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cultivar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산 콩 품종별 Rhizopus oligosporus 발효물의 단백질 소화율과 아미노산가 (In Vitro Digestibility and Amino Acid Score of Rhizopus oligosporus Fermented Productsby Domestic Soybean (Glycine max L.) Cultivars)

  • 박혜영;김현주;서정현;최혜선;박지영;심은영;김미정;김홍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5-444
    • /
    • 2022
  • In vitro digestibility and protein digestibility corrected amino acid scores (PDCAAS)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protein in various Rhizopus oligosporus fermented products of domestic soybean (Glycine max L.) cultivars. Danbaegkong (DBK), Daepung (DP), Daewonkong (DWK), Saedanbaek (SDB), Seonyu (SY), and Cheongja4ho (CJ4) were used as raw samples, which were ferment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Rhizopus oligosporus for 48 h. All cultivars showed increased crude protein content after fermentation.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DBK and SD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amples (55.12% in DBK and 54.22% in SDB) (p<0.001). CJ4 had the highest alanine content of 28.88 mg/g (p<0.001),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ysteine content was detected among the cultivars. In most of the fermented samples, the in vitro digestibility was 0.9 or higher, indicating high protein in the fermented sample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restrictions on digestion are low. In DWK, the amino acid content and PDCAAS, which together indicate protein quality, were 0.917 and 0.855, respectively, confirming that it was the best cultivar to provide the raw material for fermentation. In conclusion Rhizopus oligosporus fermented soybean products can be considered a prospective source of protein with high utility value.

Bioavailability of Phosphorus in Two Cultivars of Pea for Broiler Chicks

  • Woyengo, T.A.;Emiola, I.A.;Kim, I.H.;Nyachoti, C.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396-403
    • /
    • 2016
  •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relative bioavailability of phosphorus (P) in peas for 21-day old broiler chickens using slope-ratio assay. One hundred and sixty eight male Ross 308 broiler chicks were divided into 42 groups 4 balanced for body weight and fed 7 die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6 groups/diet) from day 1 to 21 of age. The diets were a corn-soybean meal basal diet, and the corn-soybean meal basal diet to which monosodium phosphate, brown- or yellow-seeded pea was added at the expense of cornstarch to supply 0.5% or 1% total phosphorus. Monosodium phosphate was included as a reference, and hence the estimated bioavailability of P in pea cultivars was relative to that in the monosodium phosphate. Birds and feed were weighed weekly and on d 21 they were killed to obtain tibia. The brown-seeded pea contained 23.4% crude protein, 0.47% P, whereas the yellow-seeded pea contained 24.3% crude protein and 0.38% P. Increasing dietary P supply improved (p<0.05) chick body weight gain and tibia ash and bone density. The estimated relative bioavailability of p values for brown- and yellow-seeded peas obtained using final body weight, average daily gain, tibia ash,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31.5% and 36.2%, 35.6% and 37.3%, 23.0% and 5.60%, and 40.3% and 30.3%, respectively. The estimated relative bioavailability of p values for brown- and yellow-seeded peas did not differ within each of the response criteria measur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relative bioavailability of P in pea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cultivar (brown- vs yellow-seed). However, the relative bioavailability of P in pea may vary depending on the response criterion used to measure the bioavailability.

적엽 및 제협처리가 콩의 건물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f and Pod Removal on Dry Matter Accumulation of Soybean Plants)

  • 성락춘;박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4-329
    • /
    • 1993
  •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 처리에 의한 엽수와 엽건물중, 종실부와 종실건물중, 그리고 협과 경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적소실험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로 식물체 하부의 엽수와 엽건물중이 증가되었다. 2. 종실부와 종실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로 감소되었다. 3. 상엽하협제거는 하부의 경건물중을 증가시켰으나 상부의 협건물종은 감소시켰다. 4. 상엽하협제거에서 엽/종실 비율은 3.53로 가장 높았고 수수지수는 27%로 가장 낮았다. 5. 하엽상협제거는 상엽하협제거보다 동화\ulcorner질의 전류량이 많았다.

