intensity (female: 75.3%, male: 76%). In the use of stylistic competence, male group (21%) expresses more diversely formal features than female group (12%), while female (87%) use more informal features than male (66%). Most of participants show a limitation in the use of speaking four types of semantic formulas: expression of apology (APOL), acknowledgment of responsibility (RESP), offer of repair (REPR), and promise of forbearance (FORB). As nonnative speakers, the participants cannot conduct the semantic formula in some situations regardless of the tasks provided. The results suggest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recognize pragmatic variations in which students feel difficulty in appropriate speaking strategies on apology. This study also contributes to teaching learners the strategies and speaking patterns in the course of various apology situations.

  • PDF

한국어 숫자음의 음운변화 및 화자 발성특성을 고려한 연결숫자 인식의 성능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nnected Digit Recognition by Considering Phonemic Variations in Korean Digit and Speaking Styles)

  • 송명규;김형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1-406
    • /
    • 2002
  • 한국어 숫자는 모두 단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속적으로 발음될 때 인접 숫자들의 상호조음현상에 의해 각 숫자의 고유 발음이 변화하고, 또한 그 숫자들의 경계도 모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과 더불어 배경잡음이나 채널에 의한 왜곡에 따른 문제점들로 인해 한국어 연결숫자의 인식 성능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결숫자의 인식성능 향상을 위해서 한국어 숫자들의 음운변화를 고려하여 유사음소 (phonelike units: PLUs)군을 정의하고, 사용자의 여러 가지 발성형태에 따른 다양한 음운 현상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도록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전화망 4연숫자를 이용한 화자독립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방법의 숫자열 인식률은 상태당 믹스쳐 (mixture) 개수가 1인 경우 83.2%로, 기준 시스템 (baseline)에 대한 오류감소률이 7.2%였고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낸 믹스쳐 개수가 11인 경우 숫자열 인식률은 91.8% 오류감소율은 4.7%였다.

Associ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 activity restriction and oral health

  • Jung, Yu 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87-193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전신질환의 활동제한과 구강건강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남자 2,574명, 여자 3,250명전체성인 5,82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구강건강의 씹기와 말하기 문제가 있을 때 성인의 전신질환 활동제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주질환 치료, 발치 및 구강 내 소수술, 보철물 제작·수리의 치과치료를 받았을 때 전신질환의 활동제한이 유의미하게 높았다(p<.001). 전신질환으로 인한 활동제한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1.03배), 남자(0.84배), 교육수준(0.57, 0.45, 0.31배), 음주(0.32배), 씹기(1.86배)와 말하기(1.84배)문제, 치주질환 치료(1.27배), 부러진 치아치료(2.1배)를 받았을 때 전신질환의 활동제한이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씹기와 말하기 문제가 있을 때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in Persian-Speaking Students Who Received Cochlear Implant and/or Hearing Aid

  • Zamani, Peyman;Soleymani, Zahra;Rashedi, Vahid;Farahani, Farhad;Lotfi, Gohar;Rezaei, Mohammad
    •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 /
    • 제11권4호
    • /
    • pp.250-258
    • /
    • 2018
  • Objectives. To compare narrative skills between fourth and fifth grades of Persian-speaking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typical hearing students of the same grade and also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oup, sex, hearing age, and educational grade of the students on their spoken/written narrative performance. Methods. The subjects were 174 students aged 10-13 years, 54 of whom wore cochlear implants, 60 suffered from moderate to severe hearing losses and wore hearing aids, with the remaining 60 students being typical hearing in terms of the sense of hearing. The micro- and macrostructure components of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were elicited from a pictorial story (The Playful Little Elephant) and then scored by raters. Results. Compared to the typical hearing,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all of the microstructure components of narratives. However, the finding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groups in macrostructure components of narrative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had equal performance in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Finally, factor analysis manifested that group, sex, hearing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children might alter the outcome measures in various interactions. Conclusion. Although cochlear implant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hearing aid on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skills, the Persian-speaking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seen to need additional trainings on microstructure components of spoken/written narrative.

