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leaf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8초

콩의 생육, 근류형성, 질소고정에 있어서 품종간 차이 I. 등숙단계별 각 기관 건물중 및 질소고정활성의 경시적 변화 (Studies on Varietal Differences in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Glycine max (L.) Merrill I. Changes in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dry weight of plant organs during reproductive stage)

  • 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3-329
    • /
    • 1987
  • 본 연구는 생태적 생리적 특성이 다른 5 콩 품종, 즉 조숙성의 예계7003. SS 79168 및 만숙성의 동북 7006. 백운콩, 장백콩을 공시하여 일본국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질소고정연구실 망실에서 진행하였으며, 등숙기간 중 체내성분의 영양생리학적인 관점에서 질소고정활성과의 관련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Acetylene 환원능(ARA) 등 각종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공시품종 중 예계 7003는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delayed leaf senescence, DLS)을 갖는 품종이 다. 조사는 Fehr et al. (1977)의 콩 생육단계의 구분에 따라서 협신장기( $R_4$), 입비대기( $R_{6}$), 성숙시기( $R_{7}$) 등과 일부품종은 착협시( $R_3$) 및 $R_{4.5}$, $R_{6.5}$, $R_{7.5}$와 같은 중간적 생육단계에도 보족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얻어진 결과 중 질소고정활성의 경시적 변동과 각 기관 건물중과의 관계를 우선 보고하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의 질소고정활성을 Acetylene 환원법으로 측정한 결과 pot당 Acetylene 환원능(p-ARA)은 공시품종 모두 $R_{6}$에서 최고에 달한 후 급속히 저하하였다. 근류중당 Acetylene 환원능(s-ARA)은 조숙성 품종에서는 $R_4$~ $R_{4.5}$에서 최고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만숙성 품종에서는 $R_{6}$까지 상승하고 기후 급속히 감소하였다. 근류중 및 숙주 각 기관의 건물중은 생육 각 단계 모두 숙기가 늦은 품종에서 커서 p-ARA도 만숙성 품종에서 높았다. 2. p-ARA와 각 기관 건물중은 모두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표준신회귀계수에 의한 상대적 기여도에서 보면 엽 > 근류 > 자실의 순으로 정의 효과를 나타내고, 협곡, 근, 경은 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성숙시기에 있어서 지상부 총중 및 종실중은 조숙종에서 그 Biomass가 작았으나 수확지수와 근류/지상부 총중비는 조숙종이 만숙종에 비하여 높고, 특히 DLS인 예계 7003는 타 공시품종보다 높았다.수와 근류/지상부 총중비는 조숙종이 만숙종에 비하여 높고, 특히 DLS인 예계 7003는 타 공시품종보다 높았다.

  • PDF

하우스 엽채류를 위한 관비재배용 유기액비 개발 (Development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for leaf Vegetable under Greenhouse)

  • 주선종;손상목;김진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3-99
    • /
    • 2001
  •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엽채류 전용 유기액비를 개발하기 위하여 액비자재와 물을 1:4로 혼합 하여 45일간 혐기발효 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비원료중 어분과 골분은 질소, 인산 및 칼리등 양분함량이 현저히 많았다. 추출액비의 무기태 질소는 골분과 어분이 많고 인산, 칼리, 석회 및 고토성분은 계분, 대두박 및 쌀겨에서 많았다. 2. 유기액비의 부숙 안정화 과정중 암모니아가스는 2ppm이하로 발생되었으며 탈취제 처리로 안정화된 액비내 세균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기액비의 속성 부숙 안정화를 위한 부숙촉진제인 설탕과 미생물제 처리간 온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황화수소 발생량은 농산부산액비 1,761ppm에 비하여 농산부산액비+설탕+미생물제 처리는 914ppm으로 48%감소하였다. EC는 농산부산 유기액비에 설탕 첨가로 현저히 높았고, 제조후 35일 경과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결구상추 및 배추의 생체 수량은 계분50+골분30+쌀겨20%조합에서 가장 높았다. 배추의 수량은 관행농법 10,875kg/10a에 비하여 농산부산 유기액비는 13,656kg/10a로 26% 증수하였으며 가식부의 질산염 함량은 관행농법 2,426ppm에 비하여 농산부산 유기액비는 2, 150ppm으로 11.4%감소하였다.

