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8초

수중음향을 이용한 해초 서식처(Seagrass Habitats)의 공간 및 수직 분포 추정 (Estimating Spati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eagrass Habitats Using Hydroacoustic System)

  • 강돈혁;조성호;라형술;김종만;나정열;명정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25-236
    • /
    • 2006
  • Seagrass meadows are considered as critical habitats for a wide variety of marine organisms in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In many cases, studies on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seagrass have depended on direct observations using SCUBA diving. As an alternative method fur studying seagrass distribution, an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technique has been assessed for mapping seagrass distribution in Dongdae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in September 2005. Data were collected using high frequency transducer (420 kHz split-beam), which was installed with towed body system. The system was linked to DGPS to make goo-referenced data. Additionally, in situ seagrass distribution has been observed using underwater cameras and SCUBA diving at four stations in order to compare with acoustic data. Acoustic survey was conducted along 23 transects with 3-4 blot ship speed. Seagrass beds were vertically limited to depths less than 3.5m and seagrass height ranged between 55 and 90cm at the study sites. Dense seagmss beds were mainly found at the entrance of the bay and at a flat area around the center of the bay. Although the study area was a relatively small, the vertic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seagrass were highly variable with bathymetry and region. Considering dominant species, Zostera marina L., preliminary estimation of seagrass biomass with acoustic and direct sampling data was approximately $56.55g/m^2$, and total biomass of 104 tones (coefficient variation: 25.77%) was estimated at the study area. Hydroacoustic method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to understand distribution pattern and to estimate seagrass biomass.

대구시 편의점의 공간확산과 입지적 특성 (The Spatial Diffus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onvenience Stores in Daegu)

  • 이재하;문명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87
    • /
    • 2002
  • 본 연구는 대구시에서 1990년대에 급속하게 증가한 편의점의 공간확산과 입지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대구의 편의점은 1992년에 도심 또는 중심업무지구(CBD)에 인접한 점이지대에 처음 도입된 후, 도심과 주거지역으로 확산돼 갔지만, 일정한 구매수요가 발생하는 곳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갔다. 그 결과, 대구시 편의점의 공간분포는 고등학교 밀집지역, 상업지역, 아파트지역 등에 특히 집중분포하는 매우 불균등한 분포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포는 편의점의 주요한 두 가지 입지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일차적으로는 편의점의 입지가 편의점을 자주 이용하는 인구집단 즉, 그 수요인구의 분포 요인에 가장 영향을 받고, 이차적으로는 그 수요인구가 접근하기 쉬운 도로교통의 접근성 요인에 의해 입지하기 때문이다.

  • PDF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의 변화패턴 분석 (Analysis of Pattern Change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 김정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70
    • /
    • 2014
  •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실거래가자료를 이용하여 2006~2010년까지 5년간의 서울시 아파트실거래가 변화패턴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파트별 평균 실거래가, 동별 평균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위치정보자료와 연결하여 GIS데이터로 구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공간보간기법 중 크리깅(kriging)을 이용하여 개별 아파트의 시기별/면적별 실거래가의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둘째 행정구역(행정동)별 아파트실거래가의 변화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단위 면적별 실거래가의 평균을 계산하여 Moran I 값으로 변환한 후 거래가격의 공간상의 군집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간상의 분포패턴을 파악하고, 변화유형까지 유추할 수 있어 주택 및 지역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종적인 변화패턴과 GIS를 이용한 횡적 변화패턴을 분석하기 때문에 아파트가격의 지역 불균형을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친환경 인증 농경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 Focused on Jeollanam-do -)

  • 박유진;구정윤;이상우;안경진;최진아;김상범;박세린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79-89
    • /
    • 2023
  • As the demand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ontinues to rise due to increased concerns regarding food safety and ecosystem conservation, it is becoming important to identify regions and spatial locations where environmental-friendly should be intensively established for production integr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in Jeollanam-do, South Korea.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Local Moran's I and Getis-Ord Gi* were used to identify spatial cluster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indices were utilized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enam-gun, Gangjin-gun, Muan-gun, and Jindo-gun were identified as hotspots, while Muan-gun, Goheung-gun, and Jindo-gun exhibited high connectivity. This suggests that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in Muan-gun and Jindo-gun were clustered and closely connected to one an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areas belonging to the hotspot and with high connectivity should be managed as clustered districts to secure the foundation and system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Areas that belong to cold spots and have low connectivity should be preceded by measures to promote conversion to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t possible to create a large-scale cluster district through a long-term spatial planning strategy to exp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quantitative data on policies and discussions for developing a model for rural spatial planning.

Pattern Formations with Turing and Hopf Oscillating Pattern in a Discrete Reaction-Diffusion System

  • 이일희;조웅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1권12호
    • /
    • pp.1213-1216
    • /
    • 2000
  • Localized structures with fronts connecting a Turing patterns and Hopf oscillations are found in discrete reaction-diffusion system. The Chorite-Iodide-Malonic Acid (CIMA) reaction model is used for a reaction scheme. Localized structures in discrete reaction-diffusion system have more diverse and interesting features than ones in continuous system. Various localized structures can be obtained when a single perturbation is applied with variation of coupling strength of two intermediates. Roles of perturbations are not so simple that perturbations are sources of both Turing patterns and Hopf oscillating domain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m is determined by strength of a perturbation applied initially.

