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ybean embryo fact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대두 ${\beta}-conglycinin$ 유전자 발현의 전사 조절에 관한 연구 -(I) 대두 ${\beta}-conglycinin$ 유전자의 upstream 영역에 결합하는 대두 배 인자의 동정-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gene expression. -(I) Identification of a soybean embryo factor interacting with upstream reg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gene-)

  • 이정연;정동효;김우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547-552
    • /
    • 1993
  • 대두 종자 저장 단백질의 일종인 ${\beta}-conglycinin$ ${\alpha}'$ subunit 유전자의 upstream 지역에 결합하여 전사 조절에 관여하리라 추정되는 대두 핵의 DNA 결합 단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 핵 추출물과 S-100을 조제하였다. 염기서열이 AACCCA-27 bp-AACCCA인 합성 DNA를 pUC19에 클로닝한 플라스미드 pSE3를 EcoRI과 HindIII로 절단하여 절편을 분리하고 $^{32}P$ 로 표지하여 이를 gel mobility shift assay 탐침으로 이용한 결과, 대두 핵의 DNA 결합 단백질의 일종인 SEF3(soybean embryo factor 3)의 역가가 핵 추출물과 S-100에서 검출되었다. 각각 CATGCAT, AACACA 염기 서열을 가지는 DNA를 탐침으로 이용하여 SEF3 이외의 DNA 결합 단백질의 역가를 조사한 결과 대두 핵 추출물과 S-100에서 각기의 염기 서열에 결합하는 수 종의 DNA 결합 단백질이 확인되었으나 두 시료에서 공통된 양상을 보여주는 DNA 결합 단백질의 역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대두 S-100의 경우에는 개화 후 32일 부근에 SEF3 역가가 검출되는 데에 비하여, 핵 추출물에는 20일 전후에 SEF3 역가가 나타나서 32일 부근에 역가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대두 ${\beta}-conglycinin$ 유전자 발현의 전사 조절에 관한 연구 -(II) 대두 발달과정 중의 대두 배 인자 3의 역가 변화-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gene expression: -(II) Developmental change of soybean embryo factor 3 activity-)

  • 이경훈;정동효;김우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553-556
    • /
    • 1993
  • 대두 종자 저장 단백질의 일종인 ${\beta}-conglycinin$${\alpha}'$subunit 유전자 upstream 영역에 결합하여 전사 조절에 관여하리라 추정되는 SEF3(soybean embryo factor 3)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 핵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두개의 AACCCA를 포함하는 SE3 DNA를 $^{32}P$로 표지한 후 gel mobility shift assay 탐침으로 이용하여 대두 발달 과정 중의 SEF3의 역가를 조사하여 본 결과, 개화 후 16일부터 32일까지의 역가는 증가하나 SE3-SEF3 결합체 이동도는 감소하였다. 핵 추출물을 alkaline phosphatase 처리하면 결합체의 이동도가 다시 증가하였으나 이 현상은 phosphate에 의해 저해되었다. 그리고 결합체의 형성은 반응 pH 6.8과8.5사이에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추출 방법에 따른 대두 배인자 3 역가 (Effect of the Extraction Method on the Soybean Embryo Factor 3 Activity)

  • 이경훈;정동효;김성산;송윤호;김우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1호
    • /
    • pp.63-66
    • /
    • 1995
  • 본 실험에서는 대두 ${\beta}-conglycinin$${\alpha}'$ subunit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리라 추정되는 대두 배인자 3(SEF3) 역가를 가지는 대두 핵 추출물 조제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역가 조사를 위한 DNA의 표지 반응 후에 추가로 1 mM dATP를 첨가하여 반응을 지속한 경우가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4배 높은 방사능 역가의 DNA 탐침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DNA 탐침을 이용하여 핵 추출물 조제 방법에 따른 대두 배인자 3의 역가를 gel mobility shift assay로 조사한 결과, 조제 중 glycerol 첨가가 배인자 3을 안정화시켰고, polyethylenimine을 이용한 대두 핵 추출물 조제법이 배인자 3의 비역가를 증가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두 원형질체와 형질전환된 담배에서의 대두 glycinin 유전자 Gy2 promoter의 발현조절 기작 (Analysis of the Glycinin Gy2 Promoter Activity in Soybean Protoplasts and Transgenic Tobacco Plants)

