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flour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4초

대두분 품질에 미치는 가열처리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 이성갑;김준평
    • 기술사
    • /
    • 제17권4호
    • /
    • pp.28-39
    • /
    • 1984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development of a processing method of soybean into full-fat or defatted flour, using two varieties of soybean (kwangkyo produced in Korea and Bragg produced in India) Samples were subjected to dry dehulling, size reduction and wet heat treatment processes to make soybean flours.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rude fiber content of dehulled soybean was under 3.0% which indicated satisfactory dehull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ibre content between two varieties. 2. When dehulled soybean was cracked into soy grits by a hammer mill, 98.71∼98.86% of the soy grit was in the range of 10∼18 mesh which was the optimum size of particle for quick and uniform penetration of heat into the intra-particle air spaces. 3. Moisture content of soy flour after steam treatment at 15 psig for 5 to 30 min was only 0.29∼1.68% which did not hinder the next milling operation. 4. From the color analysis of soy flours, it was observed that the dominant wavelength for all the samples are in a very narrow range from 575 to 581 nm and the color variation was from yellow to yellowish orange. Twenty to twenty five % higher reflectance was observed in the defatted flours than full fat flours. The % chroma of the defatted flour sligh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steaming of soy grits increased, whereas that of the full-fat flour did not. 5. The protein extractability in the defatted flour at pH 7.6 showed progressive decrease in solubility from 48.40% (Bragg), 75.20% (kwangkyo) for untreated flours to 9.75% (Bragg), 26.27% (kwangkyo) for 30 min steaming. But Kwangkyo variety showed twice higher protein extractability than Bragg variety.

  • PDF

쌀가루와 기타곡분을 이용한 식빵 및 러스크의 제조 방법과 물성에 관한 연구(I) - 혼합곡분반죽의 물성에 대하여- (A Study on Rheological and General Baking Properties of Breads and Their Rusks Prepared of Various Cereal Flours (I))

  • 권혁련;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79-486
    • /
    • 1995
  • 쌀소비 확대 및 곡분을 이용한 주식용 식품의 제조이용 방법으로서 혼합 곡분의 제빵 적성을 위한 반죽들의 물리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각 재료의 혼합 반죽의 Farinograph에 의해 조사된반죽시간은 기타 곡분가루 비율이 높을수록 짧아졌고, 흡수율과 안정도는 감소했으며, 탄력도는 생콩가루첨가분을 제외하고는 밀가루와 비슷했다. Ex- tensograph에 의한 저항도와 신장도는 곡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Amylograph에 의한 호화 개시온도는 곡분의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최고점도는 크게 낮아졌다. SEM에 의한 반죽구조는기타 곡분 가루가 증가할수록 작은 전분입자들이 많아졌고, 밀집된 상태로 입자간의 구분이 어려웠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찹쌀가루 30% 이상, 생콩가루20% 이상의 흔합 반죽을 제외하고는 제빵적성에 양호한 반죽들의 물리적 특성을 갖고있다고 사료된다.

  • PDF

발아와 볶음처리에 따른 콩가루 품질 및 이화학 특성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flours after germination and roasting)

  • 우관식;김현주;이지혜;이병원;이유영;이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3-151
    • /
    • 2018
  • 용도별 콩가루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일환으로 발아와 볶음처리 후 콩가루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발아와 볶음처리에 따른 콩가루의 수분 함량은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조회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다. 수분결합력은 발아시키지 않은 볶음 콩가루와 발아시킨 볶음 콩가루에서 각각 $220^{\circ}C$에서 20분(241.48%)과 $240^{\circ}C$에서 20분(251.22%)에서 높게 나타났고 용해도와 팽윤력은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볶음 콩가루의 명도는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시키지 않은 볶음 콩가루와 발아시킨 볶음 콩가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4.79-7.60 및 5.33-6.50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20-2.88 및 2.31-2.78 mg CE/g으로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141.07-214.80 및 180.49-296.63 mg TE/100 g,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80.88-537.32 및 419.34-587.99 mg TE/100 g으로 발아 후 볶은 콩가루가 전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볶음조건에 따라 품질 및 이화학 성분의 변화가 있으므로, 콩가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고려하여 콩가루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고물이나 앙금 등 용도별 품질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유통 콩 및 녹두가루 제품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Soybean and Mung-bean Flours in Korea)

  • 우관식;김미정;심은영;김현주;이춘기;전용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19-1126
    • /
    • 2017
  • 용도별 두류가루 제품의 품질기준 설정을 위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두류가루 제품을 수집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원료의 산지는 국산은 23제품, 수입산은 19제품이었고, 백태가 주원료로 조사되었다. 제품의 가격은 국산이 수입산에 비해 생콩가루의 경우, 3.48배, 볶음콩가루의 경우는 3.34배, 녹두가루는 3.47배로 비쌌다. 국산 제품의 경우, 명도는 생콩가루가 볶음 콩가루에 비해 높았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볶음 콩가루가 생콩가루에 비해 높았다. 수분함량은 생콩가루가 볶음 콩가루에 비해 높았으며,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 함량은 수입산 볶음 콩가루에서 높았다. 녹두의 회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국산이 수입산에 비해 약간 높았다. 국산 콩가루 제품의 수분결합력은 볶음 콩가루가 생콩가루보다 높았으며, 용해도와 팽윤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시중유통 두류가루 제품의 품질 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용해도를 제외하고 측정한 항목간에 높은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압출성형 혼합쌀의 제조에 따른 곡종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lected Cereals and Legumes for the Production of Extruded Multi-grain)