  • PDF

김치용 천연 pH 조정제 연구 (Studies on the Natural pH Adjusters for Kimchi)

  • 장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1-327
    • /
    • 1989
  • 김치의 산패를 지연시킬 수 있는 천연 pH 조정제를 찾아내기 위하여 김치에 첨가 가능한 한방 및 식재료 72종의 1% 물추출액에 대하여 산에 대한 완충능을 조사하였다. 한방재료중에서 완충능이 100이상으로 나타난 것은 감초 150, 방풍 142, 등 14종이었다. 한방재료들은 50%씩 상호혼합한 것중 완충능이 150이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소엽+감국, 소엽+산약, 소엽+갈근, 감국+갈근, 택사+갈근, 택사+일당귀, 산약+갈근이었다. 버섯류, 두류 및 채소류 중에서 완충능이 높게 나타난 것은 녹두 207, 대두 160, 완두 192, 느타리 225, 쑥갓 200, 비름 175, 깻잎 200, parsley 202, 피망 257 등이었으며, 이들을 상호혼합처리한 결과 두류상호간의 혼합을 제외하고는 완충능이 향상되었는데 특히 느타리+쑥갓 262, 느타리+parsley 255, 녹두+쑥갓 247, 대두+느타리 245, 대두+쑥갓 247, 대두+parsley 250으로 매우 높았다. 완충능이 높게 나타난 천연 pH 조정제를 무우즙액에 혼합한 결과 완충능에서 효과가 인정되는 것은 녹두+완두 272, 녹두+대두 282, 느타리+parsley 302, 쑥갓+비름 300, 쑥갓+깻잎 277, 비름+피망 300, 비름+parsley 280 등 이었으며 배추즙액에서 효과가 인정된 것은 완두 202, 느타리 202, 쑥갓 207, 느타리+parsley 205 등이었다.

  • PDF

담배장님노린재 (Cyrtopeltis tenuis REUTER)에 의한 오동나무천구 소병(도깨비집병) 바이러스의 매개전염 (Transmission of Paulownia witches'-broom virus by tobacco leaf bug, Cyrtopeltis tenuis REUTER)

  • 나용준;변병수;심공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1-7
    • /
    • 1968
  • 본 연구는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매개충을 구명하기 위하여 착수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동나무천구소병의 이병수에 모여드는 흡수성곤충 중에서 가장 발생이 많았던 곤충은 담배장님노린제며 난, 약충, 성충이 8월 중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였다. 2) 담배장님노린재가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매개곤충임이 구명되었다. 3)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하여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를 접종한 결과 오동나무유식물에서는 접종 후 20일만에 발병을 보았고 접종 40일만에 오통나무천구소병 특유의 병징이 발현되었다. 4) 접종실험을 통해서 확인된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기주식물은 오동나무 이외에 금잔화 및 나팔꽃이며, 일년감$\cdot$당근$\cdot$과꽃$\cdot$ 백일흥$\cdot$코스므스$\cdot$대두$\cdot$질경이 등에서는 충접종 후 2개월까지도 뚜렷한 발병을 확인할 수 없었다. 5) 금잔화와 나팔꽃은 발병까지의 잠복기간이 짧고 병징발현이 뚜렷한 점으로 미뤄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유망한 검정식물로 생각된다.

