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haracteristic

검색결과 771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 and presentation of digital game

  • Oh, Hyoun-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7-54
    • /
    • 2015
  • In this paper, I examines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the digital platform, and play the game with a focu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game. First, what is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digital games? This section applies to a digital game "theory of Lefebvre", and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practice space, divided into representational space were explored. Second, how to express dealing Is there space in the genre of adventure gam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game medium through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the adventure game genre that is most striking examples was analyzed whether the expression in any way. Consequentl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game studies of the game as well as think a very large role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addition, this case analysis of the expression is the basis of this digital game that is utilized in many areas, and I am sure many possibilities to find a positive role in the game.

ANALYZING FOREST CHARACTERISTIC OF THE PARASITIC VOLCANO(ORM) USING MULTI-TEMPORAL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SML(SPATIAL MODELING LANGUAGE)

  • Jo, Myung-Hee;Song, Wan-Young;Kim, Sung-Ja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294-296
    • /
    • 2006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GIS and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s used to construct very detail forest inform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assify forest characteristic,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forest could be very useful for the forest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sampling points were arrang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m area and the land forest area. Also, forest feature pattern could be discriminated by using satellite images and SML. This study result should be constructed to efficiency forest management in especially forest area in Jeju Island

  • PDF

A Characteristic Value Extraction Method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Morphological Spatial Frequency

  • Jinwoo Eo;Lee, Dongji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1
    • /
    • pp.42-45
    • /
    • 2002
  • A novel characteristic value extraction method based on morphological spatial frequency is proposed. Morphological spatial frequency defined by morphological pattern distribution function is introduced. Superiority of the method was proved for various images by experiment.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need threshold to obtain binary image provides its applicability to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 PDF

도시특성지표 기반 공간개발 패턴 추정에 관한 연구 - 강남지역을 대상으로 - (An Estimation of the Spatial Development Patter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ity Indicators - The Case of Gangnam District -)

  • 장성만;이창효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3-33
    • /
    • 2015
  • 현재 계획단계에서 구득하여 활용할 수 있는 토지이용 관련 정보는 시도, 시군구, 그리고 읍면동과 같은 집계된 단위의 자료가 주를 이루고 있어, 미시적 공간단위에서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존 내 물리적 도시특성지표를 바탕으로 공간 개발패턴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남지역을 육각형 픽셀로 분할하고 각 공간분석단위별로 판매 및 업무의 건축물 개발강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도시의 공간적 특성이 판매 및 업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와 버스정류장과의 거리가 증가하면 밀도 개발 확률이 감소하며, 수계와의 거리가 증가하면 밀도 개발 확률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물은 도시계획분야에서 집계된 자료를 미시적 공간으로 세분하는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1895~1936년 부산 '남빈해안(南濱海岸)'의 공간변화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nge of Busan Nambin Coast from 1895 to 1936)

  • 송혜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6호
    • /
    • pp.59-6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nge of coastal area called Nampo-dong in Busan. And then the subject of research was chiefly concentrated upon the development of southern coast and the land-reclamation based on the commercial facilities after the opening port. There were various reclamation projects in the coastal area of Japanese settlement under the Rule of Japan. Busan Nambin Coast(Currently, Nampo-dong) was one of typical reclamation projects conducted in the southern seashor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coastal area, fishery was developed well and the entertainment industry also grew rapidly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short distance of urban cent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change that were pursued by communities at that time, particularly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buildings.

대구지역 PM10 오염 관리를 위한 시간적 및 공간적 오염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emporal and Spatial PM10 Characteristics for Pollution Management in Daegu area)

