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flour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6초

교사십이지의 조리가공에 관한 분석적 연구 (1) (A Study on the Cooking in 'The kosa-sibi Jip')

  • 김성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3
    • /
    • 1993
  • This paper has examined and analyzed the ways of making Jang(Korean soybean sauce), vinegar and liquor in terms of food processes, which are mentioned in sooljip 5 and 6 Food collections of 'Kosa-sibi Jip', an encyclopaedia written in Chinese and published in 1789-the eleventh year of King Jung-jo of Chosun Dynasty. There respestively six items of nine items of and thirty three items of the recipe for making jang, vinegar and liquor, Soybean was a major material for making jang. And wheat flour and ground barley were added. Myun-jang was made from only flour. Dong-kook Jojang Bup(oriental soybean sauce preparation) which is the traditional Korean process for making jang from only soybean is recorded in this book. The cereals used in the nine items of the vinegar making recipe were rice(six times), wheat(twice), barley(three times) and wheat flour(once). And fruits are also used. Rice was most used of all these materials. The cereals used in the thirty three items of the liquor-making recipe were regular rice(50%), sticky rice(42.6%) and wheat flour(7.4%) In particular sticky rice was much used for Yakyee Rhue and Bok-sik Rhue for medications. The ways of processing cereals for liquor-making were Jee-ae-bop : steamed rice(52.9%), Jook:thick gruel with cereal (32.3%), Goo-mung Tuck: doughnut-shaped rice cake(8.8%) and Hin-moo-ree Tuck: shawith peless rice cake(2.9%). The three unique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in winter when the process of liquor-making did not go on because the jar was cold, the bottle with hot water in was put in the jar and so the aduquate temperature for liquor-making was maintained. Next, in warming up a small double boiler, they prevented effervescence by hanging down thread. Finally. in warming up in a double boiler, they sealed the mouth-piece of the jar and put a handful of wet rice when the rice was completely cooked, it was thought of as the sign that the process of liquor-making was done.

  • PDF

슈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와 대두유 첨가 쌀가루겔의 노화 (Retrogradation of Sucrose Fatty Acid Ester and Soybean Oil Added Rice Flour Gels)

  • 문세훈;김정옥;이신경;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5-310
    • /
    • 1996
  • 동진벼 쌀가루에 슈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SE1670)와 대두유를 0.5, 1.0, 2.0% (w/w, 쌀가루 건물당) 첨가하여 50% 쌀가루겔을 제조하고 $20^{\circ}C$$4^{\circ}C$에서 1, 3, 6일간 저장하면서 노화도를 ${\alpha}$-아밀라아제-요드법으로 측정하고 DSC와 X-선 회적도로 비교하였다. 쌀가루겔의 노화도는 첨가물의 종류와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 있어 $20^{\circ}C$저장에 비하여 $4^{\circ}C$저장했을 때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되었다. SE1670과 대두유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노화도는 감소하였고 특히 1일 저장시 노화억제 효과가 켰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SE1670 첨가로 인한 노화억제 호과는 뚜렷하였으나 대두유를 첨가한 시료의 노화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SE1670 첨가시 DSC에 의한 노화 용융 엔탈피는 ${\alpha}$-아밀라아제-요드법과 같은 경향이었으나 대두유를 첨가했을 때는 달랐다. X-선 회절도에서는 첨가물질에 따라 $2{\theta}=16.7^{\circ}$에서 피크가 감소하였으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 PDF

탈지(脫脂) 콩, 참깨 및 들깨박(粕)의 에탄올 추출물(抽出物)의 콩기름-물 기질(基質)에서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of Defatted Soybean, Sesame, and Perilla Flours in a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

  • 김은희;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3-288
    • /
    • 1981
  • 콩, 참깨 및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에탄올추출물(抽出物)의 산화방지(酸化防止)효과(效果)를 콩기름-물 유탁액기질(遺託液基質)에서 0.02% BHT의 효과(效果)와 비교하고자 했다. 추출물(抽出物) 및 BHT가 들은 기질(基質)과 control을 $46.0{\pm}0.5^{\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 과산화물(過酸化物)값(POV)과 TBA값을 정기적(定期的)으로 측정하였다. 콩, 참깨 및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추출물(抽出物) 및 BHT가 들은 기질(基質)과 control의 저장 25일후의 과산화물(過酸化物)값(평균치(平均値))은 43.3, 22.6, 21.5, 38.6과 80.1였으며, 저장 20일후의 TBA값은 가각 0.91, 0.67, 0.68, 0.38과 0.62였다. 콩, 참깨,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추출물(抽出物)은 유탁액기질(遺託液基質)에서 상당한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果)를 보였다. 특히 참깨와 들깨의 경우, 그 효과(效果)는 0.02% BHT보다 훨씬 컸었다. 추출물(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TBA값은 예상외(豫想外)로 컸으나, 이는 탈지박(脫脂粕)에서 추출(抽出)된 일부(一部)화합물(化合物)들이 TBA 값 측정(測定)에 간섭(干涉)한 결과(結果)로 추측(推測)된다.

