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cultivation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9초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스프레드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ead jam using low-salt Lentinula edodes soybean paste)

  • 하늘이;정희경;진성우;김경제;고영우;임승빈;정상욱;윤경원;김기만;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0-20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원목표고를 활용하여 전통된장의 기호성과 저장성이 향상된 저염표고된장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구로 시판된장(전통된장, 농업회사법인 장흥식품)을 분석하였다. 염도함량은 염수 중 식염 첨가량이 낮은 저염표고된장이 시판된장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L(명도)값은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은 저염표고된장보다 시판된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시판된장에서 glucose, fruct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저염표고된장에서는 arabinose와 fucose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유기산 분석결과 시판된장과 저염표고된장은 2 종만 검출되었으며,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은 4 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시판된장과 저염표고된장의 주요 아미노산은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시판된장(49.26 mg%)보다 저염표고된장(54.81 mg%)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43.01 mg%로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과 β-glucan은 표고정과를 첨가한 된장스프레드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중된장보다 저염표고된장에서 함량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저염표고된장 및 된장스프레드잼은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며, 염도가 낮은 장점이 있어 표고를 활용한 건강식품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요 작물 몇 가지 병해충에 대한 수익역치 추정 (Gain Threshold Estimation for Some Pests in Major Crops)

  • 박홍현;예완해;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3-69
    • /
    • 2007
  • 본 연구는 경제적피해수준 설정시 병해충 방제의 경제성을 결정하는 수익역치 개념을 우리나라 농업생산환경에서 적용함에 있어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수익역치는 방제를 정당화할 수 있는 손실량을 의미하며, 병해충 방제에 소요되는 비용을 농산물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벼, 콩, 시설 채소작물의 몇몇 병해충을 대상으로 수익역치를 계산하고, 외국 문헌들에서 보고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벼에 있어서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벼물바구미, 잎집무늬마름병의 GT값과 그에 상응하는 수량감소율은 4.6-6.1kg/10a/작기, 1.0-1.3%, 도열병은 12.7kg/10a, 2.7% 수준이었다. 콩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6.2kg/10a/작기, 3.6% 수준이었다. 시설재배 채소의 경우, 오이의 오이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노균병은 10.0-12.6kg/10a/주, 1.4-1.7%, 딸기의 점박이응애, 잿빛곰팡이병은 3.1-3.5 kg/10a/주, 1.3-1.5%, 토마토의 아메리카잎굴파리, 온실가루이, 잿빛곰팡이는 8.4-9.7 kg/10a/주, 17-1.9%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환경에서 추정된 GT값들이 전반적으로 외국에서 보고된 값들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이었다. 낮은 GT값들은 EIL을 낮게 설정 되도록 한다. 따라서 EIL 설정시 현재의 재배환경에서 계산된 GT 값들을 바로 도입하기 전에, 이 값들이 합리적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농작물(農作物) 재배환경(栽培環境)과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원인(原因)가스 발생(發生) -1. 답전전환시(畓田轉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와 지구온난원인기체(地球溫暖原因氣體)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메탄,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발생(發生) (Emission of Green House Gas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1. The Cropping System and Emission of the Green House Gases-CO2, CH4, N2O)-under Different Cropping System)

  • 이상규;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6
    • /
    • 1993
  • 답전윤환지(畓田輪換地) 토양(土壤)에서 작부체계(作付體系)를 달리했을때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토양(土壤)에서 방출(放出)되는 지구온난화원인(地球溫暖化原因)가스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양(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시(連作栽培時) 가장많고 벼와 콩의 윤작재배시(輪作栽培時) 가장 적은 양(量)을 방출(放出)했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방법별(方法別)로는 벼 연작토양(連作土壤)이 가장 많았고 매년윤환(每年輪換) 및 이년윤환(二年輪換)은 비슷했으며, 전전환시(田轉換時) 가장 적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다. 2. 메탄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토양(連作栽培土壤)에서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및 벼와 콩 혹은 감자와 배추 등(等)을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방출량(放出量)의 뚜렸한 감소를 보였다. 3.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방출량(放出量)은 감자와 배추를 이년(二年)마다 윤환재배(輪煥栽培)하므로써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다음은 벼 윤작재배구(輪作栽培區)에서 많았다. 그러나 답전윤환구(沓田輪換區)의 벼와 콩 및 감자와 배추를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뚜렷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4. 토양(土壤) 공기중(空氣中) 산소(酸素) 및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구성비율(構成比率)은 작물(作物)의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대단히 상이(相異)했으며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산소(酸素)는 4~10%로 대기(大氣)보다 낮고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는 1~22%로 대기(大氣)보다 수십 내지 수백배로 높았으며 변이(變異) 폭(幅)이 대단히 컸다. 5.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등(等) "지구(地球) 온난화(溫暖化) 원인(原因)가스"의 방출(放出)은 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 토양(土壤)의 수분(水分), 온도(溫度), 산소농도(酸素濃度) 및 양분(養分) 등(等)의 변화(變化)와 작물생육시기(作物生育時期)에 따라 크게 영향(影響)되었다.