  • 김성수;채은미;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1호
    • /
    • pp.30-34
    • /
    • 2001
  • 쌀에 혼합취반이 가능한 혼식용 혼합쌀의 제조를 위해 곡물원료인 현미, 보리쌀, 밀, 조, 수수, 콩, 팥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압출성형 특성을 조사하였다. 혼합쌀의 제조에 사용한 곡물은 전분, 단백질, 지방, 희분 및 총 식이섬유함량에서 서로 차이를 보여주었다. 곡분은 명도에 있어 백미, 보리쌀, 콩, 현미, 밀, 수수, 팥, 조의 순으로 낮았으며, 대부분 적황색도를 나타내었으나 곡종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곡분의 평균입자크기는 백미, 보리쌀과 같이 도정한 곡물에서 작았으며 현미, 조, 수수 같이 강층을 포함하는 정곡에서 다소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곡분의 손상전분 함량은 곡류에서 $5.4{\sim}10.9%$ 범위였으며 콩과 팥에서는 $0.5{\sim}1.4%$로 낮았다. 곡분의 수분흡수지수는 팥, 백미, 수수, 현미, 밀, 조, 보리쌀, 콩의 순으로 낮았으며 수분용해도지수는 두류인 콩과 팥에서 높게 나타났다. 혼합쌀 제조시에 곡종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차이가 혼합쌀의 압출성형가공에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현미 50%, 보리쌀 20%, 밀 10%, 조 5%, 수수 5%, 콩 7%, 팥 3%의 적정 배합비로 압출성형한 혼합쌀은 일반쌀과 혼용이 가능한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the quality stability on the soybean flour depending on storage conditions

  • Park, Sung-Kyu;Son, Na-Young;Kim, Mi-Jung;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64-264
    • /
    • 2017
  • Legumes are good sources of various nutrients. Among legumes, soybean and its flour are accessible foods to consumers. However, in case of soybean flour, there is a disadvantage of easily going rancid.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quality of soybean flour changes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s. The raw and roasted soybean flours were packed in two types of packaging,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film bags respectively, and stored at three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4, 20, and $45^{\circ}C$) for 1 year. The acid value, conjugated diene value, peroxide value, p-anisidine valu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lipoxygenase activity, and fatty acid content of raw and roasted soybean flours were measured at the point of starting storing, and after 1, 2, 4, 8, and 12 weeks of storage. The acid value of soybean flour was increased for 4 weeks and thereafter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001). The conjugated diene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4 weeks storage at $45^{\circ}C$ with PE and PP film bags (p < 0.0001). The peroxide value had no changes during 4 weeks storage at $45^{\circ}C$ with PE and PP film bags, and then those was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8 weeks (p < 0.0001). The p-anisidine values in all of storage conditions were decreased after 4 weeks. Lipoxygenase activity was decreased at 12 weeks storage at $20^{\circ}C$ and $45^{\circ}C$ with PP film bags. Acid valu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nisidine value (r = 0.30 and p < 0.0001) and lipoxygenase activity (r = 0.36 and p < 0.0001), and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njugated diene value (r = -0.45 and p < 0.0001) and peroxide value (r = -0.25 and p < 0.001). Conjugated diene value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oxide value (r = 0.76 and p < 0.0001), but tha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poxygenase activity (r = -0.51 and p < 0.0001). Peroxide valu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nisidine value (r = -0.20 and p < 0.01) and TBA value (r = -0.15 and p < 0.05). The degree of reduction in fatty acid content of raw soybean flour was higher than the roasted soybean flour during the storage. Total fatty acid cont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id value (r = 0.45 and p < 0.0001) and p-anisidine value (r = 0.58 and p < 0.0001), but ha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jugated diene value (r = -0.19 and p < 0.01). This study showed how the rancidity of the raw and roasted soybean flours progressed during storage. Thus, our findings can be used as base data to do a further study of finding and developing more stable storage conditions of the soybean flour.