The acoustic cue-weighting and the L2 production-perception link: A case of English-speaking adults' learning of Korean stops

  • Kong, Eun Jong;Kang, Soyoung;Seo, Misun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1-9
    • /
    • 2022
  • The current study examined English-speaking adult learners'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L2 Korean stops (/t/ or /t'/ or /th/) to investigate whether the two modalities are linked in utilizing voice onset time (VOT) and fundamental frequency (F0) for the L2 sound distinction and how the learners' L2 profici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Twenty-two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word-reading task of producing stop-initial words and the identification task of labelling CV stimuli synthesized to vary VOT and F0. Using logistic mixed-effects regression models, we quantified group- and individual-level weights of the VOT and F0 cues in differentiating the tense-lax, lax-aspirated, and tense-aspirated stops in Kore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ers as a group relied on VOT more than F0 both in production and perception (except the tense-lax pair), reflecting the dominant role of VOT in their L1 stop distinction. Individual-level analyses further revealed that the learners' L2 proficiency was related to their use of F0 in L2 production and their use of VOT in L2 perception. With this effect of L2 proficiency controlled in the partial correlation tests, we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using VOT and F0 for the lax-aspirated stop contrast. However, the same correlation was absent for the other stop pairs. We discuss a contrast-specific role of acoustic cues to address the non-uniform patterns of the production-perception link in the L2 sound learning context.

대사를 생명력 있게 만드는 멘탈 이미지의 하위양식 (Sub-modality of Mental Images to Make lines Alive)

  • 최정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19-129
    • /
    • 2019
  • 연기교육에서 기존의 화술교육은 장단음 찾기, 자음과 모음의 조음연습, 딕션연습 등 대사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으로 대사가 말처럼 살아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사가 살아나는 순간은 배우가 대사를 말하는 사이 단어 이면의 멘탈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보는 순간이다. 필자는 뇌과학 분야에서 인지뇌과학과 NLP (Neural Linguistic Programing)의 지식을 빌려와 멘탈 이미지가 무엇인지, 왜 멘탈 이미지가 생각과 감정의 기본 요소인지를 추적한다. 또한, 멘탈 이미지를 섬세하게 떠올리는 과정(하위양식)에서 신체의 근육들이 어떻게 반응하게 되고, 그 반응하는 근육들을 이용해 어떻게 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의 말하기 재료들(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이 살아나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화술교육에서 왜 멘탈 이미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지를 증명한다. 결론에서는 멘탈 이미지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배우가 만나게 되는 장애물에 대해 열거하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호흡의 활성화'를 후속논문으로 계획한다.

대화형 Teachable Agent를 이용한 영어말하기학습 시스템 (An interactive teachable agent system for EFL learners )

  • 이경아;임순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97-802
    • /
    • 2023
  • 영어가 외국어로서 사용되는 환경에서 영어 말하기 연습 활동에 AI 음성 챗봇을 사용했을 때 영어학습자들은 발화 동기가 높아지고 의사소통 연습의 기회가 많아져 결과적으로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저학년의 경우에도 쉽게 활용 가능하고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르치기 방식의 AI 음성 챗봇을 제안한다. 시제와 맥락과 기억에 기반한 활동인 언어학습에 Teachable Agent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Teachable Agent에 학습자의 영어 발음과 수준을 반영하고, 학습자 오류에 맞추어 에이전트의 답변을 생성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TA를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Teachable Agent AI 챗봇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실제 초등 영어 선생님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학습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역할 전환을 통해 학습에 흥미가 없는 학생 또는 초등 저학년들이 학습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할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다.

