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paste(Doenjang)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4초

몇가지 한국식품(韓國食品)중 Aflatoxin의 검출(檢出) (Detection of Aflatoxins in Some Korean Foodstuffs)

  • 김용화;황보정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3-80
    • /
    • 1977
  • 전국 주요도시의 가정에서 메주 54점과 재래식 된장 125점, 시장에서 땅콩 31점을 수집하고 AOAC공정법(公定法)에 의하여 aflatoxin을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flatoxin의 출현빈도는 메주 7.4%(4/54), 된장 8.8%(11/125), 땅콩 불검출(0/31)로서 특히 대구, 부산지역의 메주와 된장에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2) Aflatoxin이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부산에서의 된장시료로서 $B_1\;66\;ppb,\;B_2\;13\;ppb,\;G_1$ 불검출, $G_2\;5\;ppb$이었으며 기타 시료에서는 $G_2$만이 검출되었다. 3) 된장 시료에서 검출된 $aflatoxin\;B_1$은 정제후 네가지 용매계에 의한 TLC에서 Rf값, 유도체(acetate 및 water adducts)의 Rf값 및 2차에 걸친 chicken embryo bioassay에 의하여 표준물질과 동일한 동시에 화학적정량치(定量値)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제주 전통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 오현정;임자훈;이주연;전시범;강혜영;오유성;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8-308
    • /
    • 2009
  • 제주도내 된장 가공업체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은 각각 37.33~47.43%, 11.06~14.28%, 0.08~0.53%, 12.75~15.97%로 나타났다. 된장제품의 pH는 4.82~5.12, 산가는 17.84~27.55 mg/g, 염도는 10.66~13.91%, 아미노산성 질소함량은 301.06~573.89 mg%을 보였다. 제주 전통된장은 유기산 중에서 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당 함량은 4.21~24.19 mg/g으로 전화당인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0.68~6.21 mg/g와 0.81~10.44 mg/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총 지방산중에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비율이 61.54~66.79%로 높았다. 된장의 구성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검출되었으며, 구성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시료간에 13.89~16.46%의 범위를 보였다. 제주 전통된장의 isoflavone의 함량은 274.87~451.49 mg/kg으로 시료간에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된장의 제조에 사용된 콩의 품종, 발효기간, 발효미생물, 제조방법 등에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발효옻 추출물 첨가 된장의 숙성에 따른 변화 (Changes Observed in Doenjang (Soybean Paste) Containing Fermented-Rhus verniciflua Extract During Aging)

  • 최한석;강지은;정석태;김찬우;김명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99-607
    • /
    • 2015
  •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 발효식초, 일부 주류에 사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추출물이 된장의 숙성 중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biogenic amine (BA), 유기산, 유리당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미노질소 함량은 무첨가구 609.37 mg/100 g이었던 반면 첨가구는 781.11-885.87 mg/100 g으로 무첨가구보다 28.2-45.4% 높았다.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감칠맛을 가지고 있는 glutamic acid는 1.3-1.5배, 단맛을 가지고 있는 alanine, lysine, phenylalanine, serine은 각각 1.3-2.3, 1.2-1.3, 1.1-1.2, 1.3-1.9배, 약한 쓴맛을 가지고 있는 leucine, isoleucine, valine은 1.2-1.3, 1.3-1.7, 1.3-1.6배 증가하였다. BA의 총량은 대조구 172.3, 첨가구 81.7-163.2 mg/100 g으로 대조구보다 5.3-52.6% 낮았다. 주요 BA 성분은 tyramine으로 총량의 55.1-74.6%를 차지하고 있었고 putrescine, spermidine, tryptamine, cadaverine 순이었으며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각각 1.7-3.4, 1.0-9.4, 1.1-2.9, 0.9-2.2, 1.8-3.5배 낮아졌다. 유기산 총량은 대조구 661.6, 첨가구 785.7-891.7 mg/100 g으로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1.2-1.3배 높았다.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젖산은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초산은 대조구 79.1, 첨가구 104.2-182.9 mg/100 g으로 1.3-2.3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 163.4, 첨가구 206.6-276.8 mg/100 g으로 1.3-1.9배 증가되었으며, 주요 유리당은 mannose와 glucose이었고 sucrose, cellobiose, maltose, fructose, iso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마늘 첨가 된장의 숙성 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 Doenjang with Addition of Garlic during Fermentation)