  • 김수정;이지영;김정호;최양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387-392
    • /
    • 1995
  • 대두 glycinin 유전자의 조직 특이적이고 분화 발달 특이적인 발현 조절 메카니즘을 연구하기 위하여 Gy2 유전자의 5' upstream 부위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glycinin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로 여겨지는 여러 가지 조절 인자들을 발견하였다. 진핵세포 유전자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TATA box와 AGGA box가 존재하고, 종자 저장 단백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embryo factor binding sequence, RY repeat CACA sequence, ${\beta}$-conglycinin enhancer 와 유사한 sequence 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조절 요소들이 Gy2 유전자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y2유전자의 5' upstream부위를 Exo III nuclease와 여러가지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일련의 deletion mutants를 제조한 후 GUS 유전자와 결합시켰다. 이들 여러가지 chimeric constructs를 대두 원형질체에 전입하고 원형질체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여 GUS 활성을 조사한 결과, $-28l{\sim}-223$ 혹은 $-l70{\sim}-122$ 부위를 포함하였을 경우 활성이 감소하였고, $-223{\sim}-170$ 혹은 $-l22{\sim}-16$ 부위를 포함하였을 경우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Gy2 유전자의 이중적인 발현 양상은 glycinin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음성 조절 요소와 양성 조절 요소가 관여하고있다는 사실을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이들 여러가지 chimeric constructs로 형질 전환된 담배의 종자와 잎에서 GUS활성을 조사한 결과, CaMV promoter를 포함하는 chimeric construct는 종자와 잎에서 모두 활성을 나타냈으나, Gy2 Promoter를 포함하는 chimeric constructs는 종자에서만 GUS 활성을 나타내고 잎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는 조직 특이적인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maternal dietary energy restriction on laying performance, embryonic development, and lipid metabolism in broilers

  • Sun, Hao;Chen, Zhihui;Ma, Chengzhan;Lian, Lina;Zhao, Zeyu;Niu, Shupeng;Xu, Liangmei;Sun, Jinhua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5호
    • /
    • pp.698-710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degrees of maternal dietary energy restriction on lipid deposition in embryonic tissues during the medium laying period (37 to 39 weeks) in Arbor Acres (AA) broiler breeders. Methods: A single factor design was adopted, and 400 AA broiler breeders (20 weeks of age) with a similar weight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our groups. The birds in the control group were fed a corn-soybean meal based diet, and those in trial groups were fed diets with 80%, 70%, and 50% energy levels of the basal diet. Incubated eggs from the medium laying period were collected. Samples of developing embryos at various stages were prepared for composition analysis. Results: The embryo weight in the 80% energy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on embryonic day (E) 13, but at 21 E,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decreasing energy intake of the broiler breeders (p<0.05). Additionally, the levels of crude fat in tissues in the restrict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 long axis and area of adipocytes in breast muscle, thigh muscle and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t 21 E in the 80%, 70%, and 50% energy groups. Conclusion: The effects of the 80% maternal dietary energy restriction energy affects egg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nutrient deposition in egg weights, which then directly impacts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mbryos, especially on fat utilization and deposition.

대두조직배양세포(大豆組織培養細胞) - Rhizobium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 (The Establishment of Nitrogen Fixation by Cultured Cell-Rhizobium Association Through Tissue Culture Technique in Soybean)

  • 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27-35
    • /
    • 1986
  • Rhizobium의 Nitrogenase 생성요인(生成要因)과 감염기작(感染機作)을 구명(究明)하고 배양세포(培養細胞)와 Rhizobia의 혼합배양(混合培養)에서 질양고정계(窒養固定係)를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황금(黃金), 남천(南川), D68-0099등(等) 세 품종(品種)을 조직배양(組織培養)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형성능(形成能)은 배(胚)와 유근(幼根)에서는 양호(良好)하나 배축(胚軸)에서는 전혀 없었으며 2mg/${\ell}$ 2,4-D, 4mg/${\ell}$ NAA에서 가장 양호(良好)하고 2,4-D/Kinetin 조합농도(組合濃度)에서는 0.2mg(2,4-D)/${\ell}$과 0.05mg(Kinetin)/${\ell}$에서 가장 이상적(理想的)이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에는 2,4-D 2mg/${\ell}$와 2,4-D (0.2mg/${\ell}$)/Kinetin(0.05mg/${\ell}$)일 때가 가장 양호(良好)하며 R. japonicum 019, 011을 접종(接種)하였을때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은 상당히 둔화되었다. 단일(單一) 아미노산은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을 저해(沮害) 하였는데 황금(黃金)의 경우 Methionine, Leucine에서 저해(沮害)가 가장 컷으며 다른 아미노산의 첨가(添加)로 저해작용(沮害作用)이 상당히 회복되었다. 부정근(不定根)의 생성(生成)은 2,4-D 2.0mg/${\ell}$에서나 0.2mg/${\ell}$ 2, 4-D/0.05mg/${\ell}$ Kinetin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세포(培養細胞)-Rhizobium의 친화(親和)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25개(個) 사용(使用) 균주중(菌株中)에서 황금(黃金)에서는 10개(個) 균주(菌株), 남천(南川)에서는 7개(個) 균주(菌株)에서 나타났으며 D68-0099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황금(黃金)의 경우(境遇) 85-HG-1 019, 007, 남천(南川)에서는 007, 119등(等)이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