  • PDF

주경 상부엽 제거시기가 콩의 절위별 Sink형질 변이에 미치는 영향 (Variation of Sink Components in Response to Removal Time of Upper Leaf on Main Stem in Soybean)

  • 박춘봉;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25
    • /
    • 1995
  • 콩에 있어서 source인 상부엽의 제거시기에 따라 sink인 협이나 종실에 얼마 만큼 영향을 미치는가 를 절위별 협 및 종실의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제거에 의해 주경의 협수감소가 시작되는 절위는 엽제거 시기가 늦을수록 낮아졌고, 개화 후 25일 엽재거구가 15일구보다 엽제거 시기가 10일 늦은데도 6∼8절위에서 감소폭이 커 개화후 25일이 결협에 중요한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경의 상부엽 제거로 주걍하부엽과 분지엽의 수광량이 증가하였는데도 엽무제거구보다 이들 부의의 물질 집적량이 적어 이 부위의 동화물질이 다른 부위로 전류된 양상을 보였다. 3. 협당입수는 개화후 35일 엽제거구가 25일구보다 적어 개화후 35일이 입의 퇴화에 더 큰 영향을 준 시기였다. 4. 가장 주요한 sink인 종실의 종피 구열립은 주경의 정단에서 9절위까지 엽무제거구가 25∼35% 절위였으나 엽제거구는 대부분 10%이하였다.

  • PDF

적엽 및 제협처리가 콩의 동화물질 전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f and Pod Removal on Assimilate Translocation in Soybean Plants)

  • 성락춘;박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77-382
    • /
    • 1993
  •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처리에 의한 엽과 종실의 건물중, 가용성 당, 전분, 단백질 및 기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의 하부 엽 건물중이 가장 높았고 상부 종실 건물중은 가장 낮았다. 2. 가용성 당합량은 처리간 엽과 종실에서 차이가 없었다. 3. 전분함량은 상엽하협제거의 하부 여에서 가장 높았다. 4. 단백질함량은 하부 엽이 상부 엽보다 높았는데 종실에서는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가장 낮았다. 5. 기름합량은 하엽상협제거의 상부 엽과 하부 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6. 콩 생식생장기의 장거리 전류에 있어서 동화물질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지며,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일어나지만 엽에서의 재이동은 약했다.

  • PDF

온도, 종자수분 및 삼투처리가 대두의 발아와 묘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Level during Preconditioning on Germination and Seedling Elongation of Soybean Seeds with and without Osmoconditioning)

  • Seong, Rak-Chun;Minor, Harry C.;Park, Keun-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6
    • /
    • 1987
  • 삼투처리와 무처리의 대두종자(품종 :Williams)에 대하여 두가지 온도(15, 3$0^{\circ}C$)에서 두가지의 종자수분함량(30%, 50%)으로 조절된 조건으로 0. 2, 4 및 8일간 전처리함에 있어서 시간별 세세구배치법 4반복으로 배치하여 발아와 묘신장을 조사하였던 바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의 묘신장은 30에서 2일간 전처리함으로서 촉진되었으나 같은 온도에서 전처리기간이 길수록 억제되었다. 2. 삼투처리후 전처리된 종자는 수분흡수와 묘신장이 떨어졌다. 3. 종자수분함량이 50%로 조절된 뒤 전처리된 것은 체의 수분함량을 증가시켰으며 4일간까지의 전처리는 묘신장을 크게 하였다. 4. 묘의 건물중에서는 전처리온도가 3$0^{\circ}C$ 일때와 종자수분함량이 50%로 조절되어 8일간 전처리하였을 때 감소되었다.

  • PDF

잎과 꼬투리 제거가 콩의 절위별 Sink 형질 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f and Pod Removal on Nodal Sink Characters in Soybean)

  • 박춘봉;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71-381
    • /
    • 1995
  • 콩에 있어서 특정부위의 source제거가 어느 부위의 sink에 영향을 주는가와 주요 sink인 협을 특정 부위에서 제거할 때 다른 부위의 sink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등을 절위별 협 및 종실의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제거 부위별 절위당 협수변화는 엽제거 부위에서 감소를 가져왔으며 그 영향은 상부엽 > 분기엽 > 하부위 제거구 순으로 적었다. 2. 협제거 부위별 타부위의 절위당 협수 변화는 상부협 제거부가 주경의 중위절과 상위분기에서 협구가 약간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분기협 제거구는 주경의 모든 절위에서 약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으나 하부협 제거구는 상위분기에서만 약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3. 엽제거 부위별 절위당 협당입수 변화는 엽이 제거되지 않는 부위에서만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협제거 부위별 절위당 협당입수도 협을 제거하지 않는 부위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엽제거 부위별 입당 입중변화는 엽제거 및 비제거 부위 모두 감소하였으나 협제거 부위별은 비제거부위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절위별 종실중은 엽제거부위에서 모두 감소하였고 동일부위에서는 상부가 하부보다 감소폭과 부위별 협제거에서는 상부협과 분지협 제거구가 지부위의 종실을 증가시켰으나 하부협 제거구는 오히려 종실중이 감소하였다. 6. 종피 구렬입율은 엽제거처리는 모두 낮았으며, 그정도가 엽이 제거된 부위에서 컸었고, 협제거 처리는 다른 부위의 종피 구렬입의 증가를 가져 왔으며 상부협 제거구가 그 경향이컸다.