  • 강재란;김경민;황초롱;조계만;황정은;김정환;김정상;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5-443
    • /
    • 2014
  • 마늘을 0, 10, 20 및 30% 첨가하여 된장을 제조한 후 6주간 숙성시키면서 1주 간격으로 된장의 품질 관련인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명도는 마늘 농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시료가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값이 감소하였으며, 마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더 낮았다. 황색도는 숙성 후기에 그 값이 감소하였는데, 대조군보다 마늘 첨가된장에서 더 낮았다. 제조 직후와 비교하여 숙성 1주차에 pH는 크게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으며, 마늘의 첨가 농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도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5주차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숙성 5주차와 6주에는 시료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마늘의 첨가가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원당 역시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 역시 증가하였는데, 제조 직후에 비하여 숙성 6주 뒤에는 모든 시료군에서 약 2.5배 증가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숙성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숙성 초기에는 배당체 형태의 함량이 높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그 함량은 감소하고 비배당체 형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Bacillus는 마늘의 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효모수는 마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적었다.

연근 분말을 첨가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Lotus Root Powder)

  • 박인배;박정욱;김정목;정순택;강성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19-523
    • /
    • 2005
  • 메주를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한 후 분리한 메주 고형 분에 연근분말의 기능성과 관능적 기호도 향상을 위하여 연근분말을 $5\~15\%(w/w)$ 첨가하여 135일간 숙성시켜 된장을 제조하였다. 수분함량은 전통된장규격기준($55\%$이하)보다 낮은 $50.05\~54.04\%$, 아미노산성질소는 기준$(300\;mg\%)$보다 2배 이상 높은 $635\~648\;mg\%$였다. 조단백질은 $11.55\~12.56\%$로 시료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연근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탄수화물 함량은 대조구 $8.55\%$에 비하여 연근분말 첨가량에 따라 $1.5\~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조지 방은 $6.99\~8.55\%$, 회분은 $13.99\~15.17\%$ 정도로 연근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는 모든 시험구에서 숙성 45일째까지 감소하다가 시험구간 유의적인 차이없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초기 $1.85\~2.18\%$로 약간 낮았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5\%$ 연근분말첨가 된장의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은 대조구의 $368.6\;mg\%$에 비하여 $461.8\;mg\%$로 증가하였다.

Bacillus subtilis koji와 Rhizopus oryzae koji를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키토올리고당 함량 증대 (Enhancement of Chitooligosaccharides in Doenjang (Soybean Paste) and Kanjang (Soy Sauce) using Bacillus subtilis Koji and Rhizopus oryzae Koji)

  • 음병욱;곽보연;김순영;손동화;이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1-296
    • /
    • 2003
  • 된장 및 간장의 chitooligosaccharide(COS) 함량을 높이기 위해 Bacillus subtilis와 Rhizopus oryzae를 접종하여 koji를 만들고 이들 균주들에 의한 된장 및 간장에서 COS 함량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COSM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competitive direct ELISA(cdELISA)로 COS를 검출하였는데, 검출 감도는 $0.001{\sim}1{\mu}g/mL$이었고, 회수율은 된장 및 간장에서 각각 102%, 115%를 보였다. B. subtilis koji와 R. oryzae koji를 섞어 담근 된장 또는 간장(BR 된장 또는 간장)이 높은 COS 함량을 보였는데, 두 달 숙성에서 된장이 $171{\mu}g/g$, 간장이$29{\mu}g/mL$을 나타내었다. 일본, 국내 시판, 그리고 실험실에서 만든 된장 및 간장의 COS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BR 시료구가 일본이나 국내 시판용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내 주어서 본 실험에서 koji 제조시 이용된 Bacillus subtilis와 Rhizopus oryzae 의해 COS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DNA 합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36-940
    • /
    • 2004
  • 본 연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원재료인 콩과 밀가루의 메탄올추출물과 비교하면서 여러 인체 암세포들의 성장 억제 실험과DNA 합성 저해 실험을 행하였다. AGS 인체 위암세포의 경우 첨가농도 200 $\mu\textrm{g}$/mL에서 콩된장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80%, 78%의 저해효과를 가졌으며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은 65%, 일본의 미소 메탄올 추출물은 54%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 결과에서도 콩된장과 70% 콩된장의 경우, 첨가농도 200 $\mu\textrm{g}$/mL에서 각각 77%, 73%의 저해효과를 가지는 반면, 청국장, 일본의 미소는 각각 60%, 56%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콩과 콩/밀가루의 경우 각각 56%, 4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도 이상의 간암, 위암세포의 결과와 유사하게 증식억제효과를 보여 콩된장과 70% 된장 메탄올 추출물이 각각 86%, 87%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다른 콩관련 발효식품들과 원재료 콩에 비해 큰 활성을 보였다. 또한 DNA 합성 저해 실험에서 AGS 인체 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u\textrm{g}$/mL, 200 $\mu\textrm{g}$/mL 투여시에는 각각 65%, 76%의 DNA 합성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고, 반면 콩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100 $\mu$/mL, 200 $\mu$/mL 때 각각 47%, 68%의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졌으며 된장의 경우보다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u\textrm{g}$/mL, 200 $\mu\textrm{g}$/mL 투여시 각각 43%, 59%의 DNA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부터 된장이 다른 콩 발효식품 및 원재료 콩보다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은 콩만으로 3개월 간 발효시킨 된장의 우수성과 함께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재료인 콩에서는 없었던 혹은 함량이 적은 성분들이 생성되거나 증가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전통된장으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Doenjang)

