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검색결과 6,737건 처리시간 0.039초

마우스 RAW264.7 세포에 대한 비지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 of Biji (Soybean curd residue) o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박수빈;송훈민;김하나;박광훈;손호준;엄유리;박지애;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23
    • /
    • 2018
  • 비지는 대두 가공 시 생산되는 부산물로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최근 비지를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능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지의 항염증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진은 비지추출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에 LPS에 의한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지추출물은 NF-${\kappa}B$와 p38의 활성 억제를 통해 만성염증 유발인자인 NO, iNOS, $PGE_2$, COX-2, TNF-${\alpha}$ 및 IL-$1{\bet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비지는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항염증 관련 식의약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질소이용(窒素利用)의 관한 연구(硏究) I. 단백질(蛋白質) 급여수준(給與水準)이 질소축적(窒素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Nitrogen by Korean Native Goat I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Intake on the Nitrogen Retention)

  • 권순기;허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81-86
    • /
    • 1980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양표준(飼養標準)을 설정(設定)하는데 필요(必要)한 항목중(項目中)의 하나인 단백질(蛋白質)의 요구량(要求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성별(性別)과 월령(月令)에 따르는 체중별(體重別)로 단백질(蛋白質) 급여수준(給與水準)에 차이(差異)를 두고 질소(窒素)의 축적률(縮積率)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생후(生後) 6개월령(個月令)의 생체중(生體重) 13kg의 빈산양(牝山羊)은 야건초(野乾草) 40%(126g)와 압맥(壓麥) 60%(186g)를 급여(給與)하였을때 질소(窒素)의 축적률(縮積率)은 36%였고, 야건초(野乾草) 55%(226g)와 압맥(壓麥) 45%(186g)를 급여(給與)하였을 때는 질소축적률(窒素縮積率)이 25.6%였다. 2. 생후(生後) 5개월령(個月令)의 체중(體重) 11kg의 모산양(牡山羊)에게 야건초(野乾草) 47%(245g), 압맥(壓麥) 29%(153g) 및 대두분(大豆粉) 24%(126g)를 급여(給與)하여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을 20%로 하였을때 질소축적률(窒素縮積率)은 54.2%였고, 야건초(野乾草) 42%(206g)와 압맥(壓麥) 58%(279g)를 급여(給與)하였을때는 질소축적률(窒素縮積率)이 40.7%였다. 그러나 야건초(野乾草)(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 8%)만을 100%(328g) 급여(給與)하였을 때 질소축적률(窒素縮積率)은 -23.9%이었다. 3. 생체중(生體重) 11~13kg의 재래산양(在來山羊)은 1일(日) 5g 정도(程度)의 질소(窒素)가 유지(維持)에 필요(必要)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메추리에 있어서 산란 사료 내 단백질 수준이 산란 성적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Japanese Quail)

  • 오성택;김제헌;박승재;윤정근;정란;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7-213
    • /
    • 2012
  • 본 연구는 산란 메추리에서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이 생산성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640수의 7주령 메추리(Coturnix coturnix japonica)를 공시하여 모두 4개 처리구에 8반복(반복당 20수)으로 임의 배치하여 8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사료는 옥수수 대두박을 기초로 하여 대사 에너지 2,800 kcal/kg에 조단백질 수준을 18%, 20%, 22% 및 24%로 각각 달리하여 급여하였다. 전체 실험기간의 수당 사료 섭취량과 난중에서는 처리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CP 24% 처리구의 산란율과 일산란량은 CP 18%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난각 두께 및 Haugh unit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내 albumin, BUN, creatinine 농도 및 GOT, GPT의 효소 활성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맹장 내 암모니아 농도는 처리구 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간 내 중성지질 함량은 CP 18% 처리구에 비해 20%이상 급여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실험 결과, 난용메추리 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조건에서 난생산성이 증가하였으며, 간 내 중성지질 축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수준의 범위를 더 넓히고 세분화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초기 육계 사료내 토착미세조류(Parachlorella sp.) 첨가에 따른 성장 및 면역반응 변화 (Supplementation of Indigenous Green Microalga (Parachlorella sp.) to Pre-starter Diet for Broiler Chickens)