  • PDF

대두의 콩나방피해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ybean Pod Borer Damage)

  • 정규회;이영일;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06
    • /
    • 1979
  • 대두의 주요해충인 콩나방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생물학적구제책을 모색하기 위해서 재래수집종에 콩나방피해율과 형태적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또 품종및 경종조건을 달리한 후 콩나방의 피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474계통에 대한 콩나방피해율은 최고$38\%$에서 전혀 피해가 없는 계통까지 분포하고 평균피해율은 $5.2\%$이였다. 형태적특성으로서 협의 모용밀도 및 색과 콩나방의 피해율과는 일정한 상관성이 없으나 콩나방피해율과 maturity group 또는 진딧물피해와는 공히 $5\%$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maturity group V에서 가장피해율이 높았으며 일반잎피해정도와 콩나방피해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이한 것은 청색의 종피색을 띤 계통들에서 콩나방피해가 현저히 늘은 점이다. 파종기별 콩나방의 피해정도는 6월20일 파종구가 제일 심하여 만파구가 피해율이 현저히 높은데 이들 피해정도는 착협시기뿐만 아니라 착협에서 성숙기까지의 기간에도 관계가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재식거라에 따른 중나방피해는 소식할수록 큰 편이고 6개품종중 봉의, 충북백이 저항성인 반면 clark, 금강대립이 이충성품종으로 나타났다.

  • PDF

나물콩 재배시기가 종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for Seed Quality of Sprout-soybean)

  • 김학신;김홍식;김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52-159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콩나물생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은 5월 25일 파종이 6월 15일과 7월 5일 파종에 비하여 높았고, 풍산나물콩이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이 가장 낮았으며 한남콩이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2. 조단백질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였고,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에서 다원콩이 가장 높았고 7월 5일 파종에서는 풍산나물콩이 가장 높았다. 조지방함량은 파종기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소명콩이 가장 높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3. Isoflavone의 aglycone 함량은 6월 15일 파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5일파종이 많았으며, 5월 25일파종이 적었고, 품종간에는 소명콩이 가장 많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4. 종실의 품질향상을 위한 나물콩의 파종기는 지나친 일찍 또는 늦게 심는 것 보다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열간 교호 적심이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ternative Row Pinching on Growth and Yield in Soybean)

  • 김익제;손석용;남상영;유인모;김태중;이철희;김태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7-462
    • /
    • 2004
  • 콩 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의 하나인 도복의 경감을 위한 재배법 개선 방안과 초관 높이 차이에 의한 광합성능력의 향상을 모색하고자 열간 교호 적심이 콩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관 높이 차이는 무적심 1열+적심 1열에서 가장 컸으며, 도복은 무적심 1열+적심 1열에서 도복경감 효과가 가장 컸다. 2. 제 9본엽의 광합성능력은 무적심 1열+적심 1열의 무적심 열이 가장 높았다. 3. 엽면적지수는 8월 17일 이후에 무적심 열에 비하여 적심 열이 높았고, 9월 5일에는 무적심 1열+적심 1열의 엽면적지수가 가장 높았다. 4. 수량은 무적심 1열+적심 1열에서 주경 상반부의 입수증가와 입중 증대로 전체 무적심에 비하여 $14\%$, 전체 적심에 비하여 $2\%$ 증수되었다.

Impact of a Glyphosate-Tolerant Soybean Line on the Rhizobacteria, Revealed by Illumina MiSeq

  • Lu, Gui-Hua;Zhu, Yin-Ling;Kong, Ling-Ru;Cheng, Jing;Tang, Cheng-Yi;Hua, Xiao-Mei;Meng, Fan-Fan;Pang, Yan-Jun;Yang, Rong-Wu;Qi, Jin-Liang;Yang, Yong-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561-572
    • /
    • 2017
  • The global commercial cultivation of transgenic crops, including glyphosate-tolerant soybean, has increased widely in recent decades with potential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 bulk of previous studies showed different results on the effects of the release of transgenic plants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especially rhizosphere bacteria.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es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rhizosphere soils and surrounding soils were performed between the glyphosate-tolerant soybean line NZL06-698 (or simply N698), containing a glyphosate-insensitive EPSPS gene, and its control cultivar Mengdou12 (or simply MD12), by a 16S ribosomal RNA gene (16S rDNA) amplicon sequencing-based Illumina MiSeq platform.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overall alpha diversity of the 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ies, although the species richness and evenness of the bacteria increased in the rhizosphere of N698 compared with that of MD12. Some influence on phylogenetic diversity of the 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ies was found between N698 and MD12 by beta diversity analysis based on weighted UniFrac distance. Furthermore, the relative abundances of part rhizosphere bacterial phyla and genera, which included some nitrogen-fixing bacter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698 and MD12. Our present results indicate some impact of the glyphosate-tolerant soybean line N698 on the phylogenetic diversity of 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ies together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ve abundances of part rhizosphere bacteria at different classification levels as compared with its control cultivar MD12, when a comparative analysis of surrounding soils between N698 and MD12 was used as a systematic contrast study.

루우핀 콩의 발효에 관한 연구 (제 1 보)콩배지에서 Aspergillus oryzae 성장속도의 측정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f Lupinseed (Part 1) Determination of the Growth Rate of Aspergillus oryzae on Beans.)