  • PDF

각종(各種) 탈지박(脫脂粕)의 영양가(營養價)에 대(對)하여 (A Nutritional Study on Various Defatted Oil-Seed Flours and Mixtures)

  • 박원옥;성낙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8-146
    • /
    • 1974
  • 체중(體重) $47g{\sim}60g$되는 이유직후(離乳直後)의 흰쥐(Splague Dowley) 수컷 60마리를 사용(使用)하여 식이중(食餌中) 단백급원(蛋白給源)을 바꾸어 탈지유(脫脂乳), 대두박(大豆粕), 참깨박(粕), 채종박(菜種粕), 해바라기씨박(粕), 면실박(棉實粕)을 각각 24주간(週間) 투여(投與)하는 동안, 체중(體重)의 변화(變化), 장기중량(臟器重量) 변화(變化), 혈청(血淸) 및 간(肝) 조직내(組織內) 구성지질중(構成脂質中) Cholesterol, Phospholipid, Triglyceride를 정량(定量) 비교(比較) 관찰하였다. 1) 각종(各種) 유종실박중(油種實粕中) 단백질(蛋白質)은 대두박(大豆粕)과 혼용(混用)함으로써 기(其) 질적(質的)인 향상(向上)을 엿볼수 있었으며, 특(特)히 참깨박(粕)과 해바라기씨박(粕)은 식용(食用)으로서 권장할 수 있다고 사료(思料)된다. 2) 채종박(菜種粕)과 면실박(綿實粕) 같이 이미 독성성분(毒性成分)의 함유(含有)가 문제(問題)된 박(粕)에 있어서도, 실험동물(實驗動物)의 혈청(血淸) 및 간(肝) 조직내(組織內) 지방성분(脂肪成分) 함량(含量) 변화(變化)로 보아, 독성작용(毒性作用)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이후 더 많은 검토(檢討)가 필요(必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시판 된장을 이용한 식빵 제조 : 3. 된장과 대두분의 단백질분산성이 글루텐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Commercial Doenjang(Korean Soybean Paste): 3. The Effects of Protein Dispersibility of Doenjang Powders and Soy Flours on the Gluten Rheology and Bread Quality Characteristics)

  • 오현주;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43-1048
    • /
    • 2004
  • 된장의 대두단백질 분산성이 제빵적성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전지대두분(FSF; full fat soy flour)과 탈지대두분(DSF; defatted soy flour)을 밀가루 반죽과 빵 배합에 사용하여 gluten물성과 최종 빵 품질을 된장분말 첨가구(2.5%, 5.0%)와 비교하고 측정값들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분산지수는 된장분말이 57.1%로 FSF 7.3%, DSF 10.8%, 강력분 32.8%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된장분말 첨가는 wet gluten의 현저한 신장저항도 감소와 신장성 증가를 보였으나 대두분 첨가는 단백질분산지수의 차이로 물성의 변화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측정값들 간의 상관관계 조사결과 단백질분산지수는 gluten신장성 (r=0.98, p<0.01)과 오븐팽창력(r=0.88, p<0.05)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이들은 빵 부피와 큰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된장분말의 일정량 사용으로 인한 된장첨가 빵의 부피와 조직감의 현저한 향상은 된장분말의 높은 protease 활성에 의한 단백질분산지수, 반죽의 신장성 증가 및 오븐 팽창력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전통 된장 및 콩 추출물의 KB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Soybean Extracts on the Growth of KB Cells)

  • 이성림;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44-450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doen-jang) and soybean extracts have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KB cell, an oral epithelioid cancer cell. When KB cell ATCC CCL-17 was cultivated for 48 flours with the addition of 0.5% of the five types or doen-jang extract, the growth of KB cell was inhibited by all types of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In case of soybean extract, all types of extract also showed KB cell inhibitory effects, however, generally less than those of doen-jang extract. When ethyl acetate extract of doen-jang was add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KB cell was cultivated for 24 hours and 45 hours, strong inhibitory effect began to appear from the concentration of 1.25 mg/ml. Although soybean extract showed such a tendency, its effect was lower than that of doen-jang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oen-jang extract has inhibitory effect against KB cell, and particularly ethyl acetate extract has the highest effect. The effect of doen-jang extract might be possibly enhanced by the fermentation of soybeans. It is assumed that doen-jang extract may be used to develop nontoxic medicin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ral diseases.

탈지 유지종자와 우육단백질을 동시에 가압사출시킨 제품의 물리 및 기능적 특성 (Phys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everal Extrusion-Texturized Oilseed Protein Products Containing Beef Muscle)

  • Kim, Byong-Ki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8-333
    • /
    • 1993
  • 대표적 유지종자원료인 대두, 목화씨, 땅콩, 해바라기씨 탈지박에 지방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 쇠고기를 5~20%의 첨가함량범위로 섞어 가압사출방법을 이용하여 성형시킨 제품의 기능적 성질을 포함한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압사출이 가능한 원료의 수분 및 지방함량의 범위내에서 쇠고기 단백질의 첨가량을 늘리고 또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 쇠고기의 지방을 혼합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건조시켜 원료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식물성 및 동물성 단백질을 동시에 가압사출시킨 제품의 팽창정도, 밀도, 조직특성, 수화능력, 색 등은 가압사출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된 20%의 첨가범위 이내에서 동물성단백질의 첨가함량보다 유지종자품종에 따라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