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seed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32초

한발 기간에 따른 콩의 생육 특성과 수량 분배 양상 (Duration of Drought Stress Effects on Soybean Growth Characteristic and Seed Yield Distribution Patterns)

  • 이윤호;상완규;조정일;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9-276
    • /
    • 2019
  •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콩 생육기간 중 한발기간에 따른 생육 특성과 수량 구성요소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는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발은 잎의 노화를 가속하여 LAI, 잎 질소 농도 및 잎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품종과 한발 기간이 LAI, 잎 질소 농도 및 잎 건물중이 고도로 유의하였다. 최종 수확에서 전체 협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33.6%와 40.5%가 감소였고, 100립 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16.1%와 10.1%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종실 수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VS와 FS가 각각 39.8%와 45.1%가 감소하였다. 한발 기간에 따라 대원콩과 해원콩이 수량 감소 폭이 큰 반면에 소연콩은 크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한발 기간은 VS에 비하여 FS가 좀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으며, 품종과 한발기간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것은 개화기 10일전부터 착협기까지 수분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 진다면 주경에서의 협수와 100립 중이 확보가 되어 수량 감소를 방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온도구배챔버에서 온도 상승에 따른 콩의 생육과 수량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creased Temperature o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Growth and Seed Yield Responses in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 이윤호;조현숙;김준환;상완규;신평;백재경;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9-165
    • /
    • 2018
  • 본 연구는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따른 콩의 생육과 종실 수량 반응을 온도구배챔버에서 수행하였다. 생식상 장기간의 고온 발생은 농업 생산성을 저해시키며, 인류의 식품안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든 품종이 $Ta+4^{\circ}C$에서 개화기간이 지연되는 현상을 보여 영양생장기보다 생식생장기의 고온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다. 온도 변화에 대한 종실 수량 구성 반응을 보면 대원콩은 온도가 상승 할수록 협수, 종실 무게가 높아져 수량이 증가하였다. 반면 풍산나물콩과 대풍콩은 각각 $Ta+3^{\circ}C$$Ta+4^{\circ}C$사이에서 각각 일정 온도를 벗어나게 되면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착협수와 100립중이 감소를 하여 수량 감소로 이어졌다. 종자 크기로 보았을 때 대립 품종인 대원콩은 일정 온도 범위까지는 수량이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중립과 소립품종인 대풍콩과 풍산 나물콩은 일정 온도를 벗어나게 되면 수량이 감소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두-근류균의 공생에서 Lectin에 의한 결합특이성 (Binding Affinity between Lectin and Rhizobia in Soybean-Bradyrhizobium Symbiosis)

  • 김진호;박우철;강상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46-550
    • /
    • 1997
  • 근류균과 대두의 공생에서 숙주 결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종자로 부터 분리한 lectin과 뿌리추출물과의 동일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탈지 대두분으로 부터 분리한 lectin은 크로마토그라피와 전기영동상 단일물질로 분리되었고 백운 및 팔달로 부터 분리한 lectin은 표준 lectin의 항체와 항원-항체 반응을 나타내어 동일한 물질이었다. 종자lectin 및 뿌리추출물 및 뿌리분비물에 대한 화학주성은 RCR 3407, KCTC 2422에서 뿌리분비물에 대한 주성이 가장 높았고 종자 lectin과 뿌리추출물은 비슷한 화학주성을 나타내었다. 대두의 유근으로 부터 분리한 뿌리추출물은 표준 lectin의 항체와 침강선을 형성하여 대두 종자 lectin과 동일한 물질임을 알수 있었으며 뿌리 분비물과는 침강선을 형성치 않았다. 대두와 상호접종군을 형성하는 RCR3407, KCTC2422 및 LPN-101은 대두의 종자 lectin 및 뿌리추출물과 결합하였으나 완두의 lectin과는 결합하지 않았고 대두와 근류형성을 하지않는 LPN-100은 대두의 lectin과 결합하지 않았다.