  • 조완근;권기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36
    • /
    • 2004
  • Present study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M10 pollution in Metropolitan Daegu area based on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 data and measurements of PM10 concentrations in background area in order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efficient PM10 pollution management. The significant vari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PM10 concentrations in Daegu area was observed during the study years. The highest maximum PM10 concentration(332 $\mu\textrm{g}$/㎥), average concentration(88 $\mu\textrm{g}$/㎥) and frequency exceeding PM10 daily standard(150 $\mu\textrm{g}$/㎥) were all observed in Namsandong located near a major roadway. The hourly and weekly variations of PM10 concentrations had different pattern for the measurement sites. The monthly and seasonal concentrations exhibited a notable characteristic: the maximum concentration was obtained in spring season, most likely due to Yellow sand effects. Furthermore, this temporal variation of PM10 pollution varied with study site. Meanwhile, the PM10 values measured at the monitoring site, Manchondong, were comparable with those of a control site. The average PM10 concentration ranged from 23 $\mu\textrm{g}$/㎥ to 115 $\mu\textrm{g}$/㎥ with a mean value of 53 $\mu\textrm{g}$/㎥ in the former site and from 22 $\mu\textrm{g}$/㎥ to 91 $\mu\textrm{g}$/㎥ with a mean value of 45 $\mu\textrm{g}$/㎥ in the latter site.

공간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다중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영상 보간 (Image Interpolation Using Multiple Neural Networks with Spa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 우동헌;엄일규;김유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5호
    • /
    • pp.135-141
    • /
    • 2004
  • 영상 보간은 기존에 존재하는 화소의 정보로 빈 화소를 계산하여 영상을 확대하는 방법이다. 자연 영상은 다양한 공간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 보간 방법으로 다양한 주파수 성분에 대한 보간을 모두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점이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다중 신경회로망 구조를 이용하여 영상을 보간하는 방법은 제안한다. 입력 영상은 국부 분산에 의해 공간 주파수에 따라 분리되어 공간 주파수 대역 별로 설정된 신경회로망을 통하여 보간 된다. 제안 방법은 deinterlacing에서의 적용성 때문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 2배의 영상 보간에 적용되었다. 모의 실험에서 제안 방법은 기존의 알고리즘들뿐 아니라 단일 신경 회로망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개선된 PSNR 성능을 보여주었다.

건축공간-형태의 이론과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ries and Changes of Architectural Spatial Form)

  • 이기승;윤도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238-248
    • /
    • 1997
  • The spatial form of architecture in the same era has its own common characteristic spatial form. This study is based on this proposition and is focused on how architectural spatial forms have been changed up to now after modern ages(from the beinging of 1900s to the early days of 1990s ; from early modern age, golden modern age, post modern, late modern architecture to recent experimental trend) and how architectural theories of spatial forms will be changed in the future is predicted.

  • PDF

물류산업의 공간연구를 위한 개념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Frame for Spatial Study of Logistics Industry)

  • 성신제;강상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1-99
    • /
    • 2011
  • 본 연구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물류산업의 공간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이를 체계화 하고자 함이다. 물류산업은 물류기능별 독립적 최적화, 전문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재관리와 물적유통, 로지스틱스, 정보통신 기술과 경영이 포함된 공급사슬관리 단계로 발전하면서 복잡한 공간조직을 형성한다. 물류산업의 복잡한 공간조직은 지리공간과 가상공간, 분업과 통합, 매개화와 탈매개화로 체계화된다. 또한 이들 세 가지의 영역이 공간상에서 혼재하는 역동적 특성을 보인다. 이 역동적 특성은 정보통신 기술과 경제활동의 공간 간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4

공간 및 시간준위 보간 특성곡선법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Line Interpolation of Characteristic Method)

  • 백중철;배덕효
    • 물과 미래
    • /
    • 제29권1호
    • /
    • pp.203-212
    • /
    • 1996
  • 특성곡선이 통과하는 인접 시간준위에서의 3개 격자점을 이용한 시간준위 Lagrange 보간기법을 개발하여, 기존의 시간준위 보간기법인 Reachback 기법과 두가지 공간 보간기법, 즉 Upwind 기법과 3개의 공간 격자점을 이용한 공간 2차 보간기법과 함께 두가지 형태의 오염원 이송문제에 각각 적용 하므로써 공간 및 시간준위 보간기법에 의한 수치해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동일한 차수의 보간기법을 비교할 경우, 공간보간 기법보다 시간 보간기법을 이용하면 수치분산 또는 수치진동이 적은 보다 정확한 수치해를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은 기존 시간준위 보간기법에 의한 해의 장점을 포함하면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