전문 음성사용자와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주관적 음성증상 비교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symptoms in elite vocal performers and professional voice users)

  • 김지성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27-34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직업에 따라 요구되는 음성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 음성 사용자인 직업배우와 직업적 음성사용자인 언어재활사의 주관적 음성증상을 조사하여 그 빈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주관적 음성증상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은 동일하게 11개의 증상 중 '노래 시 고음발성 곤란', '말할 때 목에 힘이 들어감', '음성피로감'이 고빈도 증상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주관적 음성증상을 비교한 결과 직업적 음성사용자 집단은 전문 음성사용자 집단에 비해 '노래 시 저음발성 곤란(p=.049)', '쉰 목소리(p=.021)', '말할 때 힘이 듦(p=.032)', '말할 때 목에 통증이 있음(p=.009)', '음성피로감(p=.018)'의 빈도가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집단의 음성사용 환경이 다르고, 직업활동 시 요구되는 발성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대학생의 과업녹음활동에 대한 태도연구 : 토익스피킹 시험을 기반으로 (Korean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 a Task Recording Activity : Based on the TOEIC Speaking Test)

  • 임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50-55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자가학습을 기반으로 한 활동을 소개 적용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충청도 권에 위치한 A 대학교에서 실시하였으며, 총 28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과업녹음활동은 McCormick과 Vercellotti(2013), Stillwell, Curabba, Alexander, Kidd, Kim, Stone과 Wyle(2010)의 활동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였다[14][19]. 과업녹음활동의 3단계는 준비단계, 과업녹음활동단계, 그리고 평가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으로 설문지와 학생저널이 사용되었고, 질적으로 수집,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과업녹음활동은 의사소통 위주의 수업뿐만 아니라 시험기반의 토익스피킹수업에서도 적용가능하며, 학생들 또한 토익스피킹 과업 학습에 있어서 자가전사와 자가수정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시험기반의 수업에서 과업녹음활동은 학생들을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나아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영어능숙도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자가성찰 활동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학생들은 스스로의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북한의 2013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 교과서 구성 체제 비교 (A Comparison of Structural Organization of English Textbooks between Pre and Post North Korean 2013 Curriculum Revision)

  • 유희연;김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12-422
    • /
    • 2018
  • 본 연구는 북한 2013 개정 영어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최신의 교과서 중, 북한 자료 센터에 입수된 개정 전 대응 학년 교과서가 확보된 5종을 선정하여 개정 전과 개정 후 영어 교과서의 구성 체계를 비교하였다. 일반중학교 초급중3, 고급중2, 고급중3, 제1중학교 고급중1, 고급중 3 이렇게 5종을 선정하여 개정 전 교과서와 비교한 결과, 개정 후 교과서는 첫째, 외형과 삽입 그림에서 이전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전의 흑백의 소박한 교과서 구성을 벗어나 칼라로 인쇄되었다. 둘째, 머리말에 이전까지는 없었던 김정은에 대한 충성맹세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개정 전에는 읽기, 쓰기 기능에만 치중한 반면 개정 후에는 듣기, 말하기 기능을 포함한 영어의 4기능을 고루 강조하고 있다. 넷째, 개정 전 교과서는 학교급별로 통일성 없이 학년별로 서로 다른 활동 제목을 사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개정 후 교과서는 학교급별로 구성체계를 통일성 있게 따르고 있어 개정 전 보다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교과서가 되었다. 일반중학교 고급중 교과서는 단원별로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Grammar, Vocabulary, Pronunciation의 7가지 기능에 따라 활동이 제시되어 있고 제1중학교 고급중 교과서는 단원별로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English in Use 5가지 기능을 제시하고 활동을 제공한다. 다섯째, 체제 유지를 위한 사상적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내용을 담았고 영어를 통한 과학, 지리, 컴퓨터 등 다른 교과와의 내용 통합을 지향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 후 교과서에 참고도서의 명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변화이며 개정 전 보다 확연히 달라진 구성 체계는 참고 도서에 명시된 서양 교재와 매우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