  • PDF

검정콩 성숙시기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 변화 (Changes of Anthocyanin Contents During Maturity Stages in Black Soybean)

  • 이은섭;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9-23
    • /
    • 2010
  • 검정콩 종피에 존재하는 안토시아닌 함량의 변화 분석을 통해 안토시아닌 생성과 종피색소 착색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UPLC로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여 개별 안토시아닌 축적량과 종피색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정콩 종피 내에서의 안토시아닌 생성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35일 이전, 흑청콩도 개화기 후 40일 이전이었는데, 가장 먼저 생성된 성분은 두 품종 모두 cyanidin-3-Glucoside이었다. 종피색의 착색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45일경, 흑청콩은 개화기 후 55일~60일이었다. 종피착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개별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lucoside로 밝혀졌다. 종색 착색시기와 수확시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두 시기의 안토시아닌 함량 증가율은 일품검정콩이 439%, 흑청콩이 249%였으나 수확기의 종피색 착색정도를 구분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종피색에 관여하는 물질은 안토시아닌 이외의 기타 성분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Response of Soybean to Elevated $\textrm{CO}_2$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at Two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 Kim, Hong-Rae;Song, Hong-Keun;Lee, Sun-Joo;Kim, Seung-Hyun;Han, Sang-Joon;Ahn, Joung-Kuk;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3-81
    • /
    • 2004
  • Effects of ambient and elevated $\textrm{CO}_2$ and high temperature, and their interactions with zero and applied nitrogen supply (NN-no nitrogen and AN-applied nitrogen) were studied on soybean (Glycine max L.) in 2001. In this experiment, elevated $\textrm{CO}_2$ (650 $\mu\textrm{mol}.\textrm{mol}^{-1}$) and temperature (+$5^{\circ}$) increased total dry mass at final harvest by 125% and 119% and seed weight per plant by 57% and 105% for NN and AN plants, respectively. Although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temperature x $\textrm{CO}_2$ were not significant, the influences of $\textrm{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x $\textrm{CO}_2$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 on total dry weight and seed weight, respectively. In particular, seed weight per plant was increased, while weight per one hundred seed weight was decreased with elevated $\textrm{CO}_2$ and temperature. The N supply increased biomass and seed weight per soybean pl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ong-term adaptation of soybean growth at an elevated $\textrm{CO}_2$ concentration and high temperature might potentially result in a increase in dry matter production and yield.

Genetic Variation in Sprout-related Traits and Microsatellite DNA Loci of Soybean

  • Lee, Suk-Ha;Kyujung Van;Kim, Moon-Young;Gwag, Jae-Gyun;Bae, Kyung-Geun;Oh, Young-Jin;Kim, Kyong-Ho;Park, Ho-K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13-418
    • /
    • 2003
  • Genetic diversity and soybean sprout-related traits were evaluated in a total of 72 soybean accessions (60 Glycine max, 7 Glycine soja, and 5 Glycine gracilis). 100-seed weight (SW) was greatly varied and ranged from 3.2g to 32.3g in 72 soybean accessions.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GR and hypocotyl length (HL), whereas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W and hypocotyl diameter (HD). Re-evaluation by discarding two soybean genotypes characterized with low GR indicated that much higher correlation of sprout yield (SY) with HD and SW.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sprout-related traits, 57 accessions were classified. Soybean genotypes with better traits for sprout, such as small size of seeds and high SY, were characterized with high PCA 1 and PCA 2 values. The seed size in second is small but showed low GR and SY, whereas the third has large seed, high GR and more than 400% SY. In genetic similarity analysis using 60 SSR marker genotyping, 72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and several minor groups. Nine of twelve accessions that were identified as the representatives of soybean for sprout based on PCA were in a group by the SSR marker analysis, indicating the SSR marker selection of parental genotypes for soybean sprout improvement program.

Seed Quality of Soybean Produced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

  • Kim Sun-Lim;Park Keum-Yong;Lee Yeong-Ho;Ryu Yong-Hw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9-315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eed quality of soybeans produced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s. Soybeans from drained-paddy fiel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0 seeds weight and greater in the size of seed length than those from upland field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ed width and thickness between upland and paddy fields. In case of Hunter's color value, the lightness (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land soybeans, but the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were higher in the drained-paddy field soybeans. Seed appearance of drained-paddy field was poor than that of upland field. Soybeans produced from the drained-paddy field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whereas, lipid and ash contents were higher in the upland field. Soybeans from upland field had lower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compared to drained-paddy field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almitic, linoleic, and linolenic, but stearic, oleic,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unsaturated fatty acids (USF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ybean seeds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s. Genistein content was higher in the drained-paddy fields, while daidzein and glycitein contents were higher in the upland field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soil condition of drained-paddy field is more favorable to synthesis genistein than daidzein and glycitein.