  • Lee, Cherl-Ho;Oh, Sung-Hoon;Kim, Chan-Shic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7-232
    • /
    • 1982
  • 삶은 콩을 이용한 고체 배지상에서 Aspergillus oryzae의 성장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들 방법을 대두와 루우핀콩 배지에서의 균 성장 특성을 비교하는데 적용하였다. 여러가지 배지 조건에서 배양 기간에 따른 균체 colony의 형성시간 크기변화, $\alpha$-아미노 질소함량의 변화, 포자형성 시간 및 균사길이의 변화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배지의 종류에 따라 Aspergillus oryzae는 특정한 균체 colony 형성시간을 나타내었으며 colony 형성후 부터는 colony 직경의 크기는 배양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균체colony 직경은 배지중의 $\alpha$-아미노 질소함량과 높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배지의 수분함량이 변하면 이러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오히려 배지의 수분함량이 증가하면(60%-85%) $\alpha$-아미노 질소함량은 증가하나 colony 직경은 감소하는 역 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Aspergillus oryzae는 삶은 루우핀콩 페이스트에서 최초 성장 속도가 대두보다 발랐으며. 루우핀콩 배지에서의 colony 형성시간이 24시간인데 반해 대두에서는 44.4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colony 형성이후의 성장 속도는 대두에서 더 빠르게 나타나 대두의 경우 8.83mm/day 인데 반하여 루우핀 콩에서는 7.05mm/day이었다. spore 형성 시간은 colony 형성 시간과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일반적으로 루우핀콩에서 spore 형성 시간이 짧았다. 콩의 표면에서 균사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빨리 균체의 성장 속도를 비교할수 있 었으며 특히 콩의 구조와 형태가 균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편리하였다. 본 실 험에서는 이 방법으로 루우핀콩의 두꺼운 외피가 균체 성장을 저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

파종시기별 콩줄기굴파리 (Melanagromyza sp.)의 발생 및 피해조사 (Studies ell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anfly (Melanagromyza sp.) in Soybean)

  • 권신한;정규회;이영일;류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8-102
    • /
    • 1981
  • 대두의 해충인 콩줄기굴파리의 정확한 생태를 파악코저 충북백외 4품종을 5월 20일, 6월 15일, 7월 10일 등 파종기를 달리하여 재식하고 콩줄기굴파리의 발생 소장과 가해상태, 피해율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충이 6월 20일 출현되는 것으로 미루어 성충의 첫 출현은 6월초로, 또 년중발생회수는 3회내외로 추정된다. 2. 콩줄기굴파리의 서식부위는 줄기내부의 수조직으로 유묘기에는 지상부보다 지하부쪽에 더 많이 서식한다. 3. 용화위치는 절간 줄기와 엽액이 되며 노숙유충은 장차 성충이 탈출할 수 있는 구멍을 들어 놓고 그속에서 용화한다. 4. 콩줄기굴파리의 유충발생은 7월 10일, 8월 10일, 8월 30일에 각각 peak를 이루고 8월 10일의 Peak가 가장 늦었다. 5. 용의 발생은 6월 20일과 9월 10일에 각각 2번 peak를 이루고 그중 9월 10일의 peak가 가장 높았다. 6. 전반적인 콩줄기굴파리의 피해율은 $85\~100\%$로 만파일수록 높았다.

  • PDF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 1 보(報).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토양특성(土壤特性)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Indigenous Rhizobi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 류진창;이성재;서장선;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9
    • /
    • 1986
  • 우리나라 대두작부형별(大豆作付型別)로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토양(土壤)의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 및 공존미생물(共存微生物)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 관(關)하여 조사(調査)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전국(全國) 60개(個) 밭 토양(土壤)의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分布)는 $2{\sim}197{\times}10^4cells/g$ 범위(範圍)였으며, 대두작부간(大豆作付間) 평균(平均)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는 대두무재배지(大豆無栽培地)는 $20.5{\times}10^4cells/g$, 대두재배지(大豆栽培地)에서는 $35.6{\times}10^4cells/g$로서 대두무재배지(大豆無栽培地)보다 높은 균수밀도(菌數密度)를 보였다. 이들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를 토성별(土性別)로 보면 양토(壤土)>사토(砂土)>사양토(砂壤土)>식양토(埴壤土)>식토(埴土) 순위(順位)로 많았으며, 9개(個) 농업기후대권간(農業氣候帶圈間)에는 경기만권(京畿彎圈)이 $10{\sim}15{\times}10^4cells/g$로 제일 적었고, 남부권(南部圈)이 $71{\sim}145{\times}10^4cells/g$로서 높은 분포밀도(分布密度)를 보였다. 2.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는 일반토양미생물(一般土壤微生物)인 호기성총세균(好氣性總細菌) 및 총사상균수(總絲狀菌數)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총방선균수(總放線菌數)와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3.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와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서 산도(酸度),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 고토(苦土), 동(銅) 및 붕소함량(硼素含量)과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치환성(置換性) 나트리움, 알루미늄, 활성철(活性鐵) 및 황산(黃酸)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