  • PDF

생장 조절제(B995.CCC) 산포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B995 and CCC on the Growth arid Yield of Soybean)

  • 위성옥;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290
    • /
    • 1984
  • 대두에 왜화제인 B 995와 CCC를 살포시기별(본엽 4, 5, 6 매), 농도별 (500, 1000, 2000, 3000 ppm)로 엽면살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별로는 경장에서만, 살포시기별로는 결협율에만, 그리고 농도별로는 경장, 분지수, 결협율, 주당협수와 수량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견장의 단축은 CCC보다는 B 995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결협율은 본엽4 매시의 살포에서 가장 높았다. 3.농도별효과를 보면 저농도보다는 고농도인 3,000ppm에서 경장의 단축, 분지수, 결협율 그리고 주당협수의 증가와 수량의 증대를 나타냈다. 4. 주경절수, 경건중, 엽록소와 100입중은 약제살포시기 및 농도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5. 수량은 경장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분지수, 주당협수, 결협율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6. 왜화제의 엽면살포는 주요수량구성 요소증대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 PDF

Gibberellin Production and Plant Growth Enhancement by Newly Isolated Strain of Scolecobasidium tshawytschae

  • Hamayun, Muhammad;Khan, Sumera Afzal;Kim, Ho-Youn;Chaudhary, Muhammad Fayyaz;Hwang, Young-Hyun;Shin, Dong-Hyun;Kim, In-Kyeom;Lee, Byung-Hyun;Lee, In-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6호
    • /
    • pp.560-565
    • /
    • 2009
  • We isolated nine endophytic fungi from the roots of salt-stressed soybean cultivar Daewonkong and screened them for growth-promoting secondary metabolites. Of all fungal isolates, P-4-3 induced maximum growth promotion of waito-c rice and soybean. Analysis of the culture filtrate of P-4-3 showed the presence of physiologically active gibberellins $GA_1$, $GA_3$, $GA_4$, and $GA_7$, along with physiologically inactive $GA_{15}$ and $GA_{24}$. The plant growth promotion and gibberellin-producing capacity of P-4-3 was much higher than wild-type Gibberella fujikuroi, which was taken as the control during the present study. The fungal isolate P-4-3 was identified as a new strain of Scolecobasidium tshawytschae throug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18S rDNA sequence. Gibberellins production and plant growth promoting ability of genus Scolecobasidium wa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present study.

대두접종제(大豆接種劑) 개발(開發)을 위한 우수근류균(優秀根瘤菌)의 선발(選拔) 및 plasmid 특성(特性) (Selection of R. japonicum Strains for Developing Soybean Inoculant and Plasmid Characterization)

  • 김창진;김성훈;이윤;유익동;민태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49-155
    • /
    • 1985
  • 전국(全國) 223개(個) 지역(地域)에서 수집(蒐集)한 두과작물(豆科作物)의 근류(根瘤)에서 총(總) 590주(株)의 근류균(根瘤菌)을 분리(分離)하여 숙주특이성(宿主特異性)에 따라, R. japonicum 218종(種), R. phaseoli 101종(種), R. trifolii 97종(種), R. meliloti 4종(種), R. leguminosarum 1종(種), Rhizobium species 101종(種), 미분류(未分類)된 균주(菌株) 159종(種)으로 분류(分類)하였다. 분리(分離)된 R. japonicum 218종(種)의 근류형성능(根瘤形成能)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비교(比較)하여. R. japonicum R-138, R-168, R-214 균주(菌株)를 우수균주(優秀菌株)로 하였다. 분리(分離) 선발(選拔)된 R. japonicum 중(中)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이 우수(優秀)한 균주(菌株)의 plasmid를 확인(確認)한 결과(結果), fast-growing group 균주(菌株)들은 $1{\sim}4$개(個)의 거대(巨大) plasmid를 함유(含有)하고 있었으며 그 분자량(分子量)은 약(約) $35{\sim}300{\;}Md$ 정도(程度)이었다. 반면 대부분(大部分)의 slow-growing group 균주(菌株)들은 plasmid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