  • 김승호;이윤진;권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848-854
    • /
    • 1999
  • 전통된장으로부터 안지오텐신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를 저해하는 물질을 추출하여 그 구조를 밝혀냈다. ACE 저해물질을 열수추출한 다음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통하여 ACE 저해작용이 큰 두 개의 큰 획분을 받았다. 앞획분은 90%와 70%의 AC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단일물질로 분리되지 않아 계속하여 역상 HPLC를 통하여 순수 분리를 하였다. 그러나 앞획분은 순수분리되지 않아 결국 2차원 전기영동/TLC를 통하여 분리한 결과 분자량이 759.63인 아미노기를 갖고 있는 비펩타이드 물질임이 밝혀졌다. 뒷획분은 다른 조건의 HPLC(reverse column과 $NH_2$, column)를 이용하여 순수분리에 성공하였다. 이중 ACE 저해효과가 큰 물질은 분자량 271.33인 dipeptide인 arginine-proline임을 밝혀냈다. 이물질의 ACE $IC_{50}$$92\;{\mu}M$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부분 ACE 저해물질이 3개 내지 7개 등의 긴 펩타이드임을 감안할 때, 짧은 dipeptide로 ACE 저해펩타이드가 한국의 전통된장에서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시판 된장을 이용한 식빵 제조 : 3. 된장과 대두분의 단백질분산성이 글루텐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Commercial Doenjang(Korean Soybean Paste): 3. The Effects of Protein Dispersibility of Doenjang Powders and Soy Flours on the Gluten Rheology and Bread Quality Characteristics)

  • 오현주;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43-1048
    • /
    • 2004
  • 된장의 대두단백질 분산성이 제빵적성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전지대두분(FSF; full fat soy flour)과 탈지대두분(DSF; defatted soy flour)을 밀가루 반죽과 빵 배합에 사용하여 gluten물성과 최종 빵 품질을 된장분말 첨가구(2.5%, 5.0%)와 비교하고 측정값들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분산지수는 된장분말이 57.1%로 FSF 7.3%, DSF 10.8%, 강력분 32.8%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된장분말 첨가는 wet gluten의 현저한 신장저항도 감소와 신장성 증가를 보였으나 대두분 첨가는 단백질분산지수의 차이로 물성의 변화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측정값들 간의 상관관계 조사결과 단백질분산지수는 gluten신장성 (r=0.98, p<0.01)과 오븐팽창력(r=0.88, p<0.05)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이들은 빵 부피와 큰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된장분말의 일정량 사용으로 인한 된장첨가 빵의 부피와 조직감의 현저한 향상은 된장분말의 높은 protease 활성에 의한 단백질분산지수, 반죽의 신장성 증가 및 오븐 팽창력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버섯첨가된장의 생리활성 작용 (Physiological Activity in Doenjang Added with Various Mushrooms)

  • 이수진;이경임;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5-370
    • /
    • 2004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in Korean soybean paste(doenjang) added with various mushrooms. Ganoderma lucidum doenjang(Gl-TD)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with an IC$\sub$50/ value of 245$\mu\textrm{g}$/$m\ell$. In contrast, the other doenjang varieties appeared to have weaker antioxidant activity. Four kinds of doenjang didn't have any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by adding of 5mg/plate, but exhibited a strong inhibitory effect(55∼70%) against aflatoxin B$_1$(AFB$_1$). Especially Phellinus linteus doenjang(Pl-TD) inhibited more than 70% of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B$_1$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On the other hand, the mushroom doenjang varieties showed relatively weak activity toward MNNG in SOS chromotest, their inhibitory rate ranging from 23% to 33%. Methanol extracts of Gl-TD and Pl-TD inhibited by 91∼92% the growth of AGS gastric cancer cells in a concentration of 100$\mu\textrm{g}$/$m\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