  • PDF

논에서 벼 대체작물의 전작 재배가 조경밀의 곡물 생산성과 밀가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cropping with Rice (Oryza sativa L.) Alternative Crops on Grain Yield and Flour Quality of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Jokyung') on the Paddy Fields)

  • 오서영;서종호;최지수;오성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86-695
    • /
    • 2022
  • 벼 대체 밭작물(검정콩, 들깨, 참깨)과 연계한 밀 이모작 작부체계를 적용한 논에서 조경밀 생산성과 밀가루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작으로 검정콩, 참깨, 들깨를 재배하였던 포장은 벼를 재배한 논보다 토양의 pH는 높고, 전기전도도는 낮았다. 그리고, 유효인산(Av. P2O5), Ca2+과 Mg2+ 함량은 벼를 재배하였던 토양에서보다 높았다. 밀의 생육 특성 중 간장, 수장, 수수, 수당립수는 검정콩 전작 토양에서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하지만, 밀의 수량은 벼 전작 토양에서보다 대체작물인 검정콩이나 참깨, 들깨의 전작 토양에서 모두100 kg/10a 이상 증가하였다. 더군다나, 단백질 함량과 SDS-침전가가 검정콩, 참깨, 들깨 전작에서 모두 벼 전작에서보다 높았으며, 아밀로스 함량은 벼 전작에서보다 검정콩, 들깨 전작에서 다소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논토양에서 전작으로 참깨나 콩, 들깨 등의 벼 대체 작물들의 재배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제빵공정에 좀 더 유리한 고품질의 밀을 생산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라지 분말 첨가에 따른 콩 다식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s by Adding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 DC. Flour Powder)

  • 지옥화;제갈성아;최영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8-246
    • /
    • 2010
  • 도라지의 약리성 건강식품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붉은 콩가루를 이용하여, 도라지 가루를 0%, 3%, 6%, 9%, 12%를 첨가한 콩 다식을 제조하여 수분, 색도, 기계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라지 가루를 첨가한 콩 다식의 수분 함량은 $24.47{\pm}0.3\sim26.3{\pm}0.81%$ 사이의 범위로 나타났고, 색도는 도라지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기계적인 특성의 측정 결과, 경도는 도라지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착성, 검성과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도라지 가루를 첨가한 콩 다식의 색과 향기에 대한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도라지 가루 6% 첨가군에서 가장 좋았으며, 맛,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도라지 가루 6% 첨가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라지 가루를 콩 다식에 첨가하면 색, 맛, 향기 등 품질 평가의 주요요인들이 6%까지는 큰 변화 없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므로 도라지 가루를 이용한 콩 다식을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라지 가루 첨가 콩 다식의 맛과 기능적 특성에 기대를 걸어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PDF

미세 전지 대두분말과 단백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두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ft Soybean Curds prepared with the Ultra Fine Whole Soybean Flour and Proteinases)

  • 장희순;이상덕;이기택;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2-199
    • /
    • 2003
  • 대두 중의 생리활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초미세 전지대두분말에 단백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비압착 전두부를 제조한 후 일반성분, 색도, 조직감특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다. 두유의 응고 형성능이 있는 단백분해효소로서는 Aspergillus sojae protease, bromelain papain이었고, 이 효소를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한 결과 Aspergillus sojae protease가 가장 좋았다. 단백분해효소의 첨가 시기는 1차 가열한 두유를 균질화시켜 효소를 첨가하여 작용시킨 후 응고제를 첨가하여 2차 가열을 하였을 때 조직이 가장 좋았다. 단백분해효소와 응고제를 이용한 비압착 전두부의 일반성분은 시제품 연두부(대조구) 보다 수분 함량은 낮았고, 조단백질$.$조지방$.$회분 함량은 높았다. 단백분해효소와 응고제를 이용한 비압착 전두부는 대조구에 비해 L값과 b값은 높았고, 조직의 hardness, fracturability, springness, gumminess, chewiness가 높았으며 adhesiveness, cohesiveness는 낮았다. 단백분해효소와 응고제를 이용한 비압착 전두부의 외관 관능평가 결과는 대조구에 비해 표면의 매끄러움, 균열 정도, 횐 정도는 낮았고 노란정도는 높았으며 그 중에서 Aspergillus sojae protease 처리한 두부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단백분해효소와 응고제를 이용한 비압착 전두부의 향미 특성 관능평가 결과 대조구에 비해 삶은 콩 냄새, 볶은 콩가루 냄새, 떫은 느낌, 신맛, 쓴맛은 높았고 콩 비린 냄새는 낮았다. 단백분해효소와 응고제를 이용한 비압착 전두부의 조직 특성 관능평가 결과 대조구에 비해 강도, 내부 촉촉함, 거침성, 끈적거림, 입안에 남는 정도는 높았고 탄력성은 낮았다.

