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network

검색결과 1,688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빅데이터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토픽모형 분석 (Topic Model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Spatial Big Data)

  • 이원상;손소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4-73
    • /
    • 2015
  • Recent emergence of spatial big data attracts the attention of various research groups.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n spatial big data by text mining the related Scopus DB. We apply topic model and network analysis to the extracted abstracts of articles related to spatial big data. It was observed that optics, astronomy, and computer science are the major areas of spatial big data analysis. The major topics discovered from the articles are related to mobile/cloud/smart service of spatial big data in urban setting. Trends of discovered topics are provided over periods along with the results of topic network. We expect that uncovered areas of spatial big data research can be further explored.

중간 속도 규모를 이용한 바람장의 균질성 평가 및 영향요소 분석 (The assessment of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Wind Field using the Meso-velocity Scale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 이성은;신선희;하경자
    • 대기
    • /
    • 제20권3호
    • /
    • pp.343-353
    • /
    • 2010
  • A regional wind network with complex surface conditions must be designed with sufficient space and time resolution to resolve the local circulations. In this study,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 wind field observed in the Seoul and Jeju regional networks were evaluated in terms of annual, seasons, and months to assess the spatial homogeneity of wind fields within the regional networks. The coherency of the wind field as a function of separation distance between stations indicated that significant coherency was sometimes not captured by the network, as inferred by low correlations between adjacent stations. A meso-velocity scale was defined in terms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wind within the network. This problem is predictably most significant with weak winds, dull prevailing wind, clear skies and significant topography. The relatively small correlations between stations imply that the wind at a given point cannot be estimated by interpolating winds from the nearest stations. For the Seoul and Jeju regional network, the meso-velocity scale has typically a same order of magnitude as the speed of the network averaged wind, revealing the large spatial variability of the Jeju network station imply topography and weather. Significant scat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variability of the wind field and the wind speed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rmally-generated flows. The magnitude of the mesovelocity sca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long separation distance between stations, wind speed, intensity of prevailing wind, clear and cloudy conditions, topography. Resultant wind vectors indicate much different flow patterns along condition of contributing factors. As a result, the careful considerations on contributing factors such as prevailing wind in season, weather, and complex surface conditions with topography and land/sea contrast are required to assess the spatial variations of wind field on a regional network. The results in the spatial variation from the mesovelocity scale are useful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wind speed including lower surface conditions over the grid scale of large scale atmospheric model.

Subway Network Expansion and Spatial Restructuring of Accessibility in Seoul

  • Lee, Keum-Sook
    • 지역연구
    • /
    • 제11권2호
    • /
    • pp.53-63
    • /
    • 1995
  • Changes in transport are reflected in the accessibility of a place, which is denoted as the inherent 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a place with respect to overcoming spatial friction, and affect the land use ultimately. A composite accessibility measurement scheme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ubway network in Seoul, which has been constructed in 1972. Changes in the transport network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and affect ultimately the land use pattern. Therefore, it is of relevance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which allows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land use pattern.

  • PDF

지방자치단체의 공간 Data 활용 확대를 위한 Social Network Analysis의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for Expanding the use of Spatial Data in Local Government)

  • 김호용;이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80-91
    • /
    • 2008
  • UIS사업의 결과로 나온 공간데이터의 경우 막대한 비용투자에 비하여 활용의 정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공간데이터의 활용확대를 위하여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 및 공유체계의 확립을 위한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내에서 공간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공유체계확립과 공간데이터의 활용 확대를 위하여 사회연결망 분석 및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였으며 부산광역시 공간데이터 사용 공무원을 대상으로 분석결과 공간데이터의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에는 데이터 사용자들간의 태도 및 주변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비기술적 장애요인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의 제공위치에 따라 공간데이터 공유의 장애요인에 대하여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적 신념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쳐서 또 다른 비기술적 장애요인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데이터의 활용확대를 위하여 인간의 행동예측을 위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및 공간데이터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사회연결망분석을 실시하여 부서에 속한 담당자들의 인식 및 공유장애요인을 규명하고 데이터 활용 확대로 접근할 수 있는 윤곽을 제시하였다.