Extraction and Mixing Effects of Grape (Campbell) Seed Oil

  • Kang, Han-Chul;Min, Young-Kyoo;Hwang, Jong-Taek;Kim, Si-Dong;Kim, Tae-Su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75-179
    • /
    • 1999
  • Grape seed oil was extracted using different preparatory treatments as follows: (1) grinding, (2) grinding and roasting, (3) grinding and wet- roasting, (4) grinding, roasting, and wet-roasting, and (5) grinding, wet-roasting, and wet-roast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the sample with the method (2). Initial states of oxidation were similar except method (1) that showed more oxidized state, being P.O.V.8. Acid values were observed in the range from 1.42 to 1.89. The lowest acid value was found as 1.42 in method (1) and those of others were somewhat higher, indicating that heating process of roasting produced some free fatty acids.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best odor and taste were obtained from the methods (2) and (3). Repetitive procedure of wet-roasting, like method 5, caused some loss of flavor components and decrease in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Addition of grape seed oil (method 2) to soybean and perilla oil at the level of 20% retained considerable antioxidant activities as much as 4.3 and 5 times, respectively, than 100% soybean or perilla oil stored for 12 weeks. When soybean or perilla oil was mixed with 20% grape seed oils, P.O.V. decreased to half of that of unmixed oils.

  • PDF

콩 논.밭 재배에서 수랑예측을 위한 생육과 수량 관련 형질의 비교 (Growth and Yield Related Characteristics of Soybeans for the Estimation of Grain Yield in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

  • 조영손;박호기;김욱한;김석동;서종호;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99-607
    • /
    • 2006
  • 논과 밭에서 콩 생산성과 생육 형질들의 측정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콩 수량은 논보다 밭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개체당종실수는 밭에서 100립중은 논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논에서 태광콩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대원콩과 황금콩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밭에서는 황금콩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기록했고 대원콩과 태광콩 순으로 높았다. 2. 밭에서 수확지수는 태광콩과 황금콩이 논보다 높았고 대원콩은 논에서 밭보다 유의성은 없었으나 높은 경향이었고, 전체적으로 대원콩이 논 밭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3. 100립중은 태광콩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대원콩은 밭에서 황금콩은 논에서 높았다. 4. 엽의 녹색도는 논과 밭 재배조건 모두 파종 후 4주차부터 감소되었으나,논의 경우는 6주차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 증가하였으며 밭의 경우는 5주차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후 6주차부터는 상승하였다. 5. 지상부 건물중, 협 건물중, 협수, 경장, 경직경은 태광콩과 황금콩이 밭보다 논에서 높았으며 대원콩은 밭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협 생체중은 논 밭 모두 파종 후 9주차부터 점차 상승하였으나 1 cm 이하의 협수는 논에서는 12주차, 밭에서는 11주차 이후에는 세 품종 모두 증가되지 않았다. 7. 작물생장율(CGR)은 논재배콩이 밭보다 파종후 8주차 이후부터 높은 경향이었고, 13주차에서는 대원콩이 타 품종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밭에서는 파종후 12주차부터 15주차까지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 순으로 높았다. 8. 개체당종실수와 수량간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9.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논에서는 파종후 5주차를 제외한 4-15주차 사이에 0.8내외의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밭에서는 4, 5주차에서 상관이 낮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10.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과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Effect of Sulphur and Nitrogen Applic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Seed and Oil Yields of Soybean Cultivars

  • Jamal Arshad;Fazli Inayat Saleem;Ahmad Saif;Abdin Malik Zainul;Yun Song Jo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40-345
    • /
    • 2005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growth characteristics, seed and oil yield of two cultivars of soybean (G max (L.) Merr.) cv. PK-416 ($V_1$) and cv. PK-1024 ($V_2$) in relation to sulphur and nitrogen nutrition. Six combinations ($T_1-T_6$) of two levels of sulphur (0 and 40 kg $ha^{-1}$) and two levels of nitrogen (23.5 and 43.5 kg $ha^{-1}$) were applied to the two soybean cultivars as nutrient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effect of sulphur and nitrogen, when applied together,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components, and seed and oil yield. Maximum response was observed with treatment $T_6$ (having 40 kg S and 43.5 kg N $ha^{-1}$). Seed and Oil yields were increased 90 and $102\%$ in $V_1$> and 104 and $123\%$ in $V_2$,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i.e. $T_1$ (having 0 kg S and 23.5 kg N $ha^{-1}$). Positive responses of S and N interaction on leaf area index, leaf area duration, crop growth rate and biomass production were also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experiments clearly suggest that balanced and judicious application of nitrogen and sulphur can improve both seed and oil yield of soybean cultivars by enhancing their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