볶은 콩가루 첨가가 절편의 아미노산, 아밀롯 및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asted Soybean Flour Supplimentation to Jeolpyons(Korean Rice Cake) on Changing the Contents of Amino Acid, Amylose, and Minerals)

  • 정해옥;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14-617
    • /
    • 1994
  • 단백질이 풍부한 볶은 콩가루를 달리 첨가(0, 5, 10, 15, 20%)하여 절편의 아미노산 함량, 아밀로스 함량과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콩가루를 첨가한 절편의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콩가루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곡류의 제한 아미노산인 라이신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대조구는 259mg/100g인데 비하여 콩가루 첨가군은 320에서 625mg/100g 까지 1.28배에서 2.50배 까지 증가하였다. 또 필수아미노산 함량과 총 아미노산 함량도 대조구에 비하여 1.22배에서 2.04로 증가하였다. 콩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절편의 노화를 일으키는 아밀로스 대조구에 비하여 0.9~4.7%(w/w)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절편의 다량 무기물 함량은 콩가루 첨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철분, 아연, 구리, 망간 등의 미량 무기물의 함량도 콩가루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1999
  • 탈지들깨박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시판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TBHQ와 비교하였다.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페놀산이 각각 213, 133.1, 89.4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와 2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들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켰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들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 약했으나 BHA나 AP(0.02%) 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pparent Amino Acid and Energy Digestibilities of Common Feed Ingredients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Lee, Sang-Min;Seo, Joo-Young;Choi, Kyoung-Hyun;Kim, Kyoung-Duck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9-95
    • /
    • 2008
  • Flounder were fed a reference diet and test diets containing various feed ingredients: mackerel fish meal, meat meal, soybean meal, wheat flour, wheat gluten, corn gluten meal and brewer's yeast. Apparent digestibility was determined using a reference diet with 0.5% chromic oxide indicator and test diets contained 70% reference diet and 30% of the feed ingredient being evaluated.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amino acid and energy in the reference and test diets were determined, and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the test ingredients were calculated based on differences in the digestibility of test diets relative to the reference diet. The fish averaging 300 g were held in 2000 L tanks at a density of 20 fish per tank. Feces were collected from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using a fecal collection column attached to fish rearing tank. Apparent total amino acids digestibilities(90-95%) of mackerel fish meal, soybean meal, wheat gluten, corn gluten meal and brewer's y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meat meal and wheat flour(P<0.05). Apparent energy digestibilities(86-98%) of mackerel fish meal, meat meal, soybean meal, wheat gluten and corn gluten meal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wheat flour and brewer's yeast.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nutrient and energy utilization for flounder.

Influence of Extrusion on the Solubility of Defatted Soybean Flour in Enzymatic Hydrolysis

  • Cha, Jea-Yoon;Shin, Han-Seung;Cho, Yong-Jin;Kim, Chong-Tai;Kim, Chul-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43-548
    • /
    • 2007
  • Low-energy processing technology, which enhances the utility of defatted soybean flour (DSF), was developed using extrusion processing. DSF was extruded at different conditions using a twin screw extruder and then, dried at $40^{\circ}C$ for 20 hr. The nitrogen solubility index (NSI), viscosity, water solubility index (WSI), and water absorption index (WAI) of DSF increased after extrusion processing. The density of DSF extrudates decreased with the decrease in water content from 53 to 33% and the increase in extrusion temperature from 110 to $160^{\circ}C$. The addition of NaOH from 1.2 to 1.8% and citric acid from 1 to 5% increased the total solubility (TS) of DSF due to the decrease of protein coiling and hydrophobic bonds formation during extrusion processing. When viscozyme was reacted first, TS, NSI, and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of DSF hydrolysates increased about 12, 6, and 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m reacted with protease first. The TS and NSI of DSF hydrolysates were increased about 15 and 10%, respectively, by extrusion processing at alkaline and acidic pH. Extrusion processing at alkaline and acidic pH contributed the increase of efficiency to hydrolyze DSF samples using enzy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