  • 안수현;주상석;이효건;김지훈;이창수;김명후;공창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9-59
    • /
    • 2020
  •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dietary cultivated microalgae (Parachlorella sp.) on the growth and immune responses of pre-starter broilers. A total of 320 one-day-old birds (Ross 308) were allocated to 4 treatments with 8 block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four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a corn-soybean meal-based control diet, and three diets contained 0.5%, 1.0%, and 1.5% microalgae powder at the expense of cornstarch in the control diet. After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s for 7 days, the body weight and feed intake of all birds were measured, and 8 bird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treatment.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and serum were harvested for immune profile assessment, including cytokines and cell migration receptors. No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The birds that were fed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microalga showed a linear increase in the mRNA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n PBMCs, including that of IL2, IL1β, and IL18 (P<0.05). With respect to the chemokine receptor genes in PBMCs, mRNA expression of CCR2, CCR9, and ITGA4 changed quadratically (P<0.05), but that of CCR7 increased linearly (P<0.01). Cytokine protein secretion in blood, including that of IL-1β and IL-6, increased linearly (P<0.01) with an increase in the microalgal content. Overall, 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the indigenous microalgae powder used in this study could stimulate immunity with no detrimental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pre-starter broiler chickens.

분무건조법을 이용한 참취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미세캡슐화 (Microencapsulation of Aster scaber and Aster glehni by Spyay Drying)

  • 강윤창;최경구;김공환;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2-220
    • /
    • 2002
  • 미세캡슐화 기술을 이용하여 산채류 추출물의 저장성의 향상과 식품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산채류에 적절한 캡슐물질은 gum arabic에 dextrin과soluble starch를 각각 3 : 1 비율의 혼합물로 나타났으며, 분무건조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투입 공기온도가 21$0^{\circ}C$, 시료공급속도 10 $m\ell$/min이었을 때 가장 높은 건조 효율성을 보였다. 미세캡슐화는 추출물의 색도 변화를 2~6배 감소시켰다. 대조구(대두 경화유)에 첨가한 참취와 미역취 추출물은각각 16, 48%의 산화 억제율을 나타냈고, 캡슐 분말은 각각46~58%, 72~88%의 산화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것은 산채류 추출물이 유지의 유리 지방산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유지의 자동산화를 방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산채류 추출물을 미세캡슐화하면, 산소 및 온도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저장성이 향상된다. 또한 gum과 같은 점질물을 많이 함유하여 점도가 높아 식품에 적용하기 힘든 단점을 분무 건조하여 분말화 함으로서 산채류를 이용한 음료 및 식용유지산업에서의 천연 항산화제 등 여러 가지 식품분야에 효과적인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황버섯균사체청국장이 고지혈증을 유도한 암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Added Phellinus linteus myceria on Lipid Metalbolism in Adult Female Rats)

  • 최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79-1683
    • /
    • 2009
  • 청국장 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 암쥐에 4주간 고지방식이 (0.1% 콜레스테롤, 10% 지방)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대조군(고지방 식이), 청국장군(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고지방 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3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은 15.99 g의 증가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은 각각 4.47 g 및 1.89 g 증가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도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궁주위 지방의 무게 및 간조직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AI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무게, 수분함량 및 총지질 배설량은 청국장군들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청국장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 첨가 섭취시 흰쥐의 체중감소와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며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증가되어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phingomonas paucibilis NK-2000에 의한 젤란의 생산에 미치는 pH 안정제로서의 인산칼슐의 영향 (The Effect of Potassium Phosphate as a pH Stabilizer on the Production of Gellan by Sphingomonas paucibilis NK-2000)

  • 이남규;조영배;진일혁;손창우;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33-1038
    • /
    • 2009
  • 포도당 및 간장박의 농도가 각각 20 g/l 및 10 g/인 배지에서 Sphingomnas paucibilis NK2000가 생산하는 젤란의 최대 생산성은 배지의 초기 pH를 6.8로 하였을 경우, 플라스크 규모에서 7.46 g/l이었으며, 7 l 생물배양기에서는 7.35 g/l이었다. 배지의 pH를 6.8로 유지하면서 7 l 생물배양기에서 젤란을 생산할 때, 젤란의 최대 생산성은 pH 조절제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8.42 g/l 이었으며, 인산칼슘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8.50 g/l이었다. Sphingomnas paucibilis NK2000를 배양하여 젤란을 생산할 경우에 배지에 첨가되는 인산칼슘의 최적 농도는 5.0 g/l이었다. 인산칼슘의 농도가 5.0 g/l인 배지를 사용하여 7 l 생물배양기에서 젤란을 생산하였을 때, 젤란의 최대 생산성은 8.93g/l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배지의 pH를 조절하지 않고 인산칼슘의 농도를 최적화한 배지를 사용하여 젤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발효 콩의 NF-κB 활성 억제를 통한 cyclooxgenase-2 활성과 prostaglandin E2 생성 억제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Activity an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through Down-regulation of NF-κB Activity by the Extracts of Fermented Beans)