  • PDF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과 간작에 의한 청예 두과작물 선발 (Selection of Legume Crop by Intercropping with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 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3-104
    • /
    • 1996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Chungju and Jungwon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protein yield and palatability of intercropping comparing with monocropping forage crops by the use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S.H.), five forage soybeans and two forage cowpeas of superior to selected experiment of varieties. All eight treatment plots were replicated three times and cutting date were cut July 6 and September 9. 1. The mean leaf number of S.S.H. in intercropping T2 treatment showed high compared to T1 treatment in all treatment except for Hwangkeum treatment, but T3 treatment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the leaf number of soybean, Jangbaek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7 leaves per plant, cowpea treatments showed high above 50 leaves. The stem diameter of S.S.H. in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9.6mm. In legume, cowpea of T3 treatment was high as ranged from 7.9mm to 8.2mm. In stem hardiness of S.S.H., TI treatment was the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while Jangbaek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2.0kg/cm^2$. In legume crops, Jangbaek and Baekun treatment were the highest as $1.6kg/cm^2$, but T3 treatment was very low as $0.3~0.6kg/cm^2$. 2. In the mean leaf ratio of S.S.H., T1 treatment was higher than T2 and T3 treatment as 34.9%. In the legume crops, Togyu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0.9%. In the mean tiller number of S.S.H., T2 treatment showed high compared to TI treatment, but T3 treatment of was rather decrease than The tiller number of S.S.H. in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6 per plant. The dead stubble of S.S.H. was high in order to T3>T1>T2 treatment>, T3 treatment was highly about 2 times compared to T2 treatment. 3. S.S.H. as T3 treatment was resistant to lodging, but T3 and T1 treatment showed highly lodging. In the legums, T3 treatment was resistant to lodging, but T2 treatment showed highly lodging. In the S.S.H. of T2 treatment, the leaf of summer depression was not occurrence, but T3 treatment was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s. 4. The palatability of domestic animals was high in order of T2>Tl>T3, especially Togyu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t the holstein and deer, and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the Korean native cattle. But T3 treatment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holstein and Korean native cattle. 5. Fresh yield of monocropping(T1) was the highest as 94, 650kg/ha, while dry matter yield in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15, 575/ha But fresh yield and dry matter yield of T3 treatment were the lowest(P<0.05). 6. Protein yield in T2 treatment was high, especially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1, 605.5 kg/ha T3 treatment was low in spite of high protein content, because dry matter yield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among T1, T2 and T3 treatment, Jangyeob, Togyu and Baekun treatments of T2 treatment showed optimum varieties for intercropping with S.S.H., because they showed high Dry matter yield, protein yield and palatability.

  • PDF

수도권과 농어촌 주부들의 선호식품에 대한 조사연구 (Survey on the Favorite Food of Housewives Liv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Rural Area)

  • 한명규;장현기;홍영표;이성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5-102
    • /
    • 1988
  • 수도권과 농어촌 주부들 677명을 대상으로 하여 선호식물을 조사한 결과와 이 결과에 따른 수도권과 농어촌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과 농어촌 주부들 간에 가장 선호하는 주식은 밥류중 쌀밥이었고, 국수류중 냉면이었으며, 부식은 쇠고기국, 된장찌개, 갈비구이, 쇠고기, 깻잎장아찌, 새우튀김, 배추김치 등이었으며, 음료는 수정과, 차류는 코피, 과자류는 약과, 건강식품류중에서는 인삼이었다. 수도권과 농어촌 주부들 간에 장아찌류는 완전상관 관계에 있는 반면, 빵류, 과실류, 나물류 그리고 탕류 등은 역상관계에 있었다. 그외 차류, 건상식품류, 볶음류, 과자류, 국수류, 찜류, 튀김류, 밥류, 김치류, 떡류, 조림류 및 음료류는 대체로 선호식품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인삼 점무늬병균(Alternaria panax)과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길항미생물 Bacillus spp. 선발 (Screening of Antifungal Bacillus spp. against Alternaria Blight Pathogen (Alternaria panax) and Anthracnose Pathogen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f Ginseng)

  • 이혜진;박기춘;이승호;방경환;박홍우;현동윤;강승원;차선우;정일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39-34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search microorganisms having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ginseng Alternaria blight pathogen Alternaria panax and ginseng anthracnose pathogen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Eleven Bacillus strain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Kimchi. Among the 11 isolates, DJ5, KC1, KC2 and KC4 showing antagonistic activity on the mycelial growth of A. panax and C. gloeosporioides in pairing culture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sed on 16s rRNA sequence and phylogenetic tree analysis, they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p.. The selected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antagonistic activity by measured leaf-segment colonization in pot test. When Bacillus sp. were injected after A. panax treatment, KC1, KC2 and KC4 showed similar effect to chemical pesticides treated control. To measure preventive effect of Bacillus sp, antagonistic microorganisms were injected and C. gloeosporioides was treated in pot. Whe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for the prevention of Anthracnose, All Bacillus spp. showed approximately 83~90 % degree of superior preventive effect. In general, The four Bacillus spp.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showed therapeutic effect of Alternaria blight and preventive effect of Anthracnose.