A Study on the Capital Area's Urban Type Analysis and Real Estate Characteristics

  • Jeong, Moonoh;Lee, Sangyoub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2권4호
    • /
    • pp.32-41
    • /
    • 2012
  • In recent times, multi-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s well as large Capital area and suburbanization in the spatial structure of capital area. With rapid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unsystematic, and growth inequality between regions caused negative effects such as discordant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fluctuating land value, and gap between living condi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urban spatial indexes by the self-governed body in the capital area such as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analysis of the regional inequality phenomenon.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in the capital area by utilizing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density of city indexes such as population, employment, etc, and then drew the commonality of those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We evaluated the drawn results through the city standard index by each city, conducted factor score analysis, and identified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factor and Housing Purchase Price Composite Indices index, housing rent price index(Housing Jeonse Price Composite Indices), land price fluctuation rate, diffusion ratio of house, and financial independence.

한반도의 지반운동 (II): 한반도 지진분포의 지형학적 해석 (Tectonic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I): A Geo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rthquakes)

  • 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88-505
    • /
    • 2007
  • 이 연구는 한반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진의 분포특성을 통하여 지반운동의 공간적인 차별성을 증명함과 동시에, 지진다발지역의 형성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편의 논문(박수진, 2007)에서는 지형분석을 통해 한반도에는 지역적인 지형특성을 결정하는 4개의 지반운동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상기의 연구는 수치고도모델의 분석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지구물리자료를 통해 그 결과를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지진은 지각이 이동 혹은 변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진앙의 분포는 지반운동의 방향성과 분포를 반영해주는 직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지진분포를 공간통계기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지반운동구의 공간적인 배열과 비교 평가하였다. 한반도에서 지진발생의 공간적인 특성은 세 가지로 될 수 있다. 첫째, 지진의 규모는 약한 공간적인 의존성만을 보이고 있으며, 인접한 지역에서도 지진의 규모는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둘째, 지진의 규모는 공간적으로 무작위성에 가까운 분포를 보이는 반면, 진앙의 분포는 뚜렷한 공간적 밀집현상을 보이고 있다. 셋째, 한반도에서의 지진다발지역은 'L'자형의 밀집현상을 보이고 있다. 육지부분에서는 평양시를 중심으로 한 평안남도와 황해도, 그리고 서산과 포항을 잇는 선을 따라 지진이 밀집되어 있다. 지진밀도가 지체구조선에서의 거리, 주요단층선의 밀도, 그리고 지반운동구 경계선에서의 거리등과 가지는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반운동구의 경계선이 지진다발지역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층선이나 지체구조선은 오랜 기간을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들 요인을 이용하여 현재의 지진다발지역을 설명하기에는 시간적인 스케일의 문제가 존재한다. 한반도를 구성하는 4개의 지반운동구는 서로 다른 이동방향과 변형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그 경계부분에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지반운동의 공간적인 차별성은 GPS 자료를 통한 지각의 이동방향에 의해서도 간접적으로 증명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기존에 알려져 왔던 한반도의 지진발생 메카니즘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한반도의 지형발달과 지진예측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 남부해역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 파악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in the South Sea of Jeju, Korea)

  • 윤동영;최현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62-174
    • /
    • 2012
  • 공간적으로 3차원의 특성을 지닌 해양에서 수직적인 수온 자료의 특성을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각 수심층별 수평 수온분포도와 같은 2차원적 주제도나 3차원적 공간보간을 통한 입체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해양 현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하지만, 수직적 수온분포의 공간 패턴 분석이나 수직적 수온의 특성과 다른 해양 요인(해양화학, 해양생물, 기후변화 등)과의 관계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온 수직구조의 주요 파라미터인 혼합층의 깊이, 최대수온구배, 수온약층의 두께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온의 수직구조 특성을 정량화함으로써 제주남부 해역의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온 수직구조를 대표하는 세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공간분포지도 제작을 비롯해 공간자기상관 지수(Moran's I)를 계산하였다. 아울러, 세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제주 남부해역을 4개 지역으로 그룹핑하고, 각 지역에 대한 수직 수온구조의 특성을 정의하였다.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 특성과 지역 경제경관의 연계성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he Linkages with the Local Economic Landscape)

  • 이수영;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7-4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지역 경제와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연예술 산업이 가장 집중되어 있는 서울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관련시설이 있는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소비의 유사성을 지닌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각 사업체의 주소자료를 이용하여 커널밀도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를 적용하여 국지적 핫스팟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분산 분포와 달리 공연장은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응집된 단일 핫스팟이 나타난다.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공연장 밀집지역에는 공연예술 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인근에 밀집분포하며 공연예술 산업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입지적 특성이 파악된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공연장의 분포를 설명하는 경제활동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경관과의 연계성을 분석한다.

  • PDF

금정산과 아홉산의 대사초 집단의 공간적 분포 양상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Populations of Carex siderosticta at Mt. Geumjeong and Mt. Ahop)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9-375
    • /
    • 2015
  • 식물 보존의 권고지역에서 식물 집단의 공간적 데이터는 여러 목적에서 중요하다. 부산광역시 금정산과 아홉산 의 대사초(Carex siderosticta)의 지리적 거리에 따른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공간적 양상의 분석 방법은 여러 패치 척도, 분산 척도에 의거한 plot(플롯)의 크기에 따라 집단의 균질성 또는 운집을 분석하였다. 대사초의 많은 자연 플롯은 산림군락에서 균질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균질한 플롯은 6.0 m $\times$ 6.0 m 이내였다. 플롯의 크기가 6.0 m $\times$ 12.0 m 이상이면 운집되었다. 대사초의 이웃 패치는 평균 7.5 m에서 9.0 m사이였다. 그런데 자연집단이 인간의 활동에 의해 교란되면 운집은 9.0 m보다 짧은 거리에서 일어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초의 지리적 분포는 플롯의 밀도에 균질하지 않았고 금정산과 아홉산 집단에서 집단 크기에 따라 다르며 인간의 간섭은 플롯에서 밀도 효과를 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