  • 이혜현;박철;김민정;서민정;최성현;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8-3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콩 발효 산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PMA에 의해 유도되는 COX-2의 발현 및 $PGE_2$의 생성 증가에 미치는 이들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3가지 콩 발효 산물은 PMA에 의한 COX-2의 발현 증가를 매우 유의적으로 차단하였으며, 이는 $PGE_2$의 생성 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아울러 PMA에 의한 NF-${\kappa}B$ 활성 증가 또한 콩 발효 산물들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콩 발효 산물에 의한 NF-${\kappa}B$ 활성의 억제가 COX-2의 발현을 저하시켰으며, 이로 인한 $PGE_2$의 생성이 억제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이러한 콩 발효 산물의 항염증 효과는 대두 추출물보다 아가콩 추출물에서 더욱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아가콩 추출물은 염증성 질환 예방/치료를 위한 적용 가능성이 매우 우수함을 제시하여 주는 결과이다.

Bacillus subtilis 분리균 2주 유래 mannanases의 특성 비교 (Isolation of Mannanase-producing Bacteria, Bacillus subtilis WL-6 and WL-11, and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

  • 윤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13-1120
    • /
    • 2016
  •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된장으로부터 균체외 효소로 mannanase를 생산하는 세균 2주가 분리되었다. 분리균 WL-6과 WL-11은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성질 및 16S rDNA의 염기서열에 따라 Bacillus subtilis로 확인되었다. 이들 두 균주로부터 각각 mannanase 유전자를 대장균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mannanase 유전자는 362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드하며 1,086 뉴클레오티드로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WL-6과 WL-11 mannanase (Man6, Man11)의 아미노산 잔기 배열은 서로 8개 잔기가 다르며 GH family 26에 속하는 B. subtilis의 mannanases와 매우 상동성이 높았다. Man6과 Man11의 아미노 말단의 26개 아미노 잔기가 signal peptide로 예측되었다. 재조합 대장균로부터 각각 생산된 Man6과 Man11은 94~95% 정도가 균체내에 존재하였고, mannotriose, mannotetraose, mannopentaose, mannohexaose와 같은 만노올리고당과 locust bean gum을 유사하게 분해하여 주된 반응산물로 mannobiose와 mannotriose를 생성하였다. Man6는 55℃와 pH 6.0, Man11은 60℃와 pH 5.5에서 각각 최대 반응활성을 보였으며, Man11이 Man6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았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AtCK, from Arabidopsis

  • Jeong, Jae Cheol;Shin, Dongjin;Lee, Jiyoung;Kang, Chang Ho;Baek, Dongwon;Cho, Moo Je;Kim, Min Chul;Yun, Dae-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2호
    • /
    • pp.276-282
    • /
    • 2007
  • Protein phosphorylation is one of the major mechanisms by which eukaryotic cells transduce extracellular signals into intracellular responses. Calcium/calmodulin ($Ca^{2+}/CaM$)-dependent protein phosphorylation has been implicated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yet little is known about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s (CaMKs) in plants. From an Arabidopsis expression library screen using a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soybean calmodulin isoform (SCaM-1) as a probe, we isolated a full-length cDNA clone that encodes AtCK (Arabidopsis thaliana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The predicted structure of AtCK contains a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catalytic domain followed by a putative calmodulin-binding domain and a putative $Ca^{2+}$-binding domain. Recombinant AtCK was expressed in E. coli and bound to calmodulin in a $Ca^{2+}$-dependent manner. The ability of CaM to bind to AtCK was confirmed by gel mobility shift and competition assays. AtCK exhibited its highest levels of autophosphorylation in the presence of 3 mM $Mn^{2+}$. The phosphorylation of myelin basic protein (MBP) by AtCK was enhanced when AtCK was under the control of calcium-bound CaM, as previously observed for other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s. In contrast to maize and tobacco CCaMKs (calcium and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almodulin to more than $3{\mu}M$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activity of AtCK.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AtCK is a novel Arabidopsis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 which is presumably involved in CaM-mediated signaling.