Cylindrocladium crotalariae의 균사자람, 포자형성과 포자발아에 대한 Water potential의 효과 (Effect of water potential on mycelial growth, reproduction, and spore germination by Cylindrocladium crotalariae)

  • 성재모;허노열;김세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1
    • /
    • 1981
  • 콩의 흑색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Cylindrocladium crotalariae은 감자한천배지와 콩의 조직을 함유한 한천 배지를 서로 다르게 Water potential를 조절하여 이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균사신장과 대형분생포자형성은 -14bars에서 좋았고 $30^{\circ}C$에서는 -100bars $25^{\circ}C$에서는 -80bars $20^{\circ}C$에서는 -64bars에서 균사신장이 중지되었으며 포자형성도 -64bars에서 중지되었다. 자낭각과 미소균핵형성은 소금을 첨가하지 않은 -1.4나 -3.0bars에서 잘 되었고 이 균에 대한 포자발아율은 -1.4bars에서 -20bars의 모든 Water potential에서 똑 같이 좋았고 -20bars에서 Water potential이 낮아지므로 발아율이 떨어지다가 -60bars에서 억제되었다.

  • PDF

야생대두의 생리생태에 관한 연구 - 제2보 돌콩 ( Glycine Soja ) 의 자생지 생육특성 ( Studies dn the 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Soybean ( Glycine soja ) II. Growth Characteristics of glycine soja in the habitat )

  • 허삼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9-33
    • /
    • 1978
  • 本 試驗은 들콩의 生育에 關與되는 諸要因을 調査하기 위하여 京畿 水原, 京畿 安域, 忠北 沃川, 慶南 晋州, 濟州 等 5個地域 15個所를 選定하여 自生地 立地條件 및 生育特性을 調査 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地域에 따라 들콩의 生靑差異가 심하였으며 水分이 豊富하고 어느 程度 肥沃한 耕作地 部近의 개울뚝에서 生育이 良好하였다. 2. 土壤中 燐酸含量과 種實收量과는 高度의 有意相關(r=0.76**)이 있었으며 土壞 pH와 種實收量과도 正의 相關關係(r=0.63*)를 나타내었다. 3. 地上部의 生育이 良好할수록 植物體內 室素含豊도 높은 傾向이었다(r=0.52*). 4. 들콩의 地上部生育과 葉展開曲線은 비숫한 模型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根瘤發生은 生育中期에 王盛한 반면 地上部生育은 生育後期에 旺盛하였다. 5. 돌콩은 여름철 生育이 旺盛하고 採種이 容易하며 營養價도 豊富하기 때문에 夏期 銅料作物로의 開發이期待되었다.

  • PDF

Insect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of Crude Saponin from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 Park, Hee-Yeon;Kim, Ji-Young;Kim, Hyun-Ju;Lee, Geon-Hwi;Park, Jin-Il;Lim, Chi-Won;Kim, Yeon-Kye;Yoon, Ho-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1-5
    • /
    • 2009
  • Crude saponin, extracted from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was assessed for its capacity as a biological pesticide. As part of this analysis, its insect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in addition to its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were test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insecticidal activity of saponin against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in kale, Brassica loeracea was low at 36.4%. Repellent activities of the extracted saponin against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nd S. litura, on soybean leaf, Glycine max and kale were 65.6% and 35.0% at $1^{st}$ day, and 54.5% and 30.0% at $3^{rd}$ day, respectively. Acute and chronic toxicity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cute immobilizatioin test and reproduction impairment test, respectively. The saponin had 48 h-$EC_{50}$ of $65.21{\mu}g/mL$. Twenty-one day accumulative reproduction after treatment was lower in Daphnia magna at $7{\mu}g/mL$ saponin (78 young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29 you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ed saponin exhibited some toxicity and has potential as a repellent against ins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