  • PDF

Data Sorting-based Adaptive Spatial Compress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Chen, Siguang;Liu, Jincheng;Wang, Kun;Sun, Zhixin;Zhao, Xueji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8호
    • /
    • pp.3641-3655
    • /
    • 2016
  •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provide a promising approach to monitor the physical environments, to prolong the network lifetime by exploiting the mutual correlation among sensor readings has become a research focus. In this paper, we design a hierarchical network framework which guarantees layered-compression. Meanwhile, a data sorting-based adaptive spatial compression scheme (DS-ASCS) is proposed to explore the spatial correlation among signals.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s and alleviates the network congestion. It also obtains high compression performance by sorting original sensor readings and selectively discarding the small coefficients in transformed matrix. Moreover, the compression ratio of this scheme vari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mong signals and the value of adaptive threshold, so the proposed scheme is adaptive to various deploying environments. Finall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energy of sorted data is more concentrated than the unsorted data, and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higher reconstruction precision and compression ratio as compared with other spatial compression schemes.

A Probabilistic Network for Facial Feature Verification

  • Choi, Kyoung-Ho;Yoo, Jae-Joon;Hwang, Tae-Hyun;Park, Jong-Hyun;Lee, Jong-Hoon
    • ETRI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40-143
    • /
    • 200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babilistic approach to determining whether extracted facial features from a video sequence are appropriate for creating a 3D face model. In our approach, the distance between two feature points selected from the MPEG-4 facial object is defined as a random variable for each node of a probability network. To avoid generating an unnatural or non-realistic 3D face model, automatically extracted 2D facial features from a video sequence are fed into the proposed probabilistic network before a corresponding 3D face model is buil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babilistic network can be used as a quality control agent to verify the correctness of extracted facial features.

  • PDF

Efficient Processing of All-farthest-neighbors Queries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 Cho, Hyung-Ju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466-1480
    • /
    • 2019
  • This paper addresses the efficient processing of all-farthest-neighbors (AFN) queries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Given a set of data points P={p1,p2,…,p|p|} in a spatial network, where the distance between two data points p and s, denoted by dist (p,s), is the length of the shortest path between them, an AFN query is defined as follows: find the farthest neighbor ω(p)∈P of each data point p such that dist(p,ω(p)) ≥ dist(p,s) for all s∈P. In this paper, we propose a shared execution algorithm called FAST (for All-Farthest-neighbors Search in spatial neTworks). Extensive experiments on real-world roadmaps confirm the efficiency and scalability of the FAST algorithm, while demonstrating a speedup of up to two orders of magnitude over a conventional solution.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 및 색인 구조의 설계 및 성능평가 (Design &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bases)

  • 엄정호;장재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3호
    • /
    • pp.325-336
    • /
    • 2006
  • 최근 LBS(location-based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해, 공간 네트워크를 고려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우수한 질의처리 성능을 위해, 공간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공간 네트워크 자체의 데이터, POI(point of interest), 이동객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저장 및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이를 위해 첫째, 노드와 에지로 구성된 공간 네트워크 자체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공간 네트워크 파일 구조를 설계한다. 둘째, 식당, 호텔, 주유소와 같은 POI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POI 저장 및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셋째 이동객체의 과거, 현재, 미래 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시그니쳐 기반 저장 및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설계한 저장 및 색인 구조가 기존의 공간 네트워크를 위한 저장구조 및 이동객체를 위한 궤적 색인구조 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공간정보를 활용한 전산망 관리 시스템 (The Spatial Information Aided Computer Network Administration System)

  • 성기석;권구범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1-34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전산망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Spatial Data Manager, Network Manager, 3D Viewer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Spatial Data Manger는 공간상의 Network 장비 및 각종 시설물의 위치와 속성정보를 보여준다. 속성정보 중에서 IP(Internet Protocol)정보는 Network Manager와 연결된다. Network Manager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한다. 3D Viewer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방향에서 시설물을 볼 수 있도록 한다. Spatial Data Manager의 좌표는 3D Viewer의 Camera 좌표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동시에 2차원과 3차원형태로 볼 수가 있다. 기존 전산망 관리시스템이 단지 수치적으로 네트워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던 것에 비하여, 개발된 시스템은 공간 위치를 같이 보여줌으로써 누전, 누수 등과 같이 다른 시설물이 전산망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전산망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길이의 제약에 따른 영향 등을 분석할 수가 있다. 또한 다른 시설물의 도면 및 시설물에 관련된 기타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으므로 전산망관리 뿐만 아니라 통합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산망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리공간 유통망 보안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S Metwork Security)

  • 김지홍;임기욱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53-61
    • /
    • 2001
  • 지리공간 데이터 유통망 구조는 유통망 게이트웨이, 유통노드, 지리공간데이터 서버로 구성된다.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적으로 지리공간 데이터 유통망에 대한 보안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지리공간 데이터 유통망 보안을 위하여 지리적으로 분산된 유통시스템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 통제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개키 기반구조 기술을 이용하여 지리공간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별 접근 통제방안과 지리공간 데이터의 전송보안을